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소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갤러리) |
(→관계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김은호]] 문도로 구성===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80px style="float:right"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80px style="float:right"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후소회 후소회창립전.jpg|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br/><ref>김달진, "[http://www.daljin.com/column/14907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김달진미술연구소』<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후소회 후소회창립전.jpg|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br/><ref>김달진, "[http://www.daljin.com/column/14907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김달진미술연구소』<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김은호|김은호(金殷鎬)]](사진 원내)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그림을 배운 제자들이 1936년에 결성한 단체로 [[백윤문]](사진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 [[김기창]](사진 뒷줄 왼쪽에서 두 번째), [[장우성]](사진 뒷줄 제일 오른쪽), [[한유동]], [[이유태]](사진 뒷줄 중앙), [[조중현]], [[장운봉]](뒤에 [[장덕|장덕(張德)]]으로 개명, 사진 앞줄 제일 왼쪽), [[정홍거]](사진 뒷줄 제일 왼쪽) 등이 참여했다.<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김은호|김은호(金殷鎬)]]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그림을 배운 제자들이 1936년에 결성한 단체로 [[백윤문]], [[김기창]], [[장우성]], [[한유동]], [[이유태]], [[조중현]], [[장운봉]](뒤에 [[장덕|장덕(張德)]]으로 개명), [[정홍거]] 등이 참여했다.<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채색화 화가 중심=== | ===채색화 화가 중심=== | ||
38번째 줄: | 35번째 줄: | ||
===창립 70주년=== | ===창립 70주년=== | ||
후소회는 1943년 제6회로 전람회를 잠시 중단하고 6·25전쟁 직전 제7회전, 1971년 제8회전, 1977년 제9회전을 열었다. 김은호의 1, 2대 제자 및 그와 관계있는 화가들이 중심이 되어 2006년에 창립 70주년 기념 제35회 회원전을 열었으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단체이다.<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후소회는 1943년 제6회로 전람회를 잠시 중단하고 6·25전쟁 직전 제7회전, 1971년 제8회전, 1977년 제9회전을 열었다. 김은호의 1, 2대 제자 및 그와 관계있는 화가들이 중심이 되어 2006년에 창립 70주년 기념 제35회 회원전을 열었으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단체이다.<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후소회]] || [[동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후소회]] || [[김기창]]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후소회]] || [[김기창]]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2017년 11월 15일 (수) 00:59 기준 최신판
후소회(後素會) | |
대표명칭 | 후소회 |
---|---|
한자표기 | 後素會 |
유형 | 동양화가단체단체 |
창립자 | 김기창, 이유태, 장우성, 장운봉, 정홍거, 조중현, 백윤문, 한유동 |
창립시대 | 일제강점기/현대 |
창립일 | 1936년 1월 18일 |
해체일 | 현대 |
목차
정의
김은호 문도 출신 동양화가들이 1936년에 개설한 단체이다.
내용
김은호 문도로 구성
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
[1]
김은호(金殷鎬)(사진 원내)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그림을 배운 제자들이 1936년에 결성한 단체로 백윤문(사진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 김기창(사진 뒷줄 왼쪽에서 두 번째), 장우성(사진 뒷줄 제일 오른쪽), 한유동, 이유태(사진 뒷줄 중앙), 조중현, 장운봉(뒤에 장덕(張德)으로 개명, 사진 앞줄 제일 왼쪽), 정홍거(사진 뒷줄 제일 왼쪽) 등이 참여했다.[2]
채색화 화가 중심
후소회는 일제 강점기 동양화단에서 채색화를 그린 화가들 중심이었고, 수묵산수화를 주로 그린 이상범의 청전화숙과 쌍벽을 이루었다. 1936년 정식 창립하여 같은 해 10월 서울 태평로 조선실업구락부에서 창립전을 가졌다.
후소회는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의 활동으로 유명하며 선전에 입선한 동양화 60점 중 21점이 후소회 회원들의 그림이었다. 백윤문·김기창이 특선작가로 장우성이 총독상과 창덕궁상, 이유태·조중현도 최고상을 받았다.[3]
창립 70주년
후소회는 1943년 제6회로 전람회를 잠시 중단하고 6·25전쟁 직전 제7회전, 1971년 제8회전, 1977년 제9회전을 열었다. 김은호의 1, 2대 제자 및 그와 관계있는 화가들이 중심이 되어 2006년에 창립 70주년 기념 제35회 회원전을 열었으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단체이다.[4]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후소회 | 동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후소회 | 김기창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이유태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장우성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장운봉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정홍거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조중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백윤문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후소회 | 한유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김은호 | 김기창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이유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장우성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장운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정홍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조중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백윤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은호 | 한유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시각자료
갤러리
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5]
주석
- ↑ 김달진,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online . - ↑ 강민기, "후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후소회",
『다음백과』online . - ↑ 강민기, "후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달진,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