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정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이다.<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내용==
 
===조선 초기 기관의 변화===
 
===조선 초기 기관의 변화===
1392년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왕명 출납의 실무를 맡았고, 그 장관으로 도승지를 두어 정3품으로 하였다. 물론, 이 때의 관제에 의하면 [[중추원]]은 왕명 출납 이외에 군기(軍機)도 관장하는 강력한 기구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을 [[승정원]]으로 독립시켰으며, 1401년 [[의흥삼군부]]가 [[승추부|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면서 [[승정원]]의 기능도 여기에 귀속되었고, 그 명칭도 [[대언사|대언사(代言司)]]로 바뀌었다.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가 [[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승정원]]으로 다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을 건국한 1392년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왕명 출납의 실무를 맡았고, 그 장관으로 도승지를 두어 정3품으로 하였다. 물론, 이 때의 관제에 의하면 [[중추원]]은 왕명 출납 이외에 군기(軍機)도 관장하는 강력한 기구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을 [[승정원]]으로 독립시켰다. 1401년 [[의흥삼군부]]가 [[승추부|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면서 [[승정원]]의 기능도 여기에 귀속되었고, 그 명칭도 [[대언사|대언사(代言司)]]로 바뀌었다.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가 [[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 후기 기관 명칭 변화===
 
===조선 후기 기관 명칭 변화===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승선원(承宣院)]]으로 개칭될 때까지 같은 이름으로 존속하였다. <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승선원(承宣院)]]으로 개칭될 때까지 같은 이름으로 존속하였다. <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연계자원2=[[어제계주윤음]]
 +
|연계자원3=
 +
|연계자원4=
 +
|연계자원5=
 +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2/A2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어제계주윤음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2017년 11월 24일 (금) 00:42 기준 최신판

승정원(承政院)
"승정원일기",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승정원
한자표기 承政院
이칭 정원(政院)·후원(喉院)·은대(銀臺)·대언사(代言司)
유형 관청, 제도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400년 04월
해체일 1894년


정의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이다.[1]

내용

조선 초기 기관의 변화

조선을 건국한 1392년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왕명 출납의 실무를 맡았고, 그 장관으로 도승지를 두어 정3품으로 하였다. 물론, 이 때의 관제에 의하면 중추원은 왕명 출납 이외에 군기(軍機)도 관장하는 강력한 기구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승정원으로 독립시켰다. 1401년 의흥삼군부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면서 승정원의 기능도 여기에 귀속되었고, 그 명칭도 대언사(代言司)로 바뀌었다.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2]

조선 후기 기관 명칭 변화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承宣院)으로 개칭될 때까지 같은 이름으로 존속하였다. [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어제계주윤음


지식관계망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승정원일기 승정원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승정원일기 일성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승정원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괄의 난 승정원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승정원 어제계주윤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승정원 규장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승정원 학봉 유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승정원 예문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두희, "승정원(承政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두희, "승정원(承政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두희, "승정원(承政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홍순민, 「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 구조」, 『규장각』4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장각) , 2016.
    • 박경지, 「朝鮮 成宗代 承政院의 기능과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서명균, 「조선후기 왕실기록관리의 법제화과정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협동과정, 2003.
    • 이동희, 「朝鮮初期 承政院의 政治的 役割 硏究」,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