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안향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 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안향 초상.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안향 초상.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1,01110000,37 안향 초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 안향 초상
 
|대표명칭= 안향 초상
 
|한자명칭= 安珦 肖像
 
|한자명칭= 安珦 肖像
19번째 줄: 19번째 줄:
 
=='''내용'''==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안향 초상>의 화폭 상단에는 ‘고려국 유학제거, 도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시호가 문성공인 안향의 초상화(高麗國 儒學提擧, 都僉議中贊, 修文殿大學士 贈諡文成公 安珦眞)’라고 쓰여있어 [[안향]]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아래로 아들 [[안우기]]가 쓴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찬문]]이 적혀 있다. [[안향]]이 죽은 지 12년 뒤인 1318년([[고려 충숙왕|충숙왕]] 5)에 학교를 세운 공을 치하하여 [[고려 충숙왕|충숙왕]]이 문묘에 안향 초상을 그려 봉안하고 고향에 제사 지낼 것을 명하였는데 흥주태수였던 [[최림]]이 [[안향]]의 고향인 흥주의 향교에 모실 초상화 1본을 더 모사하도록 했다고 한다. 초상화가 다 그려지자 [[안우기]]에게 보내 찬문을 짓도록 했다.<br/>
+
<안향 초상>의 화폭 상단에는 ‘고려국 유학제거, 도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시호가 문성공인 안향의 초상화(高麗國 儒學提擧, 都僉議中贊, 修文殿大學士 贈諡文成公 安珦眞)’라고 쓰여있어 [[안향]]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아래로 아들 [[안우기]]가 쓴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찬문]]이 적혀 있다. [[안향]]이 죽은 지 12년 뒤인 1318년([[고려 충숙왕|충숙왕]] 5)에 학교를 세운 공을 치하하여 [[고려 충숙왕|충숙왕]]이 문묘에 안향 초상을 그려 봉안하고 고향에 제사 지낼 것을 명하였는데 흥주태수였던 [[최림]]이 [[안향]]의 고향인 [[흥주향교|흥주의 향교]]에 모실 초상화 1본을 더 모사하도록 했다고 한다. 초상화가 다 그려지자 [[안우기]]에게 보내 찬문을 짓도록 했다.<br/>
 
이후 [[흥주향교]]에 봉안되어 있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1458년에 [[순흥부]]가 폐지되며 일시적으로 한양의 종손가 옮겨진다. 그리고 1542년([[조선 중종|중종]] 37) 평소 [[안향]]을 사숙해오던 [[주세붕]]이 순흥 백운동에 [[안향]]의 사묘를 건립하고 8월경 영정을 이안하여 갔다. 다음해 이곳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영주 소수서원|백운동서원]](현재의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이 세워지고, 영정은 여기 봉안되었다.<br/>  
 
이후 [[흥주향교]]에 봉안되어 있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1458년에 [[순흥부]]가 폐지되며 일시적으로 한양의 종손가 옮겨진다. 그리고 1542년([[조선 중종|중종]] 37) 평소 [[안향]]을 사숙해오던 [[주세붕]]이 순흥 백운동에 [[안향]]의 사묘를 건립하고 8월경 영정을 이안하여 갔다. 다음해 이곳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영주 소수서원|백운동서원]](현재의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이 세워지고, 영정은 여기 봉안되었다.<br/>  
 
그 뒤 1559년([[조선 명종|명종]] 14) 영정이 오래되어 갈라지고 찢어져 장차 아주 없어질 것을 염려한 예조판서 [[홍섬]]의 청에 의하여, 당시 최고의 화원 [[이불해|이불해(李不害)]]가 이모본을 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전해오는 <안향 초상>은 [[이불해]]가 그린 모사본으로 추정된다.<br/>  
 
그 뒤 1559년([[조선 명종|명종]] 14) 영정이 오래되어 갈라지고 찢어져 장차 아주 없어질 것을 염려한 예조판서 [[홍섬]]의 청에 의하여, 당시 최고의 화원 [[이불해|이불해(李不害)]]가 이모본을 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전해오는 <안향 초상>은 [[이불해]]가 그린 모사본으로 추정된다.<br/>  
26번째 줄: 26번째 줄:
  
 
===초상에 묘사된 모습===
 
===초상에 묘사된 모습===
<김만중 초상>은 청색 [[도포]]를 입고 [[세조대]]를 허리에 맨 [[편복]] 차림으로 [[김만중]]은 둥근 방석위에 두 다리를 포개어 앉은 채로 [[정면관]]을 취하고 양손은 공수자세를 취하고 있다.<br/>
+
<안향 초상>은 화면이 상하로 이분되어 상부 공간에는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찬문]]을 쓰고 화상은 화면의 하반부를 점유하고 있다. 인물의 안면은 [[우안구분면]]이고 [[홍포]]에 낮은 [[평정건]]을 쓰고 있으며, 흉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몸체는 둥글게 그렸으며, [[홍포]]는 짙은 홍색을 앞에서 덧입혀 두텁고 불투명하다. 입체감을 의식하지 않고 선묘를 사용해 간결하게 표현하였다.<br/>
머리에는 평시에 사대부들이 쓰는 [[관모]]인 [[충정관]]을 쓰고 있는데 매우 평면적으로 묘사되었 다. 선으로 형태를 묘사하고 있고 [[관모]] 상단에는 계단형의 돌출 장식이 표현되었는데 입체감이 전혀 없어 마치 뿔처럼 보인다. 그에 반해 의복은 의습선에 짙은 선염을 사용하여 부피감이 느껴지고 풍성하게 표현되었다. 허리에 맨 [[세조대]]는 밝은 보랏빛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진 모습이 화면에 생동감을 준다.<br/>  
+
얼굴은 붉은 선으로 윤곽과 이목구비, 주름을 표현하였고 이목구비가 또렷한 모습이다. 수염은 숱이 많지는 않지만 길이는 가슴까지 내려와 있다. [[안향]]의 얼굴은 근엄하면서도 온화한 느낌을 준다.
얼굴은 가는 세필을 사용하여 꼼꼼한 필치로 그려졌다. [[김만중]]의 얼굴은 좁고 긴 얼굴형에 가는 코, 희미한 눈썹 등 이목구비가 뚜렷하지 않고 평면적으로 그려졌다. 콧수염과 턱수염은 숱이 많지만 잘 정돈된 모습으로 섬세한 인상을 보여주고 있다.
+
 +
=='''지식 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0/E0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40번째 줄: 46번째 줄:
 
|-
 
|-
 
| [[안향 초상]] || [[이불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안향 초상]] || [[이불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안향 초상]] || [[흥주향교]]  || A는 B에 봉안되어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안향 초상]]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안향 초상]]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안향 초상]] ||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 || [[안우기]]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정면관]] || [[김만중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도포]] || [[김만중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안향]] || [[안우기]]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세조대]] || [[김만중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고려 충숙왕]] || [[안향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편복]] || [[김만중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우안구분면]] || [[안향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사방관]] || [[김만중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홍포]] || [[안향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충정관]] || [[김만중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평정건]] || [[안향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65번째 줄: 71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1962년 12월 20일 || [[안향 초상]]이 국보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
 
|}
  
71번째 줄: 78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3364510 || 127.3351480 ||  [[김만중 초상]]은 [[대전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36.9255590|| 128.5801940||  [[안향 초상]]은 [[영주 소수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안향 초상.jpg|[[안향 초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1,01110000,37 안향 초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주석'''==
 
=='''주석'''==
80번째 줄: 91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유용한 정보===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594 안향 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6월 05일.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 단행본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 전시도록
 
# 전시도록
#* 대전역사박물관, 『한국의 명가 광산김씨』 대전역사박물관, 2015.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17:58 기준 최신판


안향 초상
"안향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한자명칭 安珦 肖像
작가 이불해
제작시기 16세기 중엽
소장처 영주 소수서원
문화재지정사항 국보 제111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87.0×52.7㎝


정의

고려 후기의 학자인 안향(1243∼1306)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안향 초상>의 화폭 상단에는 ‘고려국 유학제거, 도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 시호가 문성공인 안향의 초상화(高麗國 儒學提擧, 都僉議中贊, 修文殿大學士 贈諡文成公 安珦眞)’라고 쓰여있어 안향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아래로 아들 안우기가 쓴 찬문이 적혀 있다. 안향이 죽은 지 12년 뒤인 1318년(충숙왕 5)에 학교를 세운 공을 치하하여 충숙왕이 문묘에 안향 초상을 그려 봉안하고 고향에 제사 지낼 것을 명하였는데 흥주태수였던 최림안향의 고향인 흥주의 향교에 모실 초상화 1본을 더 모사하도록 했다고 한다. 초상화가 다 그려지자 안우기에게 보내 찬문을 짓도록 했다.
이후 흥주향교에 봉안되어 있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1458년에 순흥부가 폐지되며 일시적으로 한양의 종손가 옮겨진다. 그리고 1542년(중종 37) 평소 안향을 사숙해오던 주세붕이 순흥 백운동에 안향의 사묘를 건립하고 8월경 영정을 이안하여 갔다. 다음해 이곳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현재의 소수서원)이 세워지고, 영정은 여기 봉안되었다.
그 뒤 1559년(명종 14) 영정이 오래되어 갈라지고 찢어져 장차 아주 없어질 것을 염려한 예조판서 홍섬의 청에 의하여, 당시 최고의 화원 이불해(李不害)가 이모본을 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전해오는 <안향 초상>은 이불해가 그린 모사본으로 추정된다.
안향이 숭경의 대상이었던 만큼 그의 초상화는 소수서원 이외에도 전국 도처에서 이모되어 후손 및 유림에 의하여 분향·예배되어 왔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하여 순흥의 대룡산영당(大龍山影堂), 춘천의 가산영당(佳山影堂), 재령의 송양사(松陽祠), 장단의 임강서원(臨江書院), 연기의 합호서원(合湖書院) 등에 소장되어 있다.
<안향 초상>은 모사본이지만 당대 최고의 화가가 그렸으며 고식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려시대의 초상화 양식을 살펴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안향 초상>은 화면이 상하로 이분되어 상부 공간에는 찬문을 쓰고 화상은 화면의 하반부를 점유하고 있다. 인물의 안면은 우안구분면이고 홍포에 낮은 평정건을 쓰고 있으며, 흉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몸체는 둥글게 그렸으며, 홍포는 짙은 홍색을 앞에서 덧입혀 두텁고 불투명하다. 입체감을 의식하지 않고 선묘를 사용해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얼굴은 붉은 선으로 윤곽과 이목구비, 주름을 표현하였고 이목구비가 또렷한 모습이다. 수염은 숱이 많지는 않지만 길이는 가슴까지 내려와 있다. 안향의 얼굴은 근엄하면서도 온화한 느낌을 준다.

지식 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안향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안향 초상 안향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안향 초상 이불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안향 초상 흥주향교 A는 B에 봉안되어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안향 초상 영주 소수서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안향 초상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안우기의 안향 초상 찬문 안우기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A dcterms:creator B
안향 안우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고려 충숙왕 안향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우안구분면 안향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포 안향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평정건 안향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62년 12월 20일 안향 초상이 국보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9255590 128.5801940 안향 초상영주 소수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안향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안향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6월 05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2.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