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혜비 |한자표기= |영문명칭= |본관= 경주(慶州) |이칭= 혜비 이씨(惠妃 李氏) |시호= |호= |...) |
잔글 (→내용)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본관= [[경주|경주(慶州)]] | |본관= [[경주|경주(慶州)]] | ||
− | |이칭= 혜비 이씨(惠妃 李氏) | + | |이칭= 혜비 이씨(惠妃 李氏), 혜화궁주(惠和宮主) |
− | |시호= | + | |시호= 혜비(惠妃) |
|호= | |호= | ||
|자= | |자=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고려 제31대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후비(后妃). | + | 고려 제31대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후비(后妃)이다. |
+ | |||
=='''내용'''== | =='''내용'''== | ||
+ |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제현|이제현(李齊賢)]]의 딸이다.<ref>김기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595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정비(正妃) [[노국대장공주|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아들이 없자,<ref>김기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595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에 [[고려 공민왕|공민왕]]은 후사를 잇기 위하여 [[노국대장공주]]의 승낙 아래 혜비를 비롯하여 [[익비 한씨|익비 한씨(益妃 韓氏)]], [[정비 안씨|정비 안씨(定妃 安氏)]], [[신비 염씨|신비 염씨(愼妃 廉氏)]]를 차례로 후궁으로 맞았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4306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 ||
+ | [[노국대장공주]]가 죽은 후 실의에 빠졌던 [[고려 공민왕|공민왕]]은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아들을 낳기 위해 이들과 왕비들을 사통시킬 것을 명하였으나, 혜비는 [[정비 안씨|정비]]·[[신비 염씨|신비]]와 함께 끝내 거부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4306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는 '혜화궁주(惠和宮主)'로 불렸으며, 1408년([[조선 태종|태종]] 8년) 음력 2월 3일 세상을 떠났다. 이때 [[조선 태종|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그녀의 능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시호는 혜비(惠妃)이다. [[고려 공민왕|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고려 공민왕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9/E01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52번째 줄: | 66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웹자원 | ||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4306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김기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595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더 읽을 거리===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2018년 1월 15일 (월) 01:27 기준 최신판
혜비() | |
대표명칭 | 혜비 |
---|---|
생몰년 | ?-1408년 |
본관 | 경주(慶州) |
이칭 | 혜비 이씨(惠妃 李氏), 혜화궁주(惠和宮主) |
시호 | 혜비(惠妃) |
시대 | 고려시대 |
국적 | 고려 |
대표직함 | 왕비 |
배우자 | 고려 공민왕 |
부 | 이제현(李齊賢) |
유형 | 왕비 |
정의
고려 제31대 공민왕의 후비(后妃)이다.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제현(李齊賢)의 딸이다.[1]
공민왕의 정비(正妃)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아들이 없자,[2] 이에 공민왕은 후사를 잇기 위하여 노국대장공주의 승낙 아래 혜비를 비롯하여 익비 한씨(益妃 韓氏), 정비 안씨(定妃 安氏), 신비 염씨(愼妃 廉氏)를 차례로 후궁으로 맞았다.[3]
노국대장공주가 죽은 후 실의에 빠졌던 공민왕은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아들을 낳기 위해 이들과 왕비들을 사통시킬 것을 명하였으나, 혜비는 정비·신비와 함께 끝내 거부하였다.[4]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는 '혜화궁주(惠和宮主)'로 불렸으며, 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3일 세상을 떠났다. 이때 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5]
그녀의 능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시호는 혜비(惠妃)이다. 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6]
지식 관계망
- 고려 공민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려 공민왕 | 혜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Son B |
이제현 | 혜비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주석
- ↑ 김기덕, "혜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덕, "혜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혜비",
『두산백과』online . - ↑ "혜비",
『두산백과』online . - ↑ "혜비 이씨",
『위키백과』online . - ↑ "혜비 이씨",
『위키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 거리
- "혜비 이씨",
『위키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