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사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래 및 경과)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1680년([[조선 숙종|숙종]]6) 5월에 [[경신환국]] 때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ref>이태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72 보사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 숙종]] 시기 [[경신환국]] 때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다.<ref>이태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72 보사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유래 및 경과===
 
===유래 및 경과===
[[조선 현종|현종]] 때 폐지되었던 [[도제찰사부]]를 다시 설치하면서 [[남인]]이 병권을 장악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자, [[서인]]은 [[도제찰사부]]의 둔전과 조련을 [[남인]]이 무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고변하였다. 이에 따라 [[남인]]은 축출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이 해 5월 1등에 [[김만기]]와 [[김석주]], 2등에 [[이입신]], 3등에 [[남두북]] 등 3인을 녹두하였다가, 11월 2등에 [[이사명]] 등 4인, 3등에 [[이광한]] 등 2인을 추가로 녹훈하였다. 그러나 보사공신은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삭훈되었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복훈하였다. 보사공신의 녹훈, 삭훈, 복훈의 과정은 [[조선 숙종|숙종]] 때 당쟁의 치열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180쪽.</ref>
+
1680년([[조선 숙종]]6) 5월 [[조선 현종|현종]] 때 폐지되었던 [[도제찰사부]]를 다시 설치하면서 [[남인]]이 병권을 장악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자, [[서인]]은 [[도제찰사부]]의 둔전군 조련을 [[남인]]이 무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고변하였다. 이에 따라 [[남인]]은 축출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이 해 5월 1등에 [[김만기]]와 [[김석주]], 2등에 [[이입신]], 3등에 [[남두북]] 등 3인을 녹훈하고 11월 2등에 [[이사명]] 등 4인, 3등에 [[이광한]] 등 2인을 추록하였다. 그러나 보사공신은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도로 삭훈되었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복훈하였다. 보사공신의 녹훈-삭훈-복훈의 과정은 [[조선 숙종|숙종]] 때 벌어진 당쟁의 치열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180쪽.</ref>
 +
 
 
===보사공신화상(保社功臣畫像)===
 
===보사공신화상(保社功臣畫像)===
보사공신 1등 하나인 [[김석주]]의 모습을 그린 [[김석주 공신도상|공신도상(功臣圖像)]]이 존재한다. 공신의 사후에 화상이 제작된 희귀한 예로 공신화상의 새로운 형식과 중국 초상화풍의 영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
1등 보사공신 중 한 사람인 [[김석주]]의 모습을 그린 [[김석주 공신도상|공신도상(功臣圖像)]]이 존재한다. 공신의 사후에 화상이 제작된 희귀한 예로 공신화상의 새로운 형식과 중국 초상화풍의 영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89번째 줄: 90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 자원
 
#웹 자원
101번째 줄: 103번째 줄:
 
# 문숙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092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문숙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092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개념]]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개념]]
 +
[[분류:개념]]

2018년 1월 11일 (목) 23:42 기준 최신판

보사공신
(保社功臣)
Bosa.png
대표명칭 보사공신
한자표기 保社功臣
유형 제도



정의

조선 숙종 시기 경신환국 때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다.[1]

내용

유래 및 경과

1680년(조선 숙종6) 5월 현종 때 폐지되었던 도제찰사부를 다시 설치하면서 남인이 병권을 장악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자, 서인도제찰사부의 둔전군 조련을 남인이 무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고변하였다. 이에 따라 남인은 축출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이 해 5월 1등에 김만기김석주, 2등에 이입신, 3등에 남두북 등 3인을 녹훈하고 11월 2등에 이사명 등 4인, 3등에 이광한 등 2인을 추록하였다. 그러나 보사공신은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도로 삭훈되었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복훈하였다. 보사공신의 녹훈-삭훈-복훈의 과정은 숙종 때 벌어진 당쟁의 치열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2]

보사공신화상(保社功臣畫像)

1등 보사공신 중 한 사람인 김석주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功臣圖像)이 존재한다. 공신의 사후에 화상이 제작된 희귀한 예로 공신화상의 새로운 형식과 중국 초상화풍의 영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보사공신 경신환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석주 공신도상 보사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김만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김석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이입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남두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정원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박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이사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김익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조태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신범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이광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사공신 이원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74년 서인이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에게 패배하였다.
1680년 4월 경인환국으로 남인이 몰락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1680년 5월 김석주 등 6인이 보사공신에 훈록(勳錄)되었다.
1680년 11월 이사명 등 6인이 보사공신에 추록(追錄)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여 보사공신을 삭제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로 서인이 재집권하여 다시 훈명을 추록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160470 127.3006060 김석주 공신도상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태진, "보사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18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태진, "보사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특별전 도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유용한 정보

  1. "보사공신",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보사공신",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1. 최승희, "보사원종공신개수녹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문숙자,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