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정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 + |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이다.<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내용== | ==내용== | ||
===조선 초기 기관의 변화=== | ===조선 초기 기관의 변화=== | ||
− | 1392년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왕명 출납의 실무를 맡았고, 그 장관으로 도승지를 두어 정3품으로 하였다. 물론, 이 때의 관제에 의하면 [[중추원]]은 왕명 출납 이외에 군기(軍機)도 관장하는 강력한 기구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을 [[승정원]]으로 | + | 조선을 건국한 1392년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왕명 출납의 실무를 맡았고, 그 장관으로 도승지를 두어 정3품으로 하였다. 물론, 이 때의 관제에 의하면 [[중추원]]은 왕명 출납 이외에 군기(軍機)도 관장하는 강력한 기구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을 [[승정원]]으로 독립시켰다. 1401년 [[의흥삼군부]]가 [[승추부|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면서 [[승정원]]의 기능도 여기에 귀속되었고, 그 명칭도 [[대언사|대언사(代言司)]]로 바뀌었다.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가 [[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 후기 기관 명칭 변화=== | ===조선 후기 기관 명칭 변화=== | ||
− |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승선원(承宣院)]]으로 개칭될 때까지 같은 이름으로 존속하였다. <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승선원(承宣院)]]으로 개칭될 때까지 같은 이름으로 존속하였다. <ref> 정두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242 승정원(承政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연계자원1=[[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연계자원2=[[어제계주윤음]]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2/A2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어제계주윤음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2017년 11월 24일 (금) 00:42 기준 최신판
승정원(承政院) | |
대표명칭 | 승정원 |
---|---|
한자표기 | 承政院 |
이칭 | 정원(政院)·후원(喉院)·은대(銀臺)·대언사(代言司) |
유형 | 관청, 제도 |
창립시대 | 조선 |
창립일 | 1400년 04월 |
해체일 | 1894년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이다.[1]
내용
조선 초기 기관의 변화
조선을 건국한 1392년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왕명 출납의 실무를 맡았고, 그 장관으로 도승지를 두어 정3품으로 하였다. 물론, 이 때의 관제에 의하면 중추원은 왕명 출납 이외에 군기(軍機)도 관장하는 강력한 기구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을 승정원으로 독립시켰다. 1401년 의흥삼군부가 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면서 승정원의 기능도 여기에 귀속되었고, 그 명칭도 대언사(代言司)로 바뀌었다.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가 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2]
조선 후기 기관 명칭 변화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承宣院)으로 개칭될 때까지 같은 이름으로 존속하였다. [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어제계주윤음 |
지식관계망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승정원일기 | 승정원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승정원일기 | 조선왕조실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승정원일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괄의 난 | 승정원일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정원 | 어제계주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정원 | 규장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정원 | 학봉 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정원 | 예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두희, "승정원(承政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두희, "승정원(承政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두희, "승정원(承政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홍순민, 「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 구조」, 『규장각』4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장각) , 2016.
- 박경지, 「朝鮮 成宗代 承政院의 기능과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서명균, 「조선후기 왕실기록관리의 법제화과정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협동과정, 2003.
- 이동희, 「朝鮮初期 承政院의 政治的 役割 硏究」,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