"운현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궁궐이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주택이다.
 
=='''내용'''==
 
=='''내용'''==
 
===[[운현궁]]의 역사===
 
===[[운현궁]]의 역사===
*흥선군의 사저가 [[운현궁]]으로 불리게 된 것은 1863년 [[흥선대원군 이하응|흥선군]]을 흥선대원군으로, [[여흥부대부인|흥선군의 부인민씨]]를 부대부인으로 작호를 주는 교지가 내려진 때부터이다. 흥선군의 사저였을 때 [[운현궁]]의 위치는 [[창덕궁]]과 [[경복궁]]의 중간 부근으로 지금의 [[운현궁]]과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자리에 해당된다. 원래 [[운현궁]]은 현재의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덕성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관|양관(洋館)]], [[일본문화원]], [[중앙문화센터]]. [[운현초등학교]] 일대까지 포함된 넓은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f>
+
*흥선군의 사저가 [[운현궁]]으로 불리게 된 것은 1863년 [[흥선대원군 이하응|흥선군]]을 흥선대원군으로, [[여흥부대부인|흥선군의 부인민씨]]를 부대부인으로 작호를 주는 교지가 내려진 때부터이다. 원래 이 지역 지명인 구름재[雲峴]에서 이름을 따와 ‘운현궁’이라 불리게 되었다. 흥선군의 사저였을 때 [[운현궁]]의 위치는 [[창덕궁]]과 [[경복궁]]의 중간 부근으로 지금의 [[운현궁]]과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자리에 해당된다. 원래 [[운현궁]]은 현재의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덕성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관|양관(洋館)]], [[일본문화원]], [[중앙문화센터]]. [[운현초등학교]] 일대까지 포함된 넓은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f>
  
*[[경술국치]] 이후 일제가 1912년 토지조사를 실시하면서 대한제국의 황실재산을 몰수하여 국유화하고 이왕직 장관을 시켜서 [[운현궁]]을 관리하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운현궁]]을 유지·관리하는 일은 소유권에 관계없이 [[이로당의 안주인]]들이 계속 관리했다 1948년 미군정에 의해 소유권이 다시 대원군의 후손에게 넘겨지게 되고 이후 그 소유권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정부와 대원군 후손 사이에 법적 공방이 있었으나 대원군의 5대손 [[이청|이청(李淸)]]에게 [[운현궁]] 소유권이 확정되었다. 그러던 것이 1991년 [[운현궁]]을 유지·관리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생기면서 후손이 양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서울시에서 매입하게 되었고, 1993년 12월부터 보수를 시작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f>
+
*[[경술국치]] 이후 일제가 1912년 토지조사를 실시하면서 대한제국의 황실재산을 몰수하여 국유화하고 이왕직 장관을 시켜서 [[운현궁]]을 관리하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운현궁]]을 유지·관리하는 일은 소유권에 관계없이 이로당(내당)의 안주인들이 계속 관리하였다. 1948년 미군정에 의해 소유권이 다시 대원군의 후손에게 넘겨지게 되고 이후 그 소유권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정부와 대원군 후손 사이에 법적 공방이 있었으나 대원군의 5대손 [[이청|이청(李淸)]]에게 [[운현궁]] 소유권이 확정되었다. 그러던 것이 1991년 [[운현궁]]을 유지·관리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생기면서 후손이 양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서울시에서 매입하였다. 1993년 12월부터 보수를 시작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f>
  
 
===[[운현궁]]의 구조===
 
===[[운현궁]]의 구조===
현재의 운현궁 터가 복원되면서 대지를 동서로 크게 양분하여, 동편에는 [[노안당|노안당(老安堂)]], [[노락당|노락당(老樂堂)]], [[이로당|이로당(二老堂)]]세 건물들이 들어섰고, 서편은 빈 마당으로 남겨 도로와 접하고 있다. 동편에 있는 세 건물들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대원군의 사랑채였던 [[노안당]], 안채인 [[노락당]], 그리고 별당인 [[이로당]] 순서로 자리 잡고 있다. 노안당 남쪽에 원래 [[아재당|아재당(我在堂)]]이 있었으나 없어졌고, 이로당 북쪽에 있던 [[영로당|영로당(永老堂)]]도 원래 운형궁의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개인 소유의 건물(김승현 가옥,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9호)로 되어 있고 대문인 정문, 후문, [[경근문|경근문(敬覲門)]], [[공근문|공근문(恭覲門)]]이 있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f>
+
현재의 운현궁 터가 복원되면서 대지를 동서로 크게 양분하여, 동편에는 [[노안당|노안당(老安堂)]], [[노락당|노락당(老樂堂)]], [[이로당|이로당(二老堂)]] 세 건물들이 들어섰고, 서편은 빈 마당으로 남겨 도로와 접하고 있다. 동편에 있는 세 건물들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대원군의 사랑채였던 [[노안당]], 안채인 [[노락당]], 그리고 별당인 [[이로당]] 순으로 자리 잡고 있다. 노안당 남쪽에 원래 [[아재당|아재당(我在堂)]]이 있었으나 없어졌고, 이로당 북쪽에 있던 [[영로당|영로당(永老堂)]]도 원래 운형궁의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개인 소유(김승현 가옥,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9호)가 되었다. 대문인 정문, 후문, [[경근문|경근문(敬覲門)]], [[공근문|공근문(恭覲門)]]이 있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0/E03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http://dh.aks.ac.kr/Encyves/Graph/A111/A111.htm 왕실 의복 반사도 지식 관계망]'''
 
*'''[http://dh.aks.ac.kr/Encyves/Graph/A111/A111.htm 왕실 의복 반사도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79번째 줄: 84번째 줄:
 
*웹자원
 
*웹자원
 
**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
 
**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12 서울운현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분류:문화유산]]
 
[[분류:문화유산]]
 +
 
[[분류:이창섭]]
 
[[분류:이창섭]]

2018년 1월 4일 (목) 17:39 기준 최신판

운현궁
(雲峴宮)
김왕직, "서울운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
대표명칭 운현궁
한자표기 雲峴宮
유형 유적
시대 조선시대
지정번호 사적 제257호
지정일 1977년 11월 22일
소장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0
관련인물 흥선대원군 이하응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주택이다.

내용

운현궁의 역사

  • 경술국치 이후 일제가 1912년 토지조사를 실시하면서 대한제국의 황실재산을 몰수하여 국유화하고 이왕직 장관을 시켜서 운현궁을 관리하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운현궁을 유지·관리하는 일은 소유권에 관계없이 이로당(내당)의 안주인들이 계속 관리하였다. 1948년 미군정에 의해 소유권이 다시 대원군의 후손에게 넘겨지게 되고 이후 그 소유권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정부와 대원군 후손 사이에 법적 공방이 있었으나 대원군의 5대손 이청(李淸)에게 운현궁 소유권이 확정되었다. 그러던 것이 1991년 운현궁을 유지·관리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생기면서 후손이 양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서울시에서 매입하였다. 1993년 12월부터 보수를 시작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2]

운현궁의 구조

현재의 운현궁 터가 복원되면서 대지를 동서로 크게 양분하여, 동편에는 노안당(老安堂), 노락당(老樂堂), 이로당(二老堂) 등 세 건물들이 들어섰고, 서편은 빈 마당으로 남겨 도로와 접하고 있다. 동편에 있는 세 건물들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대원군의 사랑채였던 노안당, 안채인 노락당, 그리고 별당인 이로당 순으로 자리 잡고 있다. 노안당 남쪽에 원래 아재당(我在堂)이 있었으나 없어졌고, 이로당 북쪽에 있던 영로당(永老堂)도 원래 운형궁의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개인 소유(김승현 가옥,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9호)가 되었다. 대문인 정문, 후문, 경근문(敬覲門), 공근문(恭覲門)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흥선대원군 이하응 운현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흥부대부인 운현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운현궁 노안당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운현궁 이로당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운현궁 노락당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왕직, "서울운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
  2. 김왕직, "서울운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
  3. 김왕직, "서울운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박정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운현궁입지(雲峴宮立地)의 풍수환경(風水環境」, 『韓國思想과 文化』 74,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255-286쪽.
  • 웹자원
    • 김왕직, "서울운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