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수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지식관계망)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조선 무용이 스승 성총에게]]
 +
}}
 
{{승려정보
 
{{승려정보
 
|사진=
 
|사진=
29번째 줄: 32번째 줄:
  
 
===출가수행===
 
===출가수행===
19세에 [[순천 송광사|조계산 송광사]]로 출가하여 [[혜관|혜관(惠寬)]]의 제자가 되었고, [[혜공|혜공(慧空)]]으로부터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그 뒤 불경을 공부하다가 1673년(현종 14)에 마음의 근본을 깨닫는 것이 참선과 교리의 연구에 있음을 느끼고 참선수행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순천 선암사|선암사(仙巖寺)]]의 [[침굉|침굉(枕肱)]]을 찾아가서 선의 진수를 물어 대오(大悟)하였다. [[침굉]]의 인가를 얻은 다음 1년 동안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하여 수행하였고, 1676년(숙종 2)에 [[침굉]]과 함께 조계산 은적암(隱寂庵)의 [[성총|백암 성총(柏庵性聰)]]을 찾아가서 다시 깨달음을 인정받았다.<ref>오형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559 수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세에 [[순천 송광사|조계산 송광사]]로 출가하여 [[혜관|혜관(惠寬)]]의 제자가 되었고, [[혜공|혜공(慧空)]]으로부터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그 뒤 불경을 공부하다가 1673년(현종 14)에 마음의 근본을 깨닫는 것이 참선과 교리의 연구에 있음을 느끼고 참선수행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순천 선암사|선암사(仙巖寺)]]의 [[현변|침굉(枕肱)]]을 찾아가서 선의 진수를 물어 대오(大悟)하였다. [[현변|침굉]]의 인가를 얻은 다음 1년 동안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하여 수행하였고, 1676년(숙종 2)에 [[현변|침굉]]과 함께 조계산 은적암(隱寂庵)의 [[성총|백암 성총(柏庵性聰)]]을 찾아가서 다시 깨달음을 인정받았다.<ref>오형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559 수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활동===
 
===활동===
40번째 줄: 43번째 줄:
 
죽기 직전에는 [[아미타불]] 염불에 전념하다가 나이 68세, 승랍 51세로 입적하였다. 문인들이 다비(茶毘)한 뒤 유골을 모아 부도를 세웠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무용집|무용집(無用集)]]』 3권이 전한다.<ref>오형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559 수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죽기 직전에는 [[아미타불]] 염불에 전념하다가 나이 68세, 승랍 51세로 입적하였다. 문인들이 다비(茶毘)한 뒤 유골을 모아 부도를 세웠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무용집|무용집(無用集)]]』 3권이 전한다.<ref>오형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559 수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순천 선암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100/temple_Seon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51번째 줄: 59번째 줄:
 
| [[혜공]] || [[수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혜공]] || [[수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침굉]] || [[수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현변|침굉]] || [[수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성총]] || [[수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성총]] || [[수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2017년 11월 25일 (토) 02:07 기준 최신판


수연(秀演)
BHST Monk1.png
대표명칭 수연
한자 秀演
무용(無用)
성씨 오씨(吳氏)
본관 용안(龍安)
출신지 전북 익산


정의

조선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수연(秀演, 1651-1719)의 속성 오(吳), 본관 용안(龍安), 호 무용(無用)이다.[1] 8세에 경서(經書)와 『사기(史記)』를 읽었으며, 13세에 부모가 죽자 형에게 의지하여 살았다.[2]

출가수행

19세에 조계산 송광사로 출가하여 혜관(惠寬)의 제자가 되었고, 혜공(慧空)으로부터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그 뒤 불경을 공부하다가 1673년(현종 14)에 마음의 근본을 깨닫는 것이 참선과 교리의 연구에 있음을 느끼고 참선수행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선암사(仙巖寺)침굉(枕肱)을 찾아가서 선의 진수를 물어 대오(大悟)하였다. 침굉의 인가를 얻은 다음 1년 동안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하여 수행하였고, 1676년(숙종 2)에 침굉과 함께 조계산 은적암(隱寂庵)의 백암 성총(柏庵性聰)을 찾아가서 다시 깨달음을 인정받았다.[3]

활동

그때부터 수년 동안 불경을 열람하다가 신불암(新佛庵)·선암사 등지에서 수행하였다. 특히 팔영산(八影山) 제칠봉(第七峯) 밑에 초암을 짓고 고행하면서 선정(禪定)을 닦았다. 1688년에 다시 백암 성총을 찾아가서 『화엄경소(華嚴經疏)』를 공부하였고, 1689년 봄에는 백암 성총을 도와 『화엄경연의(華嚴經演義)』·『간정기(刊定記)』·『정토서(淨土書)』 등의 간행에 동참하였다. 1692년에는 선암사에서 화엄회(華嚴會)를 열었으며, 1700년 7월에는 백암의 뒤를 이어 조실(祖室)이 되었다.[4]

그 뒤 지리산 칠불암(七佛庵)으로 옮겨 후학들을 지도하였고, 1704년에는 용문산 은봉암(隱峯庵)으로 옮겨 스스로 경작하고 추수하면서 수도하였다. 그 때 호남과 영남의 승려 300여 명이 『화엄경』과 『선문염송(禪門拈頌)』의 강의를 청하므로 이에 응하였다.[5]

입적

죽기 직전에는 아미타불 염불에 전념하다가 나이 68세, 승랍 51세로 입적하였다. 문인들이 다비(茶毘)한 뒤 유골을 모아 부도를 세웠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무용집(無用集)』 3권이 전한다.[6]

지식 관계망

  • 순천 선암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혜관 수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혜공 수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침굉 수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성총 수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수연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수연 순천 선암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수연 양산 신불암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수연 하동 칠불암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무용집 수연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수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오형근, "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오형근, "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오형근, "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오형근, "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오형근, "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수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오형근, "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