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윤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윤선도와 윤두서)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전라남도 해남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 |
+ | |||
==내용== | ==내용== | ||
===해남 입향과 부흥=== | ===해남 입향과 부흥=== | ||
− | 해남윤씨(海南尹氏)의 시조는 고려 중엽 때 인물인 윤존부(尹存富)로 알려져 있다. 해남 윤씨가 해남을 근거지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윤효정(尹孝貞)대로 이 시기 이후 본관으로 삼은 것으로 파악된다. 어초은(漁樵隱) 윤효정은 당대 거부였던 해남 정씨 정호장(鄭戶長)의 외동딸과 | + | 해남윤씨(海南尹氏)의 시조는 고려 중엽 때 인물인 윤존부(尹存富)로 알려져 있다. 해남 윤씨가 해남을 근거지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윤효정(尹孝貞) 대로 이 시기 이후 본관으로 삼은 것으로 파악된다. 어초은(漁樵隱) 윤효정은 당대 거부였던 해남 정씨 정호장(鄭戶長)의 외동딸과 결혼하여 정호장의 재산을 물려받고 일약 거부가 되었다. 그는 백성이 어려울 때 사재를 털어 구휼하고 죄인을 방면하는 등 선행을 베풀어 ‘적선지가(積善之家)’라는 칭송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그 이후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해남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30722023966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ref> |
+ | |||
===윤선도와 윤두서=== | ===윤선도와 윤두서=== | ||
− | + | 윤효정은 [[고산 윤선도 |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고조부이다. 윤선도는 윤의중의 손자로, 1612(광해군 4)년에 처음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예송논쟁]]을 비롯한 각종 사화에 얽혀 긴 유배생활을 했다. 윤선도는 그보다 50년을 앞서 살았던 정철과 함께 한글 문학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현재 전해지는 그의 시조는 75수 정도이며 대부분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뒤 은둔지로 택한 보길도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윤선도의 증손 공재 [[윤두서]]는 숙종 때 극사실주의 화가로 유명하며 심사정·정선과 함께 3재로 일컬어졌다. 그의 [[윤두서 자화상 | 자화상]]은 국보 240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외 가전되어온 고화첩도 보물 481호로 지정되었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30722023966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ref>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해남 윤씨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48/E04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7/A207.htm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52번째 줄: | 63번째 줄: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57번째 줄: | 6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 | |||
− | |||
*논문 | *논문 | ||
**이병삼, 「15~16세기 해남지방 재지사족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일고찰 : 해남정씨가의 혼맥 관계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이병삼, 「15~16세기 해남지방 재지사족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일고찰 : 해남정씨가의 혼맥 관계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
66번째 줄: | 76번째 줄: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단체]]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단체]] | ||
+ | [[분류:단체]] |
2018년 1월 15일 (월) 01:23 기준 최신판
해남 윤씨(해남 윤씨(海南尹氏)) | |
대표명칭 | 해남 윤씨 |
---|---|
한자표기 | 해남 윤씨(海南尹氏) |
유형 | 종가 |
창립자 | 윤존부(尹存富) |
창립시대 | 고려 |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내용
해남 입향과 부흥
해남윤씨(海南尹氏)의 시조는 고려 중엽 때 인물인 윤존부(尹存富)로 알려져 있다. 해남 윤씨가 해남을 근거지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윤효정(尹孝貞) 대로 이 시기 이후 본관으로 삼은 것으로 파악된다. 어초은(漁樵隱) 윤효정은 당대 거부였던 해남 정씨 정호장(鄭戶長)의 외동딸과 결혼하여 정호장의 재산을 물려받고 일약 거부가 되었다. 그는 백성이 어려울 때 사재를 털어 구휼하고 죄인을 방면하는 등 선행을 베풀어 ‘적선지가(積善之家)’라는 칭송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그 이후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해남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1]
윤선도와 윤두서
윤효정은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고조부이다. 윤선도는 윤의중의 손자로, 1612(광해군 4)년에 처음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예송논쟁을 비롯한 각종 사화에 얽혀 긴 유배생활을 했다. 윤선도는 그보다 50년을 앞서 살았던 정철과 함께 한글 문학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현재 전해지는 그의 시조는 75수 정도이며 대부분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뒤 은둔지로 택한 보길도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윤선도의 증손 공재 윤두서는 숙종 때 극사실주의 화가로 유명하며 심사정·정선과 함께 3재로 일컬어졌다. 그의 자화상은 국보 240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외 가전되어온 고화첩도 보물 481호로 지정되었다.[2]
지식 관계망
- 해남 윤씨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남 윤씨 | 윤존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해남 윤씨 | 윤효정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해남 윤씨 | 윤선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해남 윤씨 | 윤두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고산유고 | 윤선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윤두서 자화상 | 윤두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윤존부 | 윤효정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윤효정 | 윤선도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윤선도 | 윤의미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윤의미 | 윤두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주석
- ↑ 김성희,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
- ↑ 김성희,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병삼, 「15~16세기 해남지방 재지사족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일고찰 : 해남정씨가의 혼맥 관계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문숙자, 「조선후기 양반가계(兩班家系)와 지역민(地域民)의 관계 및 그 변화양상 -해남윤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Vol.48, 한국고문서학회, 2016.
- 권수용, 「기획논문 -문중고문서를 통해 본 호남지역의 사회와 문화 : 해남윤씨 문중 문헌록 연구」, 『古文書硏究(』 Vol.38, 한국고문서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