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홍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 artist.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한홍적 | |대표명칭= 한홍적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유형= | |유형= | ||
}} | }} | ||
− | ==정의== | + | =='''정의'''== |
조선 후기 초상화 장황인이다. | 조선 후기 초상화 장황인이다. | ||
− | ==내용== | + | =='''내용'''== |
− | [[흥선대원군 이하응| | + | 1872년 조선 태조 어진을 모사한 행사의 기록인 『[[어진이모도감청의궤]]』에 회장간역인(回粧看役人)으로 이름을 올렸다. 한홍적은 [[흥선대원군 이하응|흥선대원군]] 초상화마다 명기된 장황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청주 한씨 가문 출신의 장황인인 [[한응엽]](韓應曄)과 일가일 것이라는 의견이 있으나 청주 한씨 종친회에서도 정확한 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ref>김수진,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121754/1/000000142164.pdf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3쪽.</ref><br/> |
− | '장황인(裝潢人)'이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보이기 시작하였는데, 관찬 사료에는 [[조선 헌종]]대부터 '장황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ref>김수진,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121754/1/000000142164.pdf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1쪽.</ref> | + | '장황인(裝潢人)'이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보이기 시작하였는데, 관찬 사료에는 [[조선 헌종]]대부터 '장황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이전에는 첩장(帖匠)이라고 지칭되었으며 현대에서는 표구장을 일컫는다.<ref>김수진,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121754/1/000000142164.pdf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1쪽.</ref><ref>김수진,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121754/1/000000142164.pdf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3쪽.</ref><br/> |
− | [[흥선대원군 이하응|대원군]]은 당대 최고 장황사였던 | + | [[흥선대원군 이하응|대원군]]은 당대 최고 장황사였던 한홍적이라는 이름을 손수 초상화마다 화폭 위에 적어 넣어 눈길을 끈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405쪽.</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 | |나는 경진년(1820)에 태어나 기사년(1869)에 초상을 그리니 이때 나이가 오십이다, 화가 [[이한철]], [[유숙]], 장황 [[한홍적]]. | + | |나는 경진년(1820)에 태어나 기사년(1869)에 초상을 그리니 이때 나이가 오십이다, 화가 [[이한철]], [[유숙]], 장황 [[한홍적]].<br/>我生於庚辰 模像於己巳 時年五十 畵師 李漢喆, 劉淑 粧䌙 韓弘迪. |
|출처=「[[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화면 오른쪽 표제. | |출처=「[[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화면 오른쪽 표제. | ||
}} | }}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내 나이 오십, 기사년(1869) 초여름에 스스로 쓰다. 화가 [[이한철]], [[유숙]], 장황 [[한홍적]]. | + | |내 나이 오십, 기사년(1869) 초여름에 스스로 쓰다. 화가 [[이한철]], [[유숙]], 장황 [[한홍적]].<br/>余年五十 己巳肇夏自運 畵師 李漢喆, 劉淑 粧䌙 韓弘迪. |
|출처=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화면 오른쪽 표제. | |출처=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화면 오른쪽 표제. | ||
}} | }}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내 나이 육십일세 환갑상, 경진년(1880) 초여름에 스스로 쓰다. 화가 [[이한철]], [[이창옥]], 장황 [[한홍적]]. | + | | 내 나이 육십일세 환갑상, 경진년(1880) 초여름에 스스로 쓰다. 화가 [[이한철]], [[이창옥]], 장황 [[한홍적]].<br/>余年六十一周甲像 庚辰肇夏自運 畵師 李漢喆, 李昌鈺 粧䌙 韓弘迪. |
|출처=「[[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화면 오른쪽 표제 | |출처=「[[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화면 오른쪽 표제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
64번째 줄: | 64번째 줄: | ||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어진이모도감청의궤]] || [[한홍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어진이모도감청의궤]]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76번째 줄: | 79번째 줄: |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인물]]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
+ | [[분류:인물]] |
2018년 1월 4일 (목) 17:00 기준 최신판
한홍적(韓弘迪) | |
대표명칭 | 한홍적 |
---|---|
한자표기 | 韓弘迪 |
시대 | 조선 |
정의
조선 후기 초상화 장황인이다.
내용
1872년 조선 태조 어진을 모사한 행사의 기록인 『어진이모도감청의궤』에 회장간역인(回粧看役人)으로 이름을 올렸다. 한홍적은 흥선대원군 초상화마다 명기된 장황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청주 한씨 가문 출신의 장황인인 한응엽(韓應曄)과 일가일 것이라는 의견이 있으나 청주 한씨 종친회에서도 정확한 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1]
'장황인(裝潢人)'이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보이기 시작하였는데, 관찬 사료에는 조선 헌종대부터 '장황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이전에는 첩장(帖匠)이라고 지칭되었으며 현대에서는 표구장을 일컫는다.[2][3]
대원군은 당대 최고 장황사였던 한홍적이라는 이름을 손수 초상화마다 화폭 위에 적어 넣어 눈길을 끈다.[4]
나는 경진년(1820)에 태어나 기사년(1869)에 초상을 그리니 이때 나이가 오십이다, 화가 이한철, 유숙, 장황 한홍적. 我生於庚辰 模像於己巳 時年五十 畵師 李漢喆, 劉淑 粧䌙 韓弘迪. |
||
출처: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화면 오른쪽 표제. |
내 나이 오십, 기사년(1869) 초여름에 스스로 쓰다. 화가 이한철, 유숙, 장황 한홍적. 余年五十 己巳肇夏自運 畵師 李漢喆, 劉淑 粧䌙 韓弘迪. |
||
출처: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화면 오른쪽 표제. |
내 나이 육십일세 환갑상, 경진년(1880) 초여름에 스스로 쓰다. 화가 이한철, 이창옥, 장황 한홍적. 余年六十一周甲像 庚辰肇夏自運 畵師 李漢喆, 李昌鈺 粧䌙 韓弘迪. |
||
출처: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화면 오른쪽 표제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 한홍적 | A는 B가 장황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어진이모도감청의궤 | 한홍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어진이모도감청의궤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3쪽.
- ↑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1쪽.
- ↑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3쪽.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405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