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화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경내 문화재) |
잔글 (→관련 문화유산)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 +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사찰이다. |
=='''내용'''== | =='''내용'''== | ||
− | 493년([[신라 | + | 493년 (신라 [[신라 소지마립간|소지마립간]] 15) 극달(極達)이 세운 유가사(瑜伽寺)를 832년([[신라 흥덕왕|흥덕왕]] 7)에 심지(心地)가 중건(重建)할 때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여 있어 동화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748&cid=40942&categoryId=31548 동화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934년 선사 영조(靈照)가 중창하였고, 1190년([[고려 명종|명종]] 20) [[지눌|지눌(知訥)]]이, 1298년([[고려 충렬왕|충렬왕]] 24) 국사 홍진(弘眞)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1606년([[조선 선조|선조]] 39) [[유정|유정(惟政)]]이 중창을 하였고, 1677년([[조선 숙종|숙종]] 3) 상숭(尙崇)에 이어, 1732년([[조선 영조|영조]] 8) 관허(冠虛)·운구(雲丘)·낙빈(洛濱)·청월(晴月) 등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906 동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관련 문화유산=== | ===관련 문화유산===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대구 동화사 대웅전|대구 동화사 대웅전(大邱 桐華寺 大雄殿, 보물 제1563호)]] | *[[대구 동화사 대웅전|대구 동화사 대웅전(大邱 桐華寺 大雄殿, 보물 제1563호)]] | ||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43호)]] |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43호)]] | ||
− | *[[지눌 진영(동화사)|대구 동화사 | + | *[[지눌 진영(동화사)|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大邱 桐華寺 普照國師知訥 眞影, 보물 제1693호)]] |
*[[유정 진영(동화사)|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大邱 桐華寺 泗溟堂 惟政 眞影, 보물 제1505호)]] | *[[유정 진영(동화사)|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大邱 桐華寺 泗溟堂 惟政 眞影, 보물 제1505호)]] | ||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大邱 桐華寺 阿彌陀會上圖, 보물 제1610호)]] |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大邱 桐華寺 阿彌陀會上圖, 보물 제1610호)]]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22/E022.htm 지눌 그래프]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2/E02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62번째 줄: | 69번째 줄: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 ||
+ | [[분류:문화유산]] |
2018년 1월 9일 (화) 22:21 기준 최신판
대구 동화사 (大邱 桐華寺) |
|
대표명칭 | 대구 동화사 |
---|---|
한자 | 大邱 桐華寺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팔공산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사찰이다.
내용
493년 (신라 소지마립간 15) 극달(極達)이 세운 유가사(瑜伽寺)를 832년(흥덕왕 7)에 심지(心地)가 중건(重建)할 때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여 있어 동화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1] 934년 선사 영조(靈照)가 중창하였고, 1190년(명종 20) 지눌(知訥)이, 1298년(충렬왕 24) 국사 홍진(弘眞)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1606년(선조 39) 유정(惟政)이 중창을 하였고, 1677년(숙종 3) 상숭(尙崇)에 이어, 1732년(영조 8) 관허(冠虛)·운구(雲丘)·낙빈(洛濱)·청월(晴月) 등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2]
관련 문화유산
-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大邱 桐華寺 幢竿支柱, 보물 제254호)
- 대구 동화사 대웅전(大邱 桐華寺 大雄殿, 보물 제1563호)
-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43호)
-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大邱 桐華寺 普照國師知訥 眞影, 보물 제1693호)
-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大邱 桐華寺 泗溟堂 惟政 眞影, 보물 제1505호)
-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大邱 桐華寺 阿彌陀會上圖, 보물 제1610호)
-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大邱 桐華寺 地藏十王圖, 보물 1773호)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대구 동화사 | 극달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대구 동화사 | 심지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대구 동화사 | 지눌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대구 동화사 | 유정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유정 진영(동화사) | 대구 동화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지눌 진영(동화사) | 대구 동화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