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이씨 독락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내용)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사진=한글팀_문화유산_여주이씨_독락당_01_독락당_메인.jpg | |사진=한글팀_문화유산_여주이씨_독락당_01_독락당_메인.jpg | ||
− | |사진출처= "[http://archive.kostma.net/Family/T2/html/sub4_1.aspx?fid=B043a&clsA=01&clsB=%EB%8F%85%EB%9D%BD%EB%8B%B9&clsC=&curPage=1&dataID=0002 독락당]" | + | |사진출처= "[http://archive.kostma.net/Family/T2/html/sub4_1.aspx?fid=B043a&clsA=01&clsB=%EB%8F%85%EB%9D%BD%EB%8B%B9&clsC=&curPage=1&dataID=0002 독락당]", 한국고문서소장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표명칭=여주이씨 독락당 | |대표명칭=여주이씨 독락당 | ||
|한자표기=驪州李氏 獨樂堂 | |한자표기=驪州李氏 獨樂堂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관련장소=[[경주 옥산서원]] | |관련장소=[[경주 옥산서원]] |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옥산문중 전적]] | + | |관련유물유적=[[옥산문중 전적]], [[이륜행실도]] |
}} | }}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중기의 | +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중기의 주택이다 |
=='''내용'''== | =='''내용'''== | ||
− | + | ||
− | + | 이 집은 [[이언적|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고택 사랑채이다. [[이언적]]을 받드는 [[옥산서원|옥산서원(玉山書院)]]의 안쪽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이언적]]의 고택 사랑채이다. 1516년(중종 11)에 완성되었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팔작집으로 서쪽에 정면 1칸, 측면 2칸의 온돌방을 두고 그 동쪽의 정면 3칸, 측면 2칸에는 전부 우물마루를 깔아 사랑대청으로 하였다. 대청의 마루 가운데에는 온돌방의 중앙기둥처럼 네모진 기둥이 서 있고 기둥 자국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원래는 이곳도 서쪽의 온돌방처럼 벽체를 만들고 방으로 꾸몄던 것으로 추측된다.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기둥 위에는 주두(柱頭)를 얹고 쇠서 하나를 내어 초익공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간살은 오량(五樑)으로 앞뒤의 평주(平柱) 위에 대들보를 걸고 그 위에 양봉형(樑奉形)의 대공에 소로를 짜넣어 종보를 받치고 있다. 종보 위에는 다시 양봉형의 동자기둥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는데, 측면 벽체 위에서는 단순한 동자기둥으로 대공을 만들어 종도리를 받치며 직선재로 된 소슬합장을 두었음이 [[아산맹씨행단|아산맹씨행단(牙山孟氏杏壇, 사적 제109호)]]에서의 모습과 흡사하다. 온돌방에는 띠살창호를 달았으나, 대청에는 정면 3칸을 창호없이 모두 개방하였고, 뒷면과 측면에는 띠살창호를 달았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ref>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957 경주 독락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92번째 줄: | 92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이륜행실도 관한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8/A01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53/E053.htm 손소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166번째 줄: | 174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09/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09/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 <gallery> | ||
187번째 줄: | 202번째 줄: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 문화유산]] | [[분류: 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5일 (토) 03:13 기준 최신판
여주이씨 독락당 (驪州李氏 獨樂堂) |
|
대표명칭 | 여주이씨 독락당 |
---|---|
한자표기 | 驪州李氏 獨樂堂 |
이칭 | 옥산정사 |
유형 | 유적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보물 제413호 |
지정일 | 1964년 11월 14일 |
소장처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300-3 |
관련인물 | 이언적 |
관련단체 | 여주이씨 |
관련장소 | 경주 옥산서원 |
관련유물유적 | 옥산문중 전적, 이륜행실도 |
|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중기의 주택이다
내용
이 집은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고택 사랑채이다. 이언적을 받드는 옥산서원(玉山書院)의 안쪽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이언적의 고택 사랑채이다. 1516년(중종 11)에 완성되었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팔작집으로 서쪽에 정면 1칸, 측면 2칸의 온돌방을 두고 그 동쪽의 정면 3칸, 측면 2칸에는 전부 우물마루를 깔아 사랑대청으로 하였다. 대청의 마루 가운데에는 온돌방의 중앙기둥처럼 네모진 기둥이 서 있고 기둥 자국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원래는 이곳도 서쪽의 온돌방처럼 벽체를 만들고 방으로 꾸몄던 것으로 추측된다.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기둥 위에는 주두(柱頭)를 얹고 쇠서 하나를 내어 초익공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간살은 오량(五樑)으로 앞뒤의 평주(平柱) 위에 대들보를 걸고 그 위에 양봉형(樑奉形)의 대공에 소로를 짜넣어 종보를 받치고 있다. 종보 위에는 다시 양봉형의 동자기둥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는데, 측면 벽체 위에서는 단순한 동자기둥으로 대공을 만들어 종도리를 받치며 직선재로 된 소슬합장을 두었음이 아산맹씨행단(牙山孟氏杏壇, 사적 제109호)에서의 모습과 흡사하다. 온돌방에는 띠살창호를 달았으나, 대청에는 정면 3칸을 창호없이 모두 개방하였고, 뒷면과 측면에는 띠살창호를 달았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1]
지식 관계망
- 이륜행실도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 B | 관계 | 비고 |
---|---|---|---|
여주이씨 독락당 | 이언적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이륜행실도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여어편류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대전후속록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황화집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인록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잠명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관서추정일기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퇴계선생수찰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서애서독 | 여주이씨 독락당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여어편류 | 조인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대전후속록 | 대전속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화집 | 왕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화집 | 정사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구인록 | 이언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잠명 | 이언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관서추정일기 | 이전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언적 | 이전인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퇴계선생수찰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서애서독 | 류성룡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16년 | 여주이씨 독락당이 이언적에 의해 건립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주남철, "경주 독락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금장태, "이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작성일: 2017년 10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