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농암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
 
}}
 
==정의==
 
==정의==
농암종택은 ‘어부가’로 유명한 조선 시대 대표 문인 [[이현보 | 농암 이현보]]가 정계 은퇴 후 머물던 종택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주택이다.
 +
 
 
==내용==
 
==내용==
 
===설립 및 현황===
 
===설립 및 현황===
[[안동 도산서원]] 인근에 위치한 농암종택은 [[이현보 |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의 종택(宗宅)이다.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원래 종택이 있던 분천마을이 수몰되었다. 안동의 이곳저곳으로 흩어져 이건(移建)되어 있던 종택과 사당,별채, 서원 등의 건물을 영천이씨 문중의 종손 이성원이 한곳으로 옮겨 놓아 일반인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이현보 초상]]의 이모본이 소장되어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22159 농암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안동 도산서원]] 인근에 위치한 [[이현보 |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의 종택(宗宅)이다.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원래 종택이 있던 분천마을이 수몰 위기에 처하였다. 종택과 사당, 별채, 서원 등은 수몰을 피해 안동의 이곳저곳에 산재되어 있었다. 2000년 이후 영천이씨 문중에서 낙동강 상류 가송리에 부지를 매입하여 차례차례 건물을 이건하였다. 지금은 안동시의 고가옥 개방 프로그램에 따라 일반인들에게 종가체험 기회로 개방하고 있다.  
 +
보물 872호로 지정된 [[이현보 초상]] 이모본을 비롯하여 『[[농암집]]』 필사본, 『[[애일당구경첩(愛日堂具慶帖)]]』 등 많은 유물들이 소장되어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22159 농암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주변 환경===
 
===주변 환경===
종택은 이현보의 학덕을 기린 [[분강서원]], 그의 효심을 상징하는 [[애일당]], 별채 [[긍구당]], 강각 등의 유적들이 모여 분강촌을 이룬다. 종택에 들어서면 긍구당이 위치해 있으며, 긍구당 근처에는 사랑채가 있다.<ref>사효진, "[http://www.travelnb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56 이현보의 숨결이 깃든 ‘농암 종택’]", 『트레블바이크뉴스』, 작성일:2015년 12월 01일.</ref>
+
종택은 이현보의 학덕을 기린 [[분강서원]], 그의 효심을 상징하는 [[애일당]], 별채 [[긍구당]], 강각 등의 유적들이 모여 분강촌을 이룬다. 복원 지역인 청량산 자락 올미재 인근은 강과 절벽, 은빛 백사장이 어우러져 옛 부내[汾川]와 흡사하다고 한다. 종택의 앞산 너머에는 농암 묘소가 있다.<ref>사효진, "[http://www.travelnb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56 이현보의 숨결이 깃든 ‘농암 종택’]", 『트레블바이크뉴스』, 작성일:2015년 12월 01일.</ref>
 +
 
 
===농암종택과 강호문학===
 
===농암종택과 강호문학===
이현보는 1524년 76세에 모든 관직에서 은퇴하고 산수가 아름다운 고향 예안으로 돌아와 독서와 시작으로 여생을 보냈고 효빈가와 농암가, 어부사 등을 남겼다. 특히 어부사는 [[이황]]의 [[도산십이곡]]영향을 줬고,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로 이어지게 했다. 강호문학의 전성기를 이끈 농암은 훗날 [[이황]]과 [[이이]]의 학문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ref>오종명, "[http://m.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61891 안동 농암 이현보 '농암종택']", 『경북일보』, 작성일:2016년 06월 12일.</ref>
+
[[이현보]]는 1524년 76세에 모든 관직에서 은퇴하고 산수가 아름다운 고향 예안으로 돌아와 독서와 시작으로 여생을 보냈고 「효빈가」와 「농암가」, 「어부사」 등을 남겼다. 특히 「어부사」는 [[이황]]의 [[도산십이곡]]」에 영향을 주었으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로 이어졌다. 강호문학의 전성기를 이끈 농암은 훗날 [[이황]]과 [[이이]]의 학문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ref>오종명, "[http://m.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61891 안동 농암 이현보 '농암종택']", 『경북일보』, 작성일:2016년 06월 12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이현보와 이황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45/E04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36번째 줄: 47번째 줄:
 
| [[안동 농암종택]] || [[이현보]]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안동 농암종택]] || [[이현보]]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안동 농암종택]] || [[금구당]]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안동 농암종택]] || [[금구당]] || A에는 B가 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안동 농암종택]] || [[애일당]]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안동 농암종택]] || [[애일당]] || A에는 B가 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안동 농암종택]] || [[안동 분강서원]]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안동 농암종택]] || [[안동 분강서원]] || A에는 B가 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안동 농암종택]] || [[어부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동 농암종택]] || [[어부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46번째 줄: 57번째 줄:
 
| [[안동 농암종택]] || [[농암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동 농암종택]] || [[농암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어부사]] || [[이현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어부사]] || [[이현보]]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농암가]] || [[이현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농암가]] || [[이현보]]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현보]] || [[이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현보]] || [[이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56번째 줄: 67번째 줄:
 
| [[이현보]] || [[어부사시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현보]] || [[어부사시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어부사시사]] || [[윤선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어부사시사]] || [[윤선도]]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안동 농암종택]] || [[안동 도산서원]]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안동 도산서원]] || [[이황]]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70번째 줄: 86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
[[분류:문화유산]]

2018년 1월 12일 (금) 18:19 기준 최신판

농암종택
(聾巖宗宅)
대표명칭 농암종택
한자표기 聾巖宗宅
유형 유적
시대 조선
관련인물 이현보, 이황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주택이다.

내용

설립 및 현황

안동 도산서원 인근에 위치한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의 종택(宗宅)이다.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원래 종택이 있던 분천마을이 수몰 위기에 처하였다. 종택과 사당, 별채, 서원 등은 수몰을 피해 안동의 이곳저곳에 산재되어 있었다. 2000년 이후 영천이씨 문중에서 낙동강 상류 가송리에 부지를 매입하여 차례차례 건물을 이건하였다. 지금은 안동시의 고가옥 개방 프로그램에 따라 일반인들에게 종가체험 기회로 개방하고 있다. 보물 872호로 지정된 이현보 초상 이모본을 비롯하여 『농암집』 필사본, 『애일당구경첩(愛日堂具慶帖)』 등 많은 유물들이 소장되어 있다.[1]

주변 환경

종택은 이현보의 학덕을 기린 분강서원, 그의 효심을 상징하는 애일당, 별채 긍구당, 강각 등의 유적들이 모여 분강촌을 이룬다. 복원 지역인 청량산 자락 올미재 인근은 강과 절벽, 은빛 백사장이 어우러져 옛 부내[汾川]와 흡사하다고 한다. 종택의 앞산 너머에는 농암 묘소가 있다.[2]

농암종택과 강호문학

이현보는 1524년 76세에 모든 관직에서 은퇴하고 산수가 아름다운 고향 예안으로 돌아와 독서와 시작으로 여생을 보냈고 「효빈가」와 「농암가」, 「어부사」 등을 남겼다. 특히 「어부사」는 이황의 「도산십이곡」에 영향을 주었으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로 이어졌다. 강호문학의 전성기를 이끈 농암은 훗날 이황이이의 학문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3]

지식 관계망

  • 이현보와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안동 농암종택 이현보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안동 농암종택 금구당 A에는 B가 있다 A dcterms:hasPart B
안동 농암종택 애일당 A에는 B가 있다 A dcterms:hasPart B
안동 농암종택 안동 분강서원 A에는 B가 있다 A dcterms:hasPart B
안동 농암종택 어부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안동 농암종택 농암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어부사 이현보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농암가 이현보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이현보 이황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현보 도산십이곡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현보 어부사시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어부사시사 윤선도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도산십이곡 이황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안동 농암종택 안동 도산서원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안동 도산서원 이황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주석

  1. "농암종택", 『두산백과』online.
  2. 사효진, "이현보의 숨결이 깃든 ‘농암 종택’", 『트레블바이크뉴스』, 작성일:2015년 12월 01일.
  3. 오종명, "안동 농암 이현보 '농암종택'", 『경북일보』, 작성일:2016년 06월 12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성원, 『천년의 선비를 찾아서 : 농암 17대 종손이 들려주는 종택 이야기』, 푸른역사, 2008.
    •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농암종택고전적』, 한국국학진흥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