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역사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전시된 유물) |
잔글 (→규모 및 외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장소정보 | {{장소정보 | ||
− | |사진= | + | |사진= museum1.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조선중앙역사박물관 | |대표명칭=조선중앙역사박물관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평양직할시에 있는 역사계통의 박물관이다. | |
==내용== | ==내용==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규모 및 외관=== | ===규모 및 외관=== | ||
− | 연건평 1,429㎡ 규모의 3층 건물로 김일성광장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양식으로 지어진 조선미술박물관과 마주보고 있다. 박물관의 중앙홀은 2층까지 | + | 연건평 1,429㎡ 규모의 3층 건물로 김일성광장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양식으로 지어진 조선미술박물관과 마주보고 있다. 박물관의 중앙홀은 1층에서 2층까지 뚫려 있는 메자닌(중이층)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김일성 동상이 있고, 현관홀과 연결된 계단이 있다.<ref>전영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217 조선중앙력사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전시된 유물=== | ===전시된 유물=== | ||
− | 전시된 유물은 10만 3천여 점으로 원시사회 부분·고대 부분·봉건사회 부분·근대 | + | 전시된 유물은 10만 3천여 점으로 원시사회 부분·고대 부분·봉건사회 부분·근대 부분으로 구분하여 19개의 전시설에 전시되어 있다. 고조선 시기의 유적으로는 남경부락 36호 유적지에서 발견된 벼, 기장, 수수, 콩 등의 곡식, 구석기 시대의 인골과 마제석기, 신석기시대의 돌도끼 등이 있다. |
− | 삼국시대의 유물로는 평양 토성리의 1,300여 기의 고분군에서 출토된 거울, 화폐, 마구 등의 생활용구, 평양 연광정 부근 대동강변에서 출토된 고구려 시대의 금석문인 '각자성석' 등이 있다. 이외에도 고려자기, 금속활자로 인쇄한 책, 고려시기 금속활자인 '이마전', 강원도 고성군 신계사에서 출토된 오동향로, 조선시대의 옥쇄, [[묘법연화경 언해]] | + | 삼국시대의 유물로는 평양 토성리의 1,300여 기의 고분군에서 출토된 거울, 화폐, 마구 등의 생활용구, 평양 연광정 부근 대동강변에서 출토된 고구려 시대의 금석문인 '각자성석' 등이 있다. 이외에도 고려자기, 금속활자로 인쇄한 책, 고려시기 금속활자인 '이마전', 강원도 고성군 신계사에서 출토된 오동향로, 조선시대의 옥쇄, 『[[묘법연화경 언해]]』를 비롯한 한글 서적, 『[[경국대전]]』, 의학서적, 침과 침통, 해시계, 측우기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f>전영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217 조선중앙력사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의의=== | ===의의===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묘법연화경 언해]]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 + | | [[묘법연화경 언해]]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경국대전]]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 + | | [[경국대전]]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각자성석]]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 + | | [[각자성석]]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2017년 11월 30일 (목) 01:17 기준 최신판
조선중앙역사박물관(朝鮮中央歷史博物館) | |
대표명칭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
한자표기 | 朝鮮中央歷史博物館 |
주소 | 평양직할시 중구역 대동문동 |
관련물품 | 묘법연화경 언해 |
|
정의
평양직할시에 있는 역사계통의 박물관이다.
내용
설립 목적 및 연혁
조선중앙역사박물관은 광복되던 해인 1945년 12월 1일 역사유물들을 온전히 보존하고, 인민들에게 조선의 역사를 교양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모란봉구역에 국립중앙역사박물관으로 창립하였으나, 1964년 8월 28일 내각비준 제687호에 의거해 조선역사박물관으로 개칭하였고, 1977년 현재의 자리인 중구역 대동문동으로 옮기면서, 박물관 명칭도 조선중앙역사박물관으로 바뀌었다. 2006년에 대대적인 내부 수리와 함께 현대화 작업을 거치면서 박물관 내부 구조를 현대적으로 개건하였으며, 박물관 내의 유물보존실도 새롭게 바꾸었다.[1]
규모 및 외관
연건평 1,429㎡ 규모의 3층 건물로 김일성광장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양식으로 지어진 조선미술박물관과 마주보고 있다. 박물관의 중앙홀은 1층에서 2층까지 뚫려 있는 메자닌(중이층)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김일성 동상이 있고, 현관홀과 연결된 계단이 있다.[2]
전시된 유물
전시된 유물은 10만 3천여 점으로 원시사회 부분·고대 부분·봉건사회 부분·근대 부분으로 구분하여 19개의 전시설에 전시되어 있다. 고조선 시기의 유적으로는 남경부락 36호 유적지에서 발견된 벼, 기장, 수수, 콩 등의 곡식, 구석기 시대의 인골과 마제석기, 신석기시대의 돌도끼 등이 있다. 삼국시대의 유물로는 평양 토성리의 1,300여 기의 고분군에서 출토된 거울, 화폐, 마구 등의 생활용구, 평양 연광정 부근 대동강변에서 출토된 고구려 시대의 금석문인 '각자성석' 등이 있다. 이외에도 고려자기, 금속활자로 인쇄한 책, 고려시기 금속활자인 '이마전', 강원도 고성군 신계사에서 출토된 오동향로, 조선시대의 옥쇄, 『묘법연화경 언해』를 비롯한 한글 서적, 『경국대전』, 의학서적, 침과 침통, 해시계, 측우기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묘법연화경 언해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경국대전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각자성석 | 조선중앙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주석
- ↑ 전영선, "조선중앙력사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영선, "조선중앙력사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영선, "조선중앙력사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전영선, "조선중앙력사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