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명량대첩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사진=해남_명량대첩비_01.jpg | |사진=해남_명량대첩비_01.jpg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해남명량대첩비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海南鳴梁大捷碑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이칭= | |이칭=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이순신]]이 [[임진왜란]] 때 승리한 [[명량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비석이다. | |
=='''내용'''== | =='''내용'''== | ||
− | ===명량대첩을 기념== | + | ===명량대첩을 기념=== |
− | 1597년(선조 31) 9월 [[이순신]]이 [[원균]](元均)의 무고로 통제사에서 물러났다가 원균의 패전으로 다시 기용되어 진도 벽파진(碧波津)으로 우수영(右水營)을 옮기고, 몰려오는 133척의 왜적 함대를 불과 12척의 전선(戰船)으로 명량에 유인하여 무찌른 대첩을 기념하는 내용의 비이다.<br/> | + | 1597년(조선 선조 31) 9월 [[이순신]]이 [[원균]](元均)의 무고로 통제사에서 물러났다가 원균의 패전으로 다시 기용되어 진도 벽파진(碧波津)으로 우수영(右水營)을 옮기고, 몰려오는 133척의 왜적 함대를 불과 12척의 전선(戰船)으로 명량에 유인하여 무찌른 대첩을 기념하는 내용의 비이다.<br/> |
− | 비문에 의하면 [[명량대첩]]은 [[이순신]]이 재기한 직후 큰 기적을 올린 대회전(大會戰)으로, 충무공이 세운 전공의 중흥이라 일컬으며 충무공의 용병과 지리(地利)에 뛰어남은 귀신도 감동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또 [[이순신]]이 난을 당하여 적을 토벌함에 있어 책략 결정이 특출함은 옛 명장들도 이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충의의 분발은 해와 달을 꿰뚫는다고 | + | 비문에 의하면 [[명량대첩]]은 [[이순신]]이 재기한 직후 큰 기적을 올린 대회전(大會戰)으로, 충무공이 세운 전공의 중흥이라 일컬으며 충무공의 용병과 지리(地利)에 뛰어남은 귀신도 감동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또 [[이순신]]이 난을 당하여 적을 토벌함에 있어 책략 결정이 특출함은 옛 명장들도 이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충의의 분발은 해와 달을 꿰뚫는다고 적었다.<br/> |
− | === | + | ===숙종 때 건립=== |
− | '통제사충무이공명량대첩비(統制使忠武李公鳴梁大捷碑)'의 12자 전액(篆額)은 [[김만중]](金萬重)의 전서(篆書)이고 문장은 [[이민서]](李敏敍), 글씨는 [[이정영]](李正英)의 해서이다. 비문은 1686년(숙종 14)에 쓰여졌으나, 비는 2년 뒤인 1688년 3월 전라우도수군절도사 박신주(朴新胄)에 의하여 세워졌다. | + | '통제사충무이공명량대첩비(統制使忠武李公鳴梁大捷碑)'의 12자 전액(篆額)은 [[김만중]](金萬重)의 전서(篆書)이고 문장은 [[이민서]](李敏敍), 글씨는 [[이정영]](李正英)의 해서이다. 비문은 1686년(숙종 14)에 쓰여졌으나, 비는 2년 뒤인 1688년 3월 전라우도수군절도사 박신주(朴新胄)에 의하여 세워졌다.<br/> |
+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으며, 1969년 보물 제 503호로 지정되었다. 해마다 충무공 탄신일인 4월28일과 [[명량대첩]] 기념일인 10월 29일에 제를 올리고 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4/C034.htm "명량대첩"(김기창)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66번째 줄: | 6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51 해남 명량대첩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51 해남 명량대첩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2017년 12월 27일 (수) 00:07 기준 최신판
해남명량대첩비 (海南鳴梁大捷碑) |
|
대표명칭 | 해남명량대첩비 |
---|---|
한자표기 | 海南鳴梁大捷碑 |
유형 | 기념비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보물 제503호 |
지정일 | 1969년 6월 16일 |
소장처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안길 34(동외리) |
관련인물 | 이순신 |
관련장소 | 명량 |
|
정의
이순신이 임진왜란 때 승리한 명량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비석이다.
내용
명량대첩을 기념
1597년(조선 선조 31) 9월 이순신이 원균(元均)의 무고로 통제사에서 물러났다가 원균의 패전으로 다시 기용되어 진도 벽파진(碧波津)으로 우수영(右水營)을 옮기고, 몰려오는 133척의 왜적 함대를 불과 12척의 전선(戰船)으로 명량에 유인하여 무찌른 대첩을 기념하는 내용의 비이다.
비문에 의하면 명량대첩은 이순신이 재기한 직후 큰 기적을 올린 대회전(大會戰)으로, 충무공이 세운 전공의 중흥이라 일컬으며 충무공의 용병과 지리(地利)에 뛰어남은 귀신도 감동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또 이순신이 난을 당하여 적을 토벌함에 있어 책략 결정이 특출함은 옛 명장들도 이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충의의 분발은 해와 달을 꿰뚫는다고 적었다.
숙종 때 건립
'통제사충무이공명량대첩비(統制使忠武李公鳴梁大捷碑)'의 12자 전액(篆額)은 김만중(金萬重)의 전서(篆書)이고 문장은 이민서(李敏敍), 글씨는 이정영(李正英)의 해서이다. 비문은 1686년(숙종 14)에 쓰여졌으나, 비는 2년 뒤인 1688년 3월 전라우도수군절도사 박신주(朴新胄)에 의하여 세워졌다.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으며, 1969년 보물 제 503호로 지정되었다. 해마다 충무공 탄신일인 4월28일과 명량대첩 기념일인 10월 29일에 제를 올리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남명량대첩비 | 명량대첩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해남명량대첩비 | 이순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남명량대첩비 | 김만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남명량대첩비 | 이민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남명량대첩비 | 이정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김응현, "해남 명량대첩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응현, "해남 명량대첩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