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지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잔글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정의'''==
 
=='''정의'''==
1615년 경에 [[한백겸|한백겸(韓百謙)]]이 지은 역사지리서.
+
조선 중기에 [[한백겸|한백겸(韓百謙)]]이 지은 역사지리서이다.
  
 
=='''내용'''==
 
=='''내용'''==
1책 60장. 목판본. 1615년([[조선 광해군|광해군]] 7)경에 [[한백겸|한백겸(韓百謙)]]이 지은 『동국지리지』의 간행은 1640년([[조선 인조|인조]] 18) 아들 [[한교흥|교흥(敎興)]]이 했으며, 그 내용은<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562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중국 사서(史書)의 열전(列傳)에 기록된 부족국가에 대한 서술을 인용하여 쓴 부분, 삼국(三國)에 대한 서술 및 부록으로 붙인 서술 부분, 고려에 대한 서술 부분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ref>이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301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책 60장인 목판본이다. 1615년([[조선 광해군|광해군]] 7)경에 [[한백겸|한백겸(韓百謙)]]이 지은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를 1640년([[조선 인조|인조]] 18)아들 [[한교흥|교흥(敎興)]]이 간행하였다. 그 내용은<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562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중국 사서(史書)의 열전(列傳)에 기록된 한반도 부족국가에 대한 서술을 인용하여 쓴 부분, 삼국(三國)에 대한 서술 및 부록으로 붙인 서술 부분, 고려에 대한 서술 부분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ref>이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301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전한서(前漢書)』 <조선전(朝鮮傳)>, 『후한서(後漢書)』 <고구려전>·<예전(濊傳)>·<읍루전(挹婁傳)>·<삼한전(三韓傳)>, 그리고 사군(四郡), 고구려 제성(諸城)·백제 국도(國都)·신라 소병지(所幷地), 고려의 제경(諸京)·진(鎭)·부(府)·현(縣) 등에 관한 기사를 거의 그대로 인용하여 기록하였으며, 여기에 곳곳에 개인적인 견해를 덧붙여 수록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562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전한서(前漢書)』 「조선전(朝鮮傳), 『후한서(後漢書)』 「고구려전」·「예전(濊傳)」·「읍루전(挹婁傳)」·「삼한전(三韓傳), 그리고 사군(四郡), 고구려 제성(諸城)·백제 국도(國都)·신라 소병지(所幷地), 고려의 제경(諸京)·진(鎭)·부(府)·현(縣) 등에 관한 기사를 거의 그대로 인용하여 기록하였으며, 곳곳에 개인적인 견해를 덧붙여 수록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562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윤관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6/E03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55번째 줄: 61번째 줄: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562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562 동국지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헌]]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
[[분류:문헌]]

2018년 1월 15일 (월) 22:47 기준 최신판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
대표명칭 동국지리지
한자표기 東國地理誌
유형 문헌
저자 한백겸(韓百謙)
편자 한백겸(韓百謙)
저술시기 1615년
간행인 한교흥(韓敎興)
시대 조선시대
수량 1책 60장



정의

조선 중기에 한백겸(韓百謙)이 지은 역사지리서이다.

내용

1책 60장인 목판본이다. 1615년(광해군 7)경에 한백겸(韓百謙)이 지은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를 1640년(인조 18)에 아들 교흥(敎興)이 간행하였다. 그 내용은[1] 중국 사서(史書)의 열전(列傳)에 기록된 한반도 부족국가에 대한 서술을 인용하여 쓴 부분, 삼국(三國)에 대한 서술 및 부록으로 붙인 서술 부분, 고려에 대한 서술 부분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2]

『전한서(前漢書)』 「조선전(朝鮮傳)」, 『후한서(後漢書)』 「고구려전」·「예전(濊傳)」·「읍루전(挹婁傳)」·「삼한전(三韓傳)」, 그리고 사군(四郡), 고구려 제성(諸城)·백제 국도(國都)·신라 소병지(所幷地), 고려의 제경(諸京)·진(鎭)·부(府)·현(縣) 등에 관한 기사를 거의 그대로 인용하여 기록하였으며, 곳곳에 개인적인 견해를 덧붙여 수록하였다.[3]

지식관계망

  • 윤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동국지리지 한백겸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동국지리지 한교흥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주석

  1. "동국지리지", 『두산백과』online.
  2. 이찬, "동국지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동국지리지",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