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사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유래 및 경과)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숙종]] 시기 [[경신환국]] 때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다.<ref>이태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72 보사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내용'''== | =='''내용'''== | ||
===유래 및 경과=== | ===유래 및 경과=== | ||
− | [[조선 현종|현종]] 때 폐지되었던 [[도제찰사부]]를 다시 설치하면서 [[남인]]이 병권을 장악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자, [[서인]]은 [[도제찰사부]]의 | + | 1680년([[조선 숙종]]6) 5월 [[조선 현종|현종]] 때 폐지되었던 [[도제찰사부]]를 다시 설치하면서 [[남인]]이 병권을 장악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자, [[서인]]은 [[도제찰사부]]의 둔전군 조련을 [[남인]]이 무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고변하였다. 이에 따라 [[남인]]은 축출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이 해 5월 1등에 [[김만기]]와 [[김석주]], 2등에 [[이입신]], 3등에 [[남두북]] 등 3인을 녹훈하고 11월 2등에 [[이사명]] 등 4인, 3등에 [[이광한]] 등 2인을 추록하였다. 그러나 보사공신은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도로 삭훈되었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복훈하였다. 보사공신의 녹훈-삭훈-복훈의 과정은 [[조선 숙종|숙종]] 때 벌어진 당쟁의 치열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180쪽.</ref> |
+ | |||
===보사공신화상(保社功臣畫像)=== | ===보사공신화상(保社功臣畫像)=== | ||
− | 보사공신 | + | 1등 보사공신 중 한 사람인 [[김석주]]의 모습을 그린 [[김석주 공신도상|공신도상(功臣圖像)]]이 존재한다. 공신의 사후에 화상이 제작된 희귀한 예로 공신화상의 새로운 형식과 중국 초상화풍의 영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89번째 줄: | 90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웹 자원 | ||
101번째 줄: | 103번째 줄: | ||
# 문숙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092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문숙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092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개념]]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개념]] | ||
+ | [[분류:개념]] |
2018년 1월 11일 (목) 23:42 기준 최신판
보사공신 (保社功臣) |
|
대표명칭 | 보사공신 |
---|---|
한자표기 | 保社功臣 |
유형 | 제도 |
목차
정의
조선 숙종 시기 경신환국 때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다.[1]
내용
유래 및 경과
1680년(조선 숙종6) 5월 현종 때 폐지되었던 도제찰사부를 다시 설치하면서 남인이 병권을 장악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자, 서인은 도제찰사부의 둔전군 조련을 남인이 무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고변하였다. 이에 따라 남인은 축출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이 해 5월 1등에 김만기와 김석주, 2등에 이입신, 3등에 남두북 등 3인을 녹훈하고 11월 2등에 이사명 등 4인, 3등에 이광한 등 2인을 추록하였다. 그러나 보사공신은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도로 삭훈되었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복훈하였다. 보사공신의 녹훈-삭훈-복훈의 과정은 숙종 때 벌어진 당쟁의 치열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2]
보사공신화상(保社功臣畫像)
1등 보사공신 중 한 사람인 김석주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功臣圖像)이 존재한다. 공신의 사후에 화상이 제작된 희귀한 예로 공신화상의 새로운 형식과 중국 초상화풍의 영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보사공신 | 경신환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석주 공신도상 | 보사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김만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김석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이입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남두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정원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박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이사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김익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조태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신범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이광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사공신 | 이원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74년 | 서인이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에게 패배하였다. |
1680년 4월 | 경인환국으로 남인이 몰락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
1680년 5월 | 김석주 등 6인이 보사공신에 훈록(勳錄)되었다. |
1680년 11월 | 이사명 등 6인이 보사공신에 추록(追錄)되었다. |
1689년 |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여 보사공신을 삭제하였다. |
1694년 | 갑술옥사로 서인이 재집권하여 다시 훈명을 추록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160470 | 127.3006060 | 김석주 공신도상은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태진, "보사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태진, "보사공신",
- 특별전 도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유용한 정보
- "보사공신",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보사공신",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더 읽을거리
- 최승희, "보사원종공신개수녹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문숙자,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