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광사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상에 묘사된 모습)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광사 초상.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광사 초상.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0500427000000 이광사 초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
 
|대표명칭= 이광사 초상
 
|대표명칭= 이광사 초상
 
|한자명칭= 李匡師 肖像
 
|한자명칭= 李匡師 肖像
36번째 줄: 36번째 줄:
  
 
===초상에 묘사된 모습===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광사 초상>은 [[방건]]에 [[도포]]를 입은 야복 차림으로, [[좌안팔분면]]에 공수자세를 하고 있는 부좌상(趺坐像)이다. [[도포]]는 외곽선과 [[의습]]을 [[도포]] 색보다 짙게 담묵을 칠한 후 선묘 처리하였고 몸체 윤곽의 바깥은 어둡게 선염 처리하여 공간감을 부여하고 몸체를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머리에 쓴 [[방건]]의 성근 발 사이로 상투를 튼 모습이 보인다. 안면은 전체적으로 홍갈색을 기조로 하면서 두께와 농담에 차이를 둔 갈색 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규정하고 이목구비를 표현했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70쪽.</ref><br/>
+
<이광사 초상>은 [[방건]]에 [[도포]]를 입은 야복 차림으로, [[좌안팔분면]]에 공수자세를 하고 있는 부좌상(趺坐像)이다. [[도포]]는 외곽선과 의습을 [[도포]] 색보다 짙게 담묵을 칠한 후 선묘 처리하였고 몸체 윤곽의 바깥은 어둡게 선염 처리하여 공간감을 부여하고 몸체를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머리에 쓴 [[방건]]의 성근 발 사이로 상투를 튼 모습이 보인다. 안면은 전체적으로 홍갈색을 기조로 하면서 두께와 농담에 차이를 둔 갈색 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규정하고 이목구비를 표현했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70쪽.</ref><br/>
얼굴의 생김새는 숱이 많고 긴 수염, 네모진 얼굴, 쌍꺼풀의 큰 눈, 길고 큰 코가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진한 인상을 주고 있는데 [[이광려]]의 기록에 부합하는 면이 있다.
+
얼굴의 생김새는 숱이 많고 긴 수염, 네모진 얼굴, 쌍꺼풀의 큰 눈, 길고 큰 코가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진한 인상을 주고 있는데 [[이광려]]의 [[원교선생묘지명|기록]]에 부합하는 면이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72번째 줄: 72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711년 || [[이색 초상]]이 제작되었다.
+
| 1775년  || [[이광사 초상]]이 제작되었다.
 
|-
 
|-
| 1995년 3월 10일 || [[이색 초상]]이 보물 제1215-1호로 지정되었다.
+
| 2006년 12월 29일  || [[이광사 초상]]이 보물 제1486호로 지정되었다.
 
|}
 
|}
  
81번째 줄: 81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674358 || 126.695273 ||  [[이색 초상]]은 [[예산 누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 37.5238510 || 126.9804700 ||  [[이광사 초상]]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광사 초상.jpg|[[이광사 초상]]<ref>국립중앙박물관,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0500427000000 이광사 초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ref>
 +
</gallery>
  
 
=='''주석'''==
 
=='''주석'''==
92번째 줄: 9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42 이색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6년 26일.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686 이광사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6년 26일.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 눌와, 2007.
 +
#*  이수미, 이혜경, 『조선시대 초상화Ⅱ』, 국립중앙박물관, 2008.
 
# 전시도록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논문
 +
#* 이원복 「일재 신한평의 화경 (逸齋 申漢枰의 畵境)」, 『동악미술사학』  창간호, 동악미술사학회, 2009, 29-45쪽.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3일 (목) 16:17 기준 최신판


이광사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이광사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한자명칭 李匡師 肖像
작가 신한평
제작시기 1775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486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66.8x53.7cm


정의

조선시대 서예가, 학자인 이광사(1705~1777)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광사 초상>은 화원 신한평이 그린 작품으로 이광사의 70세 때의 모습이다.
화면 오른쪽 상단에 화제가 쓰여 있다.

Quote-left.png

조선국 완산 이공, 휘는 광사, 자는 도보, 호 원교선생 유상(朝鮮國 完山李公 諱匡師 字道甫 號圓嶠先生 遺像)
우리 영묘 임오년(1762)에 선생은 부령에서 신지도로 이배되었으며, 정유년(1777) 8월 26일에 섬의 금실촌 우사에서 돌아가셨다. 향년 73세였다.(鮮國 完山李公 諱匡師 字道甫 號圓嶠先生 遺像 我 英廟 壬午 先生自富寧移謫 薪智島 丁酉 八月二十六日卒 于島之 金實村寓舍 壽七十三)
이 초상은 70세 선생이 70년 되는 갑오년(1774) 겨울에 신한평이 그린 것이다.(此本卽 先生七十歲 甲午冬 畵師申漢枰 所寫)
8월 26일은 선생의 생신이다. 선생께서는 섬에 계실 때 자칭 수북노인이라 하셨다(八月 二十六日 卽 先生 降辰先生在島 自稱壽北老人)

Quote-right.png
출처: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68~269쪽.[1]


이 화제를 통해 화원 신한평이 유배지로 찾아가 이광사의 70세 초상을 그린 것을 알 수 있다.[2]
<이광사 초상>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작가인 신한평어진도사에도 참여했던 뛰어난 초상화가였다. 몇 점 남아있지 않은 유배지에서 그려진 초상화이며 신한평의 작품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초상화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이광사의 외모에 관해서는 친척인 이광려(李匡呂)가 쓴 「원교선생묘지명(圓嶠先生墓誌銘)」에 “몸과 얼굴이 두텁고 크니 쳐다보면 천연스럽고 귀중(貴重)하며 또 음량(飮量)이 크고 목소리가 우렁찼다”는 구절이 있다.[3]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광사 초상>은 방건도포를 입은 야복 차림으로, 좌안팔분면에 공수자세를 하고 있는 부좌상(趺坐像)이다. 도포는 외곽선과 의습을 도포 색보다 짙게 담묵을 칠한 후 선묘 처리하였고 몸체 윤곽의 바깥은 어둡게 선염 처리하여 공간감을 부여하고 몸체를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머리에 쓴 방건의 성근 발 사이로 상투를 튼 모습이 보인다. 안면은 전체적으로 홍갈색을 기조로 하면서 두께와 농담에 차이를 둔 갈색 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규정하고 이목구비를 표현했다.[4]
얼굴의 생김새는 숱이 많고 긴 수염, 네모진 얼굴, 쌍꺼풀의 큰 눈, 길고 큰 코가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진한 인상을 주고 있는데 이광려기록에 부합하는 면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광사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광사 초상 이광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광사 초상 신한평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광사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광사 초상 이광사 초상 화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광사 초상 원교선생묘지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원교선생묘지명 이광려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이광려 이광사 A는 B와 같은 혈족이다 A ekc:isLineageKinOf B
이광사 초상 좌안팔분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방건 이광사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도포 이광사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75년 이광사 초상이 제작되었다.
2006년 12월 29일 이광사 초상이 보물 제1486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이광사 초상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68~269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68~269쪽.
  3. 軆䫉敦碩。望之天然貴重。又洪於飮量。善言笑。李匡呂, 「圓嶠先生墓誌銘」, 『圓嶠集』.
  4.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70쪽.
  5. 국립중앙박물관, "이광사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이광사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6년 26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 눌와, 2007.
    • 이수미, 이혜경, 『조선시대 초상화Ⅱ』, 국립중앙박물관, 2008.
  2.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 논문
    • 이원복 「일재 신한평의 화경 (逸齋 申漢枰의 畵境)」, 『동악미술사학』 창간호, 동악미술사학회, 2009, 29-4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