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선원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건립경위)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 | |사진=한글팀 선원전.jpg | + | |사진=한글팀 창덕궁 선원전.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170000,11 창덕궁 선원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한자표기=昌德宮 璿源殿 | |한자표기=昌德宮 璿源殿 | ||
11번째 줄: | 10번째 줄: | ||
|지정일=1985년 01월 08일 | |지정일=1985년 01월 08일 | ||
|소장처=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와룡동), 창덕궁 | |소장처=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와룡동), 창덕궁 | ||
− | |경도= | + | |경도=37.579728 |
− | |위도= | + | |위도=126.991064 |
|수량= | |수량= | ||
|관련인물= | |관련인물= | ||
22번째 줄: | 21번째 줄: | ||
|관리자=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 | |관리자=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 | ||
==정의== | ==정의== | ||
− |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 내부의 전각이다. | |
==내용== | ==내용== | ||
− | 선원전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초상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궁궐 | + | 선원전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초상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궁궐 밖에는 종묘를 두었고, 궁 안에는 선원전을 두었다고 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170000,11 창덕궁 선원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건립경위=== | ===건립경위=== | ||
− | 원래 | + | 원래 1656년(효종 7) 경덕궁의 [[경화당]]을 옮겨지은 [[춘휘전]]이란 건물이었는데 1695년(숙종 21)에 선원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곳에는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의 어진을 봉안하고 있었다. 고종 대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보책조성소]]에 명하여 선원전의 제기를 변경하기도 하였다. 1921년 창덕궁 후원 서북쪽에 선원전을 새로 지어 왕의 초상을 옮긴 뒤부터 구선원전으로 불리게 되었다. 새로 지은 선원전에 옮긴 왕의 영정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화재로 소실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170000,11 창덕궁 선원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외관=== | ===외관=== | ||
35번째 줄: | 34번째 줄: | ||
선원전은 구조적으로 간결하고 불필요한 장식이 가미되지 않은 건물로서, 조선시대 왕실의 제사용 건물의 유례로 중요하다.<ref>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379 창덕궁 선원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선원전은 구조적으로 간결하고 불필요한 장식이 가미되지 않은 건물로서, 조선시대 왕실의 제사용 건물의 유례로 중요하다.<ref>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379 창덕궁 선원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제례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5/A21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52번째 줄: | 59번째 줄: | ||
| [[선원전]] || [[영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영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영조 어진]] ||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영조 어진]]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숙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숙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숙종 어진]] || [[숙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숙종 어진]] || [[조선 숙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정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정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정조 어진]] ||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조 어진]] || [[조선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순조 어진]] ||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조 어진]] || [[조선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문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문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문조 어진]] || [[ | + | | [[문조 어진]] || [[효명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현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현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현종 어진]] ||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현종 어진]] || [[조선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태조 어진]] ||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태조 어진]]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선원전]] || [[고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선원전]] || [[고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고종 어진]] ||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고종 어진]] || [[조선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작헌례]] ||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작헌례]] || [[경복궁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다례]] ||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다례]] || [[경복궁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90번째 줄: | 97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이강근, 「조선후기 선원전(璿源殿)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강좌미술사』 Vol.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학회, 2010 | ||
+ | ===유용한 정보=== | ||
+ |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8596 선원전과 제주 감귤]", 『공감신문』, 작성일: 2017년 01월 03일. | ||
[[분류 : 한글고문서]] | [[분류 : 한글고문서]] | ||
[[분류 : 문화유산]] | [[분류 : 문화유산]] |
2017년 11월 25일 (토) 00:57 기준 최신판
(昌德宮 璿源殿) |
|
한자표기 | 昌德宮 璿源殿 |
---|---|
유형 | 유적건조물,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보물 제817호 |
지정일 | 1985년 01월 08일 |
소장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와룡동), 창덕궁 |
|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 내부의 전각이다.
내용
선원전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초상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궁궐 밖에는 종묘를 두었고, 궁 안에는 선원전을 두었다고 한다.[1]
건립경위
원래 1656년(효종 7) 경덕궁의 경화당을 옮겨지은 춘휘전이란 건물이었는데 1695년(숙종 21)에 선원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곳에는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의 어진을 봉안하고 있었다. 고종 대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보책조성소에 명하여 선원전의 제기를 변경하기도 하였다. 1921년 창덕궁 후원 서북쪽에 선원전을 새로 지어 왕의 초상을 옮긴 뒤부터 구선원전으로 불리게 되었다. 새로 지은 선원전에 옮긴 왕의 영정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화재로 소실되었다.[2]
지식 관계망
- 제례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선원전 | 선원전 은제기 목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조선 숙종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선원전 | 보책조성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책조성소 | 조선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창덕궁 | 창덕궁 선원전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선원전 | 영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영조 어진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숙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숙종 어진 | 조선 숙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정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정조 어진 | 조선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순조 어진 | 조선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문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문조 어진 | 효명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현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현종 어진 | 조선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태조 어진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고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종 어진 | 조선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작헌례 | 경복궁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다례 | 경복궁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강근, 「조선후기 선원전(璿源殿)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강좌미술사』 Vol.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학회, 2010
유용한 정보
- "선원전과 제주 감귤", 『공감신문』, 작성일: 2017년 01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