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 goryeo_official.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신숭겸
 
|대표명칭= 신숭겸
21번째 줄: 21번째 줄:
 
|부=  
 
|부=  
 
|모=  
 
|모=  
|자녀=  
+
|자녀= 보장(甫藏)
 
|전임자=
 
|전임자=
 
|후임자=
 
|후임자=
29번째 줄: 29번째 줄:
 
|유형=
 
|유형=
 
}}
 
}}
 
 
=='''정의'''==
 
=='''정의'''==
후고구려의 건국자, 왕.
+
고려 초의 무신이다.
  
 
=='''내용'''==
 
=='''내용'''==
궁예는 신라왕족이었으나 왕실의 내분으로 밀려나 유모에 의해 키워졌으며, 세달사(世達寺)에서 중이 되어 선종(善宗)이라 이름 지었다. 891년 기훤의 부하로 들어갔다가 이듬해 양길의 부하로 들어가 신임을 얻었고, 군사를 나누어 받아 세력을 키우자, 894년 양길과 결별하고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한 후 양길을 쳐서 그 세력이 강원·경기·황해 뿐 아니라 충청북도 일대까지 미쳤다. 901년([[신라 효공왕|효공왕]] 5)에는 송악(개성)을 근거로 후고구려를 세워 스스로 왕이 되었으며, 904년에는 국호를 마진(摩震)으로 바꾸고 이듬해 수도를 철원으로 옮겼으며, 911년에는 국호를 다시 태봉(泰封)이라 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09&cid=42957&categoryId=42957 궁예]", 한국고중세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가계===
 +
본관은 평산이고, 초명은 능산(能山)으로 [[평산 신씨|평산(平山) 신씨(申氏)]]의 시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전라도 곡성 출신으로 태조(太祖)가 평산에서 사성(賜姓)하였다고 하고, 『[[고려사]]』 열전(列傳)에는 광해주(光海州:지금의 강원도 춘천) 사람이라 하였다. 그런데 『[[신증동국여지승람]]』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인물조에 그의 이름이 실려 있고 그의 묘가 춘천에 있는 것 등으로 볼 때 본래 곡성 출신인데 춘천에 옮겨온 것으로 보인다.
 +
 
 +
===내용===
 +
후백제 말년의 장수로서 [[배현경|배현경(裵玄慶)]]ㆍ[[홍유|홍유(洪儒)]]ㆍ[[복지겸|복지겸(卜智謙)]] 등과 모의하여 [[고려 태조|왕건(王建)]]추대해서 고려 개국의 대업을 이루었다. 927년([[고려 태조|태조]] 10) 신라를 도와 공주 공산(公山)에서 [[견훤|견훤(甄萱)]]과의 전투 중 포위를 당하여 전세가 위태로웠다. 이 때 신숭겸이 [[고려 태조|왕건]]과 옷을 바꿔 입고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게 하였으며 자신은 [[김낙|김낙(金樂)]]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고려 태조|태조]]는 그의 죽음을 슬퍼하여 숭겸의 아우 능길(能吉)과 아들 보(甫)로 원윤(元尹)을 삼고 지묘사(智妙寺)를 새로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2605&cid=43671&categoryId=43671 신숭겸]",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 후 차츰 교만하여져서 스스로 미륵불(彌勒佛)이라 하고 그 장자를 청광 보살(靑光菩薩), 막내를 신광 보살(神光菩薩)이라 한 후, 일반 민중에게 기괴한 위용으로 그 위세를 과시, 더욱 기교 잔인하여 인심을 잃었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고:"[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7736&cid=43671&categoryId=43671 궁예]",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과정에서 역모를 의심하여 평소 우대하던 승려 [[형미|형미(逈微)]]를 처형하기도 했다.특히 신라를 멸도(滅都)라 일컫게 하고, 투항한 신라인을 모조리 죽이는 등 전제군주로서 횡포가 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1660 궁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에 장군 [[홍유]]ㆍ신숭겸 등은 마침내 [[고려 태조|왕건]]을 추대하고 반기를 들었으므로 궁예는 난을 피하였으나, 백성에게 살해되었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고:"[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7736&cid=43671&categoryId=43671 궁예]",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고려 예종|예종(睿宗)]]은 그와 김낙을 추도하여 『[[도이장가|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었으며,<ref>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524&cid=41708&categoryId=41711 신숭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994년에는([[고려 성종|성종]] 13)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사 개국장절공(太師開國壯節公)으로 태묘(太廟)의 태조 사당에 배향(配享)되었다.<ref>박한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141 신숭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안성 칠장사|안성 칠장사(安城 七長寺)]]의 명부전 벽에는 궁예가 등장하는데 이는 궁예가 13세까지 절에서 활연습을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강원도 춘천시에는 신숭겸의 묘역([[신장절공묘역]])조성되어 있는데, 도굴을 염려해 시신은 하나에 봉분은 셋인 1기 3분의 특이한 형태를 보인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749 신장절공묘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고려 태조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4/E02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궁예]]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숭겸]] || [[고려 태조]] || A는 B의 신하이다 || A ekc:hasSubject B
 +
|-
 +
|[[도이장가]] || [[신숭겸]] || A는 B를 언급한다 || A ekc:mentions B
 
|-
 
|-
|[[궁예]] || [[형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숭겸]] || [[궁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궁예]] || [[안성 칠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숭겸]] || [[신장절공묘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59번째 줄: 71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09&cid=42957&categoryId=42957 궁예]", 한국고중세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2605&cid=43671&categoryId=43671 신숭겸]",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1660 궁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524&cid=41708&categoryId=41711 신숭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고:"[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7736&cid=43671&categoryId=43671 궁예]",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박한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141 신숭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웹 자원
 
*웹 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789 궁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9748 신숭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김한종, 『한국사 사전 3 - 나라와 민족·기구와 단체·역사 인물: 내 책상 위의 역사 선생님』, 2015.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0594&cid=47306&categoryId=47306 궁예]", 어린이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C%88%AD%EA%B2%B8 신숭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고운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979&cid=59015&categoryId=59015 궁예]",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장세경, 『한국 고대 인명사전』, 도서출판 역락, 2007.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71761&cid=42953&categoryId=42953 궁예]", 한국 고대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s://ko.wikipedia.org/wiki/%EA%B6%81%EC%98%88 궁예]",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논문
 
*논문
**서금석, 「궁예의 국도 선정과 국호·연호 제정의 성격」, 『한국중세사연구』 제42호, 2015. 213-246쪽.  
+
**문안식, 「신숭겸의 出自와 후삼국 통일 전쟁기의 활약」, 신라사학보 제36호, 신라사학회, 2016, 211~255쪽.
**이재범,이광섭 「궁예의 불교사상에 관한 고찰」, 『신라사학보』 제 31호, 2014. 185-223쪽.
+
**이해준, 「申崇謙의 願刹과 朝鮮時代 墳庵」, 인문과학연구 제42집, 인문과학연구, 2014, 249~269쪽.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8년 1월 4일 (목) 16:41 기준 최신판

신숭겸(申崇謙)
Goryeo official.png
대표명칭 신숭겸
한자표기 申崇謙
생몰년 ?-927년
본관 평산(平山)
이칭 능산(能山)
시호 장절(壯節)
시대 신라시대
자녀 보장(甫藏)


정의

고려 초의 무신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평산이고, 초명은 능산(能山)으로 평산(平山) 신씨(申氏)의 시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전라도 곡성 출신으로 태조(太祖)가 평산에서 사성(賜姓)하였다고 하고, 『고려사』 열전(列傳)에는 광해주(光海州:지금의 강원도 춘천) 사람이라 하였다. 그런데 『신증동국여지승람』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인물조에 그의 이름이 실려 있고 그의 묘가 춘천에 있는 것 등으로 볼 때 본래 곡성 출신인데 춘천에 옮겨온 것으로 보인다.

내용

후백제 말년의 장수로서 배현경(裵玄慶)홍유(洪儒)복지겸(卜智謙) 등과 모의하여 왕건(王建)을 추대해서 고려 개국의 대업을 이루었다. 927년(태조 10) 신라를 도와 공주 공산(公山)에서 견훤(甄萱)과의 전투 중 포위를 당하여 전세가 위태로웠다. 이 때 신숭겸이 왕건과 옷을 바꿔 입고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게 하였으며 자신은 김낙(金樂)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태조는 그의 죽음을 슬퍼하여 숭겸의 아우 능길(能吉)과 아들 보(甫)로 원윤(元尹)을 삼고 지묘사(智妙寺)를 새로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1]

예종(睿宗)은 그와 김낙을 추도하여 『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었으며,[2] 994년에는(성종 13)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사 개국장절공(太師開國壯節公)으로 태묘(太廟)의 태조 사당에 배향(配享)되었다.[3]

강원도 춘천시에는 신숭겸의 묘역(신장절공묘역)이 조성되어 있는데, 도굴을 염려해 시신은 하나에 봉분은 셋인 1기 3분의 특이한 형태를 보인다.[4]

지식 관계망

  • 고려 태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숭겸 고려 태조 A는 B의 신하이다 A ekc:hasSubject B
도이장가 신숭겸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신숭겸 궁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숭겸 신장절공묘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신숭겸",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신숭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박한설, "신숭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신장절공묘역",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신숭겸",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신숭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박한설, "신숭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논문
    • 문안식, 「신숭겸의 出自와 후삼국 통일 전쟁기의 활약」, 신라사학보 제36호, 신라사학회, 2016, 211~255쪽.
    • 이해준, 「申崇謙의 願刹과 朝鮮時代 墳庵」, 인문과학연구 제42집, 인문과학연구, 2014, 249~2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