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갤러리) |
(→참고문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 joseon_general.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원균 | |대표명칭=원균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 중기의 | + |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
=='''내용'''== | =='''내용'''== | ||
===[[임진왜란]]에서의 해상 활동=== | ===[[임진왜란]]에서의 해상 활동=== | ||
− |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을 거쳐 조산만호(造山萬戶)로 있을 때 변방의 [[여진족]]을 무찌른 공으로 부령부사(富寧府使)로 특진하였다. 1592년([[조선 | + |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을 거쳐 조산만호(造山萬戶)로 있을 때 변방의 [[여진족]]을 무찌른 공으로 부령부사(富寧府使)로 특진하였다. 1592년([[조선 선조]] 25) 경상우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는데 부임한 지 3개월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br/> |
− | 왜군이 침입하자 경상좌수영의 수사 [[박홍]]이 달아나버려 저항도 못해보고 궤멸하고 말았다. 원균도 | + | 왜군이 침입하자 경상좌수영의 수사 [[박홍]]이 달아나버려 조선 수군은 저항도 못해보고 궤멸하고 말았다. 원균도 중과부적에 겁을 먹고 있다가 오히려 조선 수군 전선 80여척을 자침시킨 후 판옥선 세 척을 끌고 도망쳤다. 뒤늦게 주위의 충고를 듣고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에게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순신]]은 자신의 경계영역을 함부로 넘을 수 없음을 이유로 원군요청에 즉시 응하지 않다가 5월 2일 20일 만에 조정으로부터 출전명령을 받고 지원에 나섰다.<br/> |
5월 7일 [[옥포해전]]에서 [[이순신]]과 합세하여 적선 26척을 격침시켰다. 이후 [[합포해전]]·[[적진포해전]]·[[사천포해전]]·[[당포해전]]·[[당항포해전]]·[[율포해전]]·[[한산대첩]]·[[안골포해전]]·[[부산포해전]] 등에 참전하여 [[이순신]]과 함께 일본 수군을 무찔렀다. | 5월 7일 [[옥포해전]]에서 [[이순신]]과 합세하여 적선 26척을 격침시켰다. 이후 [[합포해전]]·[[적진포해전]]·[[사천포해전]]·[[당포해전]]·[[당항포해전]]·[[율포해전]]·[[한산대첩]]·[[안골포해전]]·[[부산포해전]] 등에 참전하여 [[이순신]]과 함께 일본 수군을 무찔렀다. | ||
===[[수군통제사]]로서의 활동=== | ===[[수군통제사]]로서의 활동=== | ||
− | 1593년 포상 과정에서 [[이순신]]이 [[수군통제사]]가 되어 원균이 그의 휘하에서 지휘를 받게 되어 불화가 발생하였다. 원균은 이듬해 12월 충청병사로 전출되었으며, 얼마 뒤에는 전라좌병사로 전속되었다. 조정에서 여러 번 원균을 | + | 1593년 포상 과정에서 [[이순신]]이 [[수군통제사]]가 되어 원균이 그의 휘하에서 지휘를 받게 되어 불화가 발생하였다. 원균은 이듬해 12월 충청병사로 전출되었으며, 얼마 뒤에는 전라좌병사로 전속되었다. 조정에서 여러 번 원균을 수사(水使)로 재기용할 것을 검토하던 중, [[이순신]]이 서울로 잡혀가 국문을 받게 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1597년([[조선 선조|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가토 기요마사]]에 대항하여 수군이 출병할 것을 명하였던 조정의 명령을 거부한 죄라는 것이다. 1597년 2월 원균은 [[이순신]]을 대신해 전라좌수사 겸 [[수군통제사]]로 임명되어 삼도 수군을 통제하게 되었다.<br/> |
− | 1597년 [[정유재란]] 때 조정의 무리한 명령에 따라 삼도 수군을 이끌고 부산의 적을 공격하던 중 7월 [[칠천량해전|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에서 대패해 전라우수사 [[이억기|이억기(李億祺)]], 충청수사 [[최호|최호(崔湖)]]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이 해전에서 조선의 수군은 | + | 1597년 [[정유재란]] 때 조정의 무리한 명령에 따라 삼도 수군을 이끌고 부산의 적을 공격하던 중 7월 [[칠천량해전|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에서 대패해 전라우수사 [[이억기|이억기(李億祺)]], 충청수사 [[최호|최호(崔湖)]]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이 해전에서 조선의 수군은 제해권을 상실했으며 전라도 해역까지 왜군에게 내어 주게 되었다. 그가 죽은 뒤 [[이순신]]이 다시 수군통제사에 임명되었다. |
===사후=== | ===사후===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 | |- | ||
| [[이순신]]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이순신]]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이억기]]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거북선]] ||[[당항포해전]]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원균]] || [[율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원균]] || [[율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88번째 줄: | 92번째 줄: | ||
|- | |- | ||
| [[이억기]] || [[칠천량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이억기]] || [[칠천량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최호]] || [[칠천량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원균]] || [[가토 기요마사]] ||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원균]] || [[수군통제사]] || A는 B와 관계가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원균]] || [[수군통제사]] || A는 B와 관계가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104번째 줄: | 112번째 줄: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묘.jpg| 원균 묘소<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1646118.jpg&dirname=monument&photoname=%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photoid=1646118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묘.jpg| 원균 묘소<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1646118.jpg&dirname=monument&photoname=%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photoid=1646118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 신도비.jpg| 원균 신도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2017080216044403.jpg&dirname=monument&photoname=%EC%8B%9C%EB%8F%84%EA%B8%B0%EB%85%90%EB%AC%BC%20%EC%A0%9C57%ED%98%B8_%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_%EC%8B%A0%EB%8F%84%EB%B9%84&photoid=4333685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 신도비.jpg| 원균 신도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2017080216044403.jpg&dirname=monument&photoname=%EC%8B%9C%EB%8F%84%EA%B8%B0%EB%85%90%EB%AC%BC%20%EC%A0%9C57%ED%98%B8_%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_%EC%8B%A0%EB%8F%84%EB%B9%84&photoid=4333685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 사당.jpg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 사당.jpg | 평택 원균사당<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1646119.jpg&dirname=monument&photoname=%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EC%82%AC%EB%8B%B9&photoid=1646119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gallery> | ||
118번째 줄: | 126번째 줄: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8962 원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8962 원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
2017년 12월 22일 (금) 15:15 기준 최신판
원균(元均) | |
대표명칭 | 원균 |
---|---|
한자표기 | 元均 |
생몰년 | 1540년-1597년 |
본관 | 원주 |
이칭 | 원릉군(原陵君) |
자 | 평중(平仲)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삼도수군통제사 |
유형 | 무신 |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내용
임진왜란에서의 해상 활동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을 거쳐 조산만호(造山萬戶)로 있을 때 변방의 여진족을 무찌른 공으로 부령부사(富寧府使)로 특진하였다. 1592년(조선 선조 25) 경상우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는데 부임한 지 3개월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왜군이 침입하자 경상좌수영의 수사 박홍이 달아나버려 조선 수군은 저항도 못해보고 궤멸하고 말았다. 원균도 중과부적에 겁을 먹고 있다가 오히려 조선 수군 전선 80여척을 자침시킨 후 판옥선 세 척을 끌고 도망쳤다. 뒤늦게 주위의 충고를 듣고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에게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순신은 자신의 경계영역을 함부로 넘을 수 없음을 이유로 원군요청에 즉시 응하지 않다가 5월 2일 20일 만에 조정으로부터 출전명령을 받고 지원에 나섰다.
5월 7일 옥포해전에서 이순신과 합세하여 적선 26척을 격침시켰다. 이후 합포해전·적진포해전·사천포해전·당포해전·당항포해전·율포해전·한산대첩·안골포해전·부산포해전 등에 참전하여 이순신과 함께 일본 수군을 무찔렀다.
수군통제사로서의 활동
1593년 포상 과정에서 이순신이 수군통제사가 되어 원균이 그의 휘하에서 지휘를 받게 되어 불화가 발생하였다. 원균은 이듬해 12월 충청병사로 전출되었으며, 얼마 뒤에는 전라좌병사로 전속되었다. 조정에서 여러 번 원균을 수사(水使)로 재기용할 것을 검토하던 중, 이순신이 서울로 잡혀가 국문을 받게 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가토 기요마사에 대항하여 수군이 출병할 것을 명하였던 조정의 명령을 거부한 죄라는 것이다. 1597년 2월 원균은 이순신을 대신해 전라좌수사 겸 수군통제사로 임명되어 삼도 수군을 통제하게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조정의 무리한 명령에 따라 삼도 수군을 이끌고 부산의 적을 공격하던 중 7월 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에서 대패해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충청수사 최호(崔湖)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이 해전에서 조선의 수군은 제해권을 상실했으며 전라도 해역까지 왜군에게 내어 주게 되었다. 그가 죽은 뒤 이순신이 다시 수군통제사에 임명되었다.
사후
1604년 이순신·권율과 함께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으로 책록되어,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원릉군(原陵君)에 추봉되었다. 1605년 왕이 내린 치제문과 숙종 때의 대사헌 김간(金幹)이 찬한 「통제사원균증좌찬성공행장(統制使元均贈左贊成公行狀)」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균 | 옥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옥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합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합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억기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거북선 | 당항포해전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원균 | 율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율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한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한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안골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안골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부산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부산포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칠천량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억기 | 칠천량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호 | 칠천량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가토 기요마사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수군통제사 | A는 B와 관계가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수군통제사 | A는 B와 관계가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원균 | 선무공신 | A는 B와 관계가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원균 선무공신교서",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