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
31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 |
==내용== | ==내용== | ||
===생애=== | ===생애=== | ||
− |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개지(漑之) | + |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개지(漑之)이고 호는 이요정(二樂亭)·송계(松溪)·수옹(睡翁)이다. 대제학 신장(申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신숙주 | 신숙주(申叔舟)]]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신면(申㴐)이며 어머니는 우군사용(右君司勇) 정호(丁湖)의 딸이다. [[김종직 |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ref>이재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22 신용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정치활동=== | ===정치활동=== | ||
− | 1483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8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그 해 처음으로 승문원정자에 등용되었다. 1498년 [[무오사화]]로 인해 [[김종직]]과 같이 투옥되었고, 1504년 [[갑자사화]]로 유배형을 당하기도 했다.<ref>김은정, 「이낙정 신용개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3권, 한국한시학회, 1998. 8-9쪽 </ref> | + | 1483년(성종 14) 사마시에 합격하고 148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그 해 처음으로 승문원정자에 등용되었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로 인해 [[김종직]]과 같이 투옥되었고, 1504년 [[갑자사화]]로 유배형을 당하기도 했다.<ref>김은정, 「이낙정 신용개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3권, 한국한시학회, 1998. 8-9쪽 </ref> 1506년(중종 1) [[중종반정]] 후 형조참판으로 서용되었으며, 이어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성희안(成希顔)과 함께 명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다. 그 뒤 대제학·우참찬과 대사헌을 거쳐서 이조·병조·예조의 판서를 역임, 우찬성이 되었고 1516년에는 우의정에, 1518년에는 좌의정의 벼슬을 지냈다.<ref>이재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22 신용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평가=== | ===평가=== | ||
− | 기품이 높고 총명하여 문명을 떨쳤을 뿐만 아니라, 활쏘기 등 무예에도 뛰어나 문무를 겸비하였다. 인품 또한 | + | 기품이 높고 총명하여 문명을 떨쳤을 뿐만 아니라, 활쏘기 등 무예에도 뛰어나 문무를 겸비하였다. 인품 또한 꿋꿋하고 함부로 범접하기 어려워 당시 선비들의 중심이 되었다. 일찍이 성종은 신용개의 높은 학덕을 사랑하여 어의(御衣: 임금의 옷)를 벗어 입혀준 일이 있었다고 한다. 저서로는 [[이요정집 | 『이요정집』]]이 있고, 편서로 [[속동문선 | 『속동문선』]], [[속삼강행실도 | 『속삼강행실도』]]가 있다<ref>이재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22 신용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일찍이 성종은 신용개의 높은 학덕을 사랑하여 어의(御衣: 임금의 옷)를 벗어 입혀준 일이 있었다고 한다. | ||
− | 저서로는 [[이요정집 | 『이요정집』]]이 있고, 편서로 [[속동문선 | 『속동문선』]], [[속삼강행실도 | 『속삼강행실도』]]가 있다<ref>이재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22 신용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속삼강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7/A01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83번째 줄: | 87번째 줄: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논문 | *논문 | ||
− | **최이돈, 「신용개의 정치사상연구」, | + | **최이돈, 「신용개의 정치사상연구」, 『교육연구』, Vol.10, No.-,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205-224쪽. |
**문은아 「二樂亭 申用漑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 | **문은아 「二樂亭 申用漑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 | ||
+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배만섭,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7187 酒仙(주선)과 酒狂(주광)의 세계-홍일동. 손순효, 신용개 조선조 3대 주호]",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0년 01월 26일. | + | *신문 |
+ | **배만섭,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7187 酒仙(주선)과 酒狂(주광)의 세계-홍일동. 손순효, 신용개 조선조 3대 주호]",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0년 01월 26일. | ||
− | [[분류 : 한글고문서]]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 인물]] | +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25일 (토) 00:23 기준 최신판
신용개(申用漑) | |
대표명칭 | 신용개 |
---|---|
한자표기 | 申用漑 |
생몰년 | 1463-1519 |
본관 | 고령(高靈) |
시호 | 문경(文景) |
호 | 이요정(二樂亭)·송계(松溪)·수옹(睡翁) |
자 | 개지(漑之),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이요정집』,『속삼강행실도』 |
대표직함 | 우의정, 좌의정 |
부 | 신면(申㴐) |
모 | 정호(丁湖)의 딸 |
상훈 | 원종공신(原從功臣) |
성격 | 문신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개지(漑之)이고 호는 이요정(二樂亭)·송계(松溪)·수옹(睡翁)이다. 대제학 신장(申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신면(申㴐)이며 어머니는 우군사용(右君司勇) 정호(丁湖)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1]
정치활동
1483년(성종 14) 사마시에 합격하고 148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그 해 처음으로 승문원정자에 등용되었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로 인해 김종직과 같이 투옥되었고, 1504년 갑자사화로 유배형을 당하기도 했다.[2] 1506년(중종 1) 중종반정 후 형조참판으로 서용되었으며, 이어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성희안(成希顔)과 함께 명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다. 그 뒤 대제학·우참찬과 대사헌을 거쳐서 이조·병조·예조의 판서를 역임, 우찬성이 되었고 1516년에는 우의정에, 1518년에는 좌의정의 벼슬을 지냈다.[3]
평가
기품이 높고 총명하여 문명을 떨쳤을 뿐만 아니라, 활쏘기 등 무예에도 뛰어나 문무를 겸비하였다. 인품 또한 꿋꿋하고 함부로 범접하기 어려워 당시 선비들의 중심이 되었다. 일찍이 성종은 신용개의 높은 학덕을 사랑하여 어의(御衣: 임금의 옷)를 벗어 입혀준 일이 있었다고 한다. 저서로는 『이요정집』이 있고, 편서로 『속동문선』, 『속삼강행실도』가 있다[4]
지식 관계망
- 속삼강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숙주 | 신면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신면 | 신용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김종직 | 신용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종직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용개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의제문 | 김종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조의제문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용개 | 갑자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홍문관 | 신용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예문관 | 신용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이요정집 | 신용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속동문선 | 신용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속삼강행실도 | 신용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주석
- ↑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은정, 「이낙정 신용개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3권, 한국한시학회, 1998. 8-9쪽
- ↑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이돈, 「신용개의 정치사상연구」, 『교육연구』, Vol.10, No.-,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205-224쪽.
- 문은아 「二樂亭 申用漑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
유용한 정보
- 신문
- 배만섭, "酒仙(주선)과 酒狂(주광)의 세계-홍일동. 손순효, 신용개 조선조 3대 주호",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0년 01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