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정씨 동계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상현실)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초계정씨 동계종택]]에 대해서===
 
===[[초계정씨 동계종택]]에 대해서===
*거창의 동계 [[정온]] 선생 고택은 [[초계정씨]] 윗대에서 거창의 용산, 안음, 서마리 등지에서 살다가 동계의 조부인 승지공 [[정숙|정숙(鄭淑, 1501-1563)]] 때 강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 고택은 동계(桐溪) [[정온|정온(鄭蘊, 1569~1641년)]]선생의 후손들이 사당 을 모시고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사랑채, 중문간과 행랑채, 곳간채, 안채, 사당 등이 토석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다. 현재의 고택은 후손들이 정온선생의 생가(生家)를 1820년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는 사랑채 상량대에 "(숭정기원후 사경진삼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있어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건립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초계정씨]] 윗대는 거창의 용산, 안음, 서마리 등지에서 살았다. 동계의 조부인 승지공 [[정숙|정숙(鄭淑, 1501-1563)]] 때 강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 고택은 동계(桐溪) [[정온|정온(鄭蘊, 1569~1641년)]]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사랑채, 중문간과 행랑채, 곳간채, 안채, 사당 등이 토석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다. 현재의 고택은 후손들이 정온의 생가(生家)를 1820년에 중창한 것이다. 이는 사랑채 상량문에 "(숭정기원후 사경진삼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있어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건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정온]]에 대해서===
 
===[[정온]]에 대해서===
[[정온]]은 광해군 2년(1610) 문과에 급제하여 시강원경설서, 사간원정언 등의 벼슬을 지냈다. [[영창대군]]이 죽임을 당하자 격렬한 반대상소를 올렸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그뒤 10년 동안 유배지에서 학문을 닦았다. 그 후 다시 벼슬길에 올라 대사간, 대제학, 이조참판 등 중요한 벼슬을 했으며, [[병자호란]] 때 끝내 항복하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살다가 죽었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절개를 높이 사 숙종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여러 서원에 그의 위패를 모셨으며, 시호는 ‘문간’이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정온]]은 광해군 2년(1610) 문과에 급제하여 시강원경설서, 사간원정언 등의 벼슬을 지냈다. [[영창대군]]이 죽임을 당하자 격렬한 반대상소를 올렸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10년 동안 그곳에서 유배지에서 학문을 닦았다. 그 후 다시 벼슬길에 올라 대사간, 대제학, 이조참판 등 중요한 벼슬을 했으며, [[병자호란]] 때 항복하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살다가 죽었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절개를 높이 사 숙종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여러 서원에 그의 위패를 모셨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초계정씨 동계종택]]에 대해서===
 
===[[초계정씨 동계종택]]에 대해서===
*거창의 동계 [[정온]] 선생 고택은 [[초계정씨]] 윗대에서 거창의 용산, 안음, 서마리 등지에서 살다가 동계의 조부인 승지공 [[정숙|정숙(鄭淑, 1501-1563)]] 때 강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 고택은 동계(桐溪) [[정온|정온(鄭蘊, 1569~1641년)]]선생의 후손들이 사당 을 모시고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사랑채, 중문간과 행랑채, 곳간채, 안채, 사당 등이 토석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다. 현재의 고택은 후손들이 정온선생의 생가(生家)를 1820년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는 사랑채 상량대에 "(숭정기원후 사경진삼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있어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건립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거창의 동계 [[정온]] 선생 고택은 [[초계정씨]] 윗대에서 거창의 용산, 안음, 서마리 등지에서 살다가 동계의 조부인 승지공 [[정숙|정숙(鄭淑, 1501-1563)]] 때 강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 고택은 동계(桐溪) [[정온|정온(鄭蘊, 1569~1641년)]]선생의 후손들이 사당 을 모시고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사랑채, 중문간과 행랑채, 곳간채, 안채, 사당 등이 토석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다. 현재의 고택은 후손들이 정온선생의 생가(生家)를 1820년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는 사랑채 상량대에 "(숭정기원후 사경진삼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있어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건립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솟을대문의 대문간채를 들어서면 ㄱ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사랑채 안쪽으로 一자형의 안채가 자리하였다. 안채의 오른쪽에는 뜰아래 채가, 왼쪽에는 곳간채가 있다. 안채의 뒷쪽에 따로 담장을 두르고 3문을 설치한 후 사당을 세웠다. 사랑채는 꺾인 부분을 누마루로 꾸미고 눈썹지붕을 설치한 점이 특이하다. 안채와 사랑채는 북부지방 가옥의 특징인 겹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단은 낮고 툇마루를 높게 설치한 남부지방 고유의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집의 학술적 가치를 찾을 수 있으며, 조선 후기 양반주택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솟을대문의 대문간채를 들어서면 ㄱ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사랑채 안쪽으로 一자형의 안채가 자리하였다. 안채의 오른쪽에는 뜰아래 채가, 왼쪽에는 곳간채가 있다. 안채의 뒷쪽에 따로 담장을 두르고 3문을 설치한 후 사당을 세웠다. 사랑채는 꺾인 부분을 누마루로 꾸미고 눈썹지붕을 설치한 점이 특이하다. 안채와 사랑채는 북부지방 가옥의 특징인 겹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단은 낮고 툇마루를 높게 설치한 남부지방 고유의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집의 학술적 가치를 찾을 수 있으며, 조선 후기 양반주택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초계정씨 동계종택]] 관련 유적과 물품===
 
===[[초계정씨 동계종택]] 관련 유적과 물품===
50번째 줄: 50번째 줄:
 
[[정온]]의 [[화엽시|화엽시(花葉詩)]]를 새긴 오석의 석침이다. 유려한 필치로 새긴 [[화엽시]]는 [[정온]]이 만년에 지은 시로 유명하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정온]]의 [[화엽시|화엽시(花葉詩)]]를 새긴 오석의 석침이다. 유려한 필치로 새긴 [[화엽시]]는 [[정온]]이 만년에 지은 시로 유명하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806&index_id=cp08060017&content_id=cp080600170001&search_left_menu=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129번째 줄: 130번째 줄: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07/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07/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gallery>
148번째 줄: 155번째 줄: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소현수,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韓國造景學會誌』37, 2009, 120-130쪽.
+
**소현수,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韓國造景學會誌』37, 한국조경학회, 2009, 120-130쪽.
**이정희, 「경남 산청 단계마을의 고문헌 현황 연구」, 『南冥學硏究』48, 2015, 69-115쪽.
+
**이정희, 「경남 산청 단계마을의 고문헌 현황 연구」, 『南冥學硏究』48,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69-115쪽.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156번째 줄: 163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 문화유산]]
 
[[분류: 문화유산]]
[[분류:이창섭]]
 

2017년 11월 24일 (금) 17:04 기준 최신판

초계정씨 동계종택
(草溪鄭氏 桐溪宗宅)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표명칭 초계정씨 동계종택
한자표기 草溪鄭氏 桐溪宗宅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05호
지정일 1984년 12월 24일
소장처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동1길 13 (강천리)
관련인물 정온
관련단체 초계 정씨
관련유물유적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다.

내용

초계정씨 동계종택에 대해서

초계정씨 윗대는 거창의 용산, 안음, 서마리 등지에서 살았다. 동계의 조부인 승지공 정숙(鄭淑, 1501-1563) 때 강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 고택은 동계(桐溪) 정온(鄭蘊, 1569~1641년)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사랑채, 중문간과 행랑채, 곳간채, 안채, 사당 등이 토석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다. 현재의 고택은 후손들이 정온의 생가(生家)를 1820년에 중창한 것이다. 이는 사랑채 상량문에 "(숭정기원후 사경진삼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있어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건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1]

정온에 대해서

정온은 광해군 2년(1610) 문과에 급제하여 시강원경설서, 사간원정언 등의 벼슬을 지냈다. 영창대군이 죽임을 당하자 격렬한 반대상소를 올렸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10년 동안 그곳에서 유배지에서 학문을 닦았다. 그 후 다시 벼슬길에 올라 대사간, 대제학, 이조참판 등 중요한 벼슬을 했으며, 병자호란 때 항복하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살다가 죽었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절개를 높이 사 숙종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여러 서원에 그의 위패를 모셨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초계정씨 동계종택 초계정씨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초계정씨 정숙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초계정씨 정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초계정씨 정기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초계정씨 정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영창대군 광해군 A는 B와 형제이다 A ekc:hasBrother B
광해군 정온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창대군 정온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정온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온선생 문집책판 초계정씨 동계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우왕3년정사감시방목 초계정씨 동계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내사본중용 초계정씨 동계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초계정씨 동계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화엽시 초계정씨 동계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정온선생 문집책판 정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정온선생 문집책판 정기수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정숙 정온 A는 B의 할아버지이다 A ekc:hasGrandSon B
정온 정기수 A는 B의 할아버지이다 A ekc:hasGrandSon B
정온선생 문집책판 허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온선생 문집책판 조경수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온선생 문집책판 영창대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우왕3년정사감시방목 정숙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우왕3년정사감시방목 국자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우왕3년정사감시방목 국자감 진사 시험 합격 명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내사본중용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내사본중용 정온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내사본중용 한모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엽시 정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정온선생 문집책판 인조반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01년-1563년 초계정씨 동계종택정숙이 살기 시작할때 건립되었다
1820년 초계정씨 동계종택을 중창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한국의고택 정온선생가옥",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소현수,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韓國造景學會誌』37, 한국조경학회, 2009, 120-130쪽.
    • 이정희, 「경남 산청 단계마을의 고문헌 현황 연구」, 『南冥學硏究』48,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69-115쪽.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