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사진=민족기록화 인물 안중근 01.jpg | |사진=민족기록화 인물 안중근 01.jpg | ||
− | |사진출처=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 | + | |사진출처= 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 |
− | |대표명칭=안중근 | + | |대표명칭= 안중근 |
− | |한자표기=安重根 | + | |한자표기= 安重根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본관=순흥 | + | |본관= 순흥 |
|이칭= | |이칭= | ||
|시호= | |시호= | ||
|호= | |호= | ||
− | |자=응칠(應七) | + | |자= 응칠(應七) |
− | |생년=1879년 | + | |생년= 1879년 |
− | |몰년=1910년 | + | |몰년= 1910년 3월 26일 |
|출생지= | |출생지= | ||
|사망지= | |사망지= | ||
− | |시대=근대 | + | |시대= 근대 |
|국적= | |국적= | ||
− | |대표저서= | + | |대표저서= 동양평화론 |
− | |대표직함=대한의군 참모중장 | + | |대표직함= 대한의군 참모중장 |
− | |배우자= | + | |배우자= 김아려(金亞麗 |
− | |부= | + | |부= 안태훈(安泰勳) |
|모= | |모= | ||
|자녀= | |자녀= | ||
|전임자= | |전임자= | ||
|후임자= | |후임자= | ||
− | |상훈=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 | |상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능묘= | |능묘= | ||
|성격= | |성격= | ||
− | |유형=독립운동가 | + | |유형= 독립운동가 |
}} | }} | ||
=='''정의'''== | =='''정의'''== | ||
− | 한말의 | + | 한말의 교육가이자 의병장이며,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한 의사(義士)이다. |
=='''내용'''== | =='''내용'''== | ||
− | === | + | ===청년 시절=== |
− | + | 어릴 때 황해도 신천군 두라면 청계동으로 이사하여 아버지인 [[안태훈]]이 세운 서당에서 사서(四書)와 사기(史記) 등을 읽었다.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監司)의 요청으로 산포군(山砲軍 : 수렵자)을 조직해 동학군 진압에 나섰을 때 참가하였다. 다음 해에 천주교에 입교해 도마(Thomas, 多默)라는 세례명을 얻었다. 한때는 교회의 총대(總代)를 맡았다가 후에 만인계(萬人契 : 1,000명 이상이 계원을 모아 돈을 출자한 뒤 추첨이나 입찰로 돈을 융통해주는 모임)의 채표회사(彩票會社 : 만인계의 돈을 관리하고 추첨을 하는 회사) 사장으로 선임되었다. 이후 교회 신자들과 함께 만인계의 어려운 일을 해결하는 등 수완을 발휘하였다.<ref>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다음 해에 천주교에 입교해 | ||
− | === | + | ===[[정미의병]] 활동=== |
− | 1904년 평양에 나와 석탄상점을 경영하다가, 이듬해 [[을사조약]]이 체결되는 것을 보고 상점을 | + | 1904년 평양에 나와 석탄상점을 경영하다가, 이듬해 [[을사조약]]이 체결되는 것을 보고 상점을 정리하고 서양식 건물을 지어 [[삼흥학교|삼흥학교(三興學校)]]를 설립하였다. 곧이어 남포(南浦)에 [[돈의학교|돈의학교(敦意學校)]]를 인수해 인재양성에 힘썼다. 1907년 연해주(沿海州)로 망명하여 [[정미의병]]의 구국운동에 참가하였다. 이듬해 [[전제덕]] 휘하에서 대한의군참모중장(大韓義軍參謀中將) 겸 특파독립대장·아령지구(俄領地區) 사령관이 되었다. 그 자격으로 [[엄인섭]]과 함께 백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두만강을 건너 국내로 침투하였다. 경홍과 회령까지 진격하며 일본군과 교전, 50여 명의 일본군을 사살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90&cid=42958&categoryId=42958 안중근]",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 === | + | ===[[단지동맹]] 결사=== |
− | 1909년 3월 2일, | + | 1909년 3월 2일, 러시아 그라스키노 근처 카리에서 [[김기룡]]·[[엄인섭]]·[[황병길]] 등 12명의 동지가 모여 [[단지동맹]]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안중근·[[엄인섭]]은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김태훈]]은 [[이완용]]을 암살 제거하기로 단지(斷指)의 피로써 맹세하고 3년 이내에 성사하지 못하면 자살로 국민에게 속죄하기로 하였다. 9월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원동보(遠東報)』와 『[[대동공보|대동공보(大東共報)]]』의 기사를 통해 [[이토 히로부미|이토]]가 러시아의 대장대신(大藏大臣) 코코프체프(Kokovsev, V.N.)와 회견하기 위해 [[하얼빈]]에 오는 것을 알았다. 안중근은 [[우덕순|우덕순(禹德淳)]]·[[조도선|조도선(曺道先)]]·[[유동하|유동하(劉東夏)]]와 저격 실행책을 모의하고 만반의 준비를 하였다.<ref>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9월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원동보(遠東報)』와 | ||
− | ===이토 히로부미 저격=== | + | ===[[이토 히로부미]] 저격=== |
− | 1909년 10월 26일, 코코프체프와 열차 회담을 마치고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는 이토 | + | 1909년 10월 26일, 코코프체프와 열차 회담을 마치고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는 [[이토 히로부미]]에게 권총을 발사하여 3발을 명중시켰다. 체포 후 안중근은 러시아 검찰관의 예비 심문에서 자신을 한국의용병 참모중장임을 밝힌다. 거사 동기에 대해서 [[이토 히로부미]]가 대한의 독립주권을 침탈한 원흉이며 동양 평화의 교란자이므로 대한의용군사령의 자격으로 총살한 것임을 천명하였다.<ref>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순국=== | ===순국=== | ||
− | 현장에서 일본관헌에게 넘겨져 뤼순(族順)의 일본감옥에 수감되고, 이듬해 2월 14일 그들의 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되어 3월 26일 형이 집행되었다. 글씨에 뛰어나 많은 유필(遺筆)을 남겼으며, 많은 유묵(遺墨)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옥중에서 | + | 현장에서 일본관헌에게 넘겨져 뤼순(族順)의 일본감옥에 수감되고, 이듬해 2월 14일 그들의 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되어 3월 26일 형이 집행되었다. 글씨에 뛰어나 많은 유필(遺筆)을 남겼으며, 많은 유묵(遺墨)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옥중에서 『[[동양평화론]]』을 집필했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1970년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471번지에 [[안중근의사기념관]]이 건립되었고, 2014년 1월 19일 러시아 하얼빈역에 [[하얼빈 안중근의사기념관]]이 개관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7858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1970년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471번지에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7858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64번째 줄: | 60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삼흥학교]] || | + | | [[삼흥학교]]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 + | | [[돈의학교]] || [[안중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안중근]]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단지동맹]]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이토 히로부미]]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동양평화론]]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안중근의사기념관]] || [[안중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하얼빈 안중근의사기념관]] || [[안중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909년 10월 26일 || [[안중근]] | + | |1909년 10월 26일 ||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
|- | |- | ||
− | |1910년 3월 26일 || [[안중근]] | + | |1910년 3월 26일 || [[안중근]]이 [[뤼순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
|- | |- | ||
|} | |} | ||
89번째 줄: | 95번째 줄: | ||
|38.825144 || 121.264580 || [[뤼순형무소]]은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위치한다. | |38.825144 || 121.264580 || [[뤼순형무소]]은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안중근 항일 유적지'''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27/C027.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94번째 줄: | 107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영상=== | ===영상=== | ||
− | *parkeunha1 | + | * '''[parkeunha1]안중근 의사 저격 당시 화면(게시일: 2010년 09월 10일)''' |
<html> | <html>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Tj0AkToSV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Tj0AkToSV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104번째 줄: | 11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904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904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114번째 줄: | 127번째 줄: | ||
#* 안중근, 『안중근 의사 자서전』, 범우사, 2000. | #* 안중근, 『안중근 의사 자서전』, 범우사, 2000.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
2017년 12월 22일 (금) 15:18 기준 최신판
안중근(安重根) | |
대표명칭 | 안중근 |
---|---|
한자표기 | 安重根 |
생몰년 | 1879년-1910년 3월 26일 |
본관 | 순흥 |
자 | 응칠(應七) |
시대 | 근대 |
대표저서 | 동양평화론 |
대표직함 | 대한의군 참모중장 |
배우자 | 김아려(金亞麗 |
부 | 안태훈(安泰勳) |
상훈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유형 | 독립운동가 |
목차
정의
한말의 교육가이자 의병장이며,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한 의사(義士)이다.
내용
청년 시절
어릴 때 황해도 신천군 두라면 청계동으로 이사하여 아버지인 안태훈이 세운 서당에서 사서(四書)와 사기(史記) 등을 읽었다.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監司)의 요청으로 산포군(山砲軍 : 수렵자)을 조직해 동학군 진압에 나섰을 때 참가하였다. 다음 해에 천주교에 입교해 도마(Thomas, 多默)라는 세례명을 얻었다. 한때는 교회의 총대(總代)를 맡았다가 후에 만인계(萬人契 : 1,000명 이상이 계원을 모아 돈을 출자한 뒤 추첨이나 입찰로 돈을 융통해주는 모임)의 채표회사(彩票會社 : 만인계의 돈을 관리하고 추첨을 하는 회사) 사장으로 선임되었다. 이후 교회 신자들과 함께 만인계의 어려운 일을 해결하는 등 수완을 발휘하였다.[1]
정미의병 활동
1904년 평양에 나와 석탄상점을 경영하다가, 이듬해 을사조약이 체결되는 것을 보고 상점을 정리하고 서양식 건물을 지어 삼흥학교(三興學校)를 설립하였다. 곧이어 남포(南浦)에 돈의학교(敦意學校)를 인수해 인재양성에 힘썼다. 1907년 연해주(沿海州)로 망명하여 정미의병의 구국운동에 참가하였다. 이듬해 전제덕 휘하에서 대한의군참모중장(大韓義軍參謀中將) 겸 특파독립대장·아령지구(俄領地區) 사령관이 되었다. 그 자격으로 엄인섭과 함께 백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두만강을 건너 국내로 침투하였다. 경홍과 회령까지 진격하며 일본군과 교전, 50여 명의 일본군을 사살하였다.[2]
단지동맹 결사
1909년 3월 2일, 러시아 그라스키노 근처 카리에서 김기룡·엄인섭·황병길 등 12명의 동지가 모여 단지동맹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안중근·엄인섭은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김태훈은 이완용을 암살 제거하기로 단지(斷指)의 피로써 맹세하고 3년 이내에 성사하지 못하면 자살로 국민에게 속죄하기로 하였다. 9월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원동보(遠東報)』와 『대동공보(大東共報)』의 기사를 통해 이토가 러시아의 대장대신(大藏大臣) 코코프체프(Kokovsev, V.N.)와 회견하기 위해 하얼빈에 오는 것을 알았다. 안중근은 우덕순(禹德淳)·조도선(曺道先)·유동하(劉東夏)와 저격 실행책을 모의하고 만반의 준비를 하였다.[3]
이토 히로부미 저격
1909년 10월 26일, 코코프체프와 열차 회담을 마치고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는 이토 히로부미에게 권총을 발사하여 3발을 명중시켰다. 체포 후 안중근은 러시아 검찰관의 예비 심문에서 자신을 한국의용병 참모중장임을 밝힌다. 거사 동기에 대해서 이토 히로부미가 대한의 독립주권을 침탈한 원흉이며 동양 평화의 교란자이므로 대한의용군사령의 자격으로 총살한 것임을 천명하였다.[4]
순국
현장에서 일본관헌에게 넘겨져 뤼순(族順)의 일본감옥에 수감되고, 이듬해 2월 14일 그들의 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되어 3월 26일 형이 집행되었다. 글씨에 뛰어나 많은 유필(遺筆)을 남겼으며, 많은 유묵(遺墨)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옥중에서 『동양평화론』을 집필했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1970년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471번지에 안중근의사기념관이 건립되었고, 2014년 1월 19일 러시아 하얼빈역에 하얼빈 안중근의사기념관이 개관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삼흥학교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돈의학교 | 안중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중근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단지동맹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이토 히로부미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 A edm:isRelatedTo B |
동양평화론 | 안중근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안중근의사기념관 | 안중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하얼빈 안중근의사기념관 | 안중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09년 10월 26일 |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
1910년 3월 26일 | 안중근이 뤼순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53729 | 126.980348 | 안중근기념관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에 위치한다. |
38.825144 | 121.264580 | 뤼순형무소은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위치한다. |
- 안중근 항일 유적지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parkeunha1]안중근 의사 저격 당시 화면(게시일: 2010년 09월 10일)
주석
- ↑ 오세창, 안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안중근",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오세창, "안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세창, "안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중근",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채륜, 2010.
- 안중근, 『안중근 의사 자서전』, 범우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