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길재 |한자표기= |영문명칭= |본관= |이칭= |시호= |호= |자= |생년= |몰년= |출생지= |사망지= |...)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길재
 
|대표명칭= 길재
|한자표기=  
+
|한자표기= 吉再
 
|영문명칭=
 
|영문명칭=
|본관=  
+
|본관= 해평(海平)
 
|이칭=
 
|이칭=
|시호=
+
|시호= 충절(忠節)
|호=  
+
|호= 야은(冶隱), 금오산인(金烏山人)
|자=  
+
|자= 재보(再父)
|생년=  
+
|생년= 1353년
|몰년=  
+
|몰년= 1419년
 
|출생지=  
 
|출생지=  
 
|사망지=  
 
|사망지=  
|시대=
+
|시대= 고려말 조선초
|국적=  
+
|국적= 고려, 조선
 
|대표저서=  
 
|대표저서=  
 
|대표직함=
 
|대표직함=
 
|배우자=  
 
|배우자=  
|부=  
+
|부= [[길원진|길원진(吉元進)]]
 
|모=
 
|모=
 
|자녀=  
 
|자녀=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학자이다.
  
 
=='''내용'''==
 
=='''내용'''==
 +
본관은 해평(海平)이고,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금오산인(金烏山人)이다. 아버지는 지금주사(知錦州事) [[길원진|길원진(吉元進)]]이며, 어머니는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이색|이색(李穡)]]·[[정몽주|정몽주(鄭夢周)]]와 함께 고려의 [[삼은|삼은(三隱)]]으로 불린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561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당대에도 명망 높던 학자===
 +
길재가 살아있을 때 이미 그의 명성은 나라에 널리 알려졌다. 그의 절의와 인품에 감탄한 군수 [[이양|이양(李揚)]]이 율곡동에 논과 밭을 주었으나 ‘무릇 물건이 아무리 풍족하다 한들 그 종말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증 받은 논과 밭을 사용할 만큼만 남겨 두고 나머지는 다 돌려주었다고 전해진다. 또 [[조선 세종|세종]]이 자신의 자손들을 등용하려 하자, 자신이 고려에 충성했듯이 후손들은 조선에 충성해야 한다면서 관직에 나가는 것을 허락해 주었으며, 길재는 제사를 당하면 나물밥으로 공양하고 우는 것을 초상 때와 같이 하였다. 첫닭이 울 때 의관을 갖추고 사당, 조상에게 절을 하면서 자제들과 경서를 강론하는 등 학자로서의 본보기를 보였다.<ref>"[https://namu.wiki/w/%EA%B8%B8%EC%9E%AC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ref>
 +
 +
===평생 학자로 살다===
 +
이로 인해 그를 흠모하는 학자들이 사방에서 모여들어, 길재는 항상 그들과 경전을 토론하고 성리학을 강해(講解)하였다. 그는 오직 도학(道學)을 밝히고 이단(異端)을 물리치는 것으로 일을 삼으며 후학의 교육에만 힘썼다. 두 왕조의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평생 벼슬을 마다하고 고향에 머물렀다. 그의 문하에서는 [[김숙자|김숙자(金叔滋)]] 등 많은 학자가 배출되어, [[김종직|김종직(金宗直)]]·[[김굉필|김굉필(金宏弼)]]·[[정여창|정여창(鄭汝昌)]]·[[조광조|조광조(趙光祖)]]로 그 학통이 이어졌다.<ref>"[https://namu.wiki/w/%EA%B8%B8%EC%9E%AC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ref>
 +
 +
저서로는 『야은집(冶隱集)』과 『야은속집(冶隱續集)』이 있으며, 그밖에 그의 언행록인 『야은언행습유록(冶隱言行拾遺錄)』이 전해지고 있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561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금산의 [[금산 성곡서원|성곡서원(星谷書院)]], 선산의 [[선산 금오서원|금오서원(金烏書院)]], 인동(仁同)의 [[인동 오산서원|오산서원(吳山書院)]] 등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절(忠節)이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561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이색과 정몽주와 이숭인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3/E01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길재]]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hasSon B
+
|[[길원진]] || [[길재]]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hasSon B
 +
|-
 +
|[[길재]] || [[삼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길재]] || [[김종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길재]] || [[김굉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길재]] || [[정여창]]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길재]] ||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길재]] || [[조광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51번째 줄: 76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  
+
** 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561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
* "[https://namu.wiki/w/%EA%B8%B8%EC%9E%AC 길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8년 3월 8일 (목) 07:03 기준 최신판

길재(吉再)
대표명칭 길재
한자표기 吉再
생몰년 1353년-1419년
본관 해평(海平)
시호 충절(忠節)
야은(冶隱), 금오산인(金烏山人)
재보(再父)
시대 고려말 조선초
국적 고려, 조선
길원진(吉元進)



정의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학자이다.

내용

본관은 해평(海平)이고,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금오산인(金烏山人)이다. 아버지는 지금주사(知錦州事) 길원진(吉元進)이며, 어머니는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불린다.[1]

당대에도 명망 높던 학자

길재가 살아있을 때 이미 그의 명성은 나라에 널리 알려졌다. 그의 절의와 인품에 감탄한 군수 이양(李揚)이 율곡동에 논과 밭을 주었으나 ‘무릇 물건이 아무리 풍족하다 한들 그 종말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증 받은 논과 밭을 사용할 만큼만 남겨 두고 나머지는 다 돌려주었다고 전해진다. 또 세종이 자신의 자손들을 등용하려 하자, 자신이 고려에 충성했듯이 후손들은 조선에 충성해야 한다면서 관직에 나가는 것을 허락해 주었으며, 길재는 제사를 당하면 나물밥으로 공양하고 우는 것을 초상 때와 같이 하였다. 첫닭이 울 때 의관을 갖추고 사당, 조상에게 절을 하면서 자제들과 경서를 강론하는 등 학자로서의 본보기를 보였다.[2]

평생 학자로 살다

이로 인해 그를 흠모하는 학자들이 사방에서 모여들어, 길재는 항상 그들과 경전을 토론하고 성리학을 강해(講解)하였다. 그는 오직 도학(道學)을 밝히고 이단(異端)을 물리치는 것으로 일을 삼으며 후학의 교육에만 힘썼다. 두 왕조의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평생 벼슬을 마다하고 고향에 머물렀다. 그의 문하에서는 김숙자(金叔滋) 등 많은 학자가 배출되어,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로 그 학통이 이어졌다.[3]

저서로는 『야은집(冶隱集)』과 『야은속집(冶隱續集)』이 있으며, 그밖에 그의 언행록인 『야은언행습유록(冶隱言行拾遺錄)』이 전해지고 있다.[4]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 선산의 금오서원(金烏書院), 인동(仁同)의 오산서원(吳山書院) 등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절(忠節)이다.[5]

지식 관계망

  • 이색과 정몽주와 이숭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길원진 길재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길재 삼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길재 김종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길재 김굉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길재 정여창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길재 조광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주석

  1. 박천규, "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길재", 『나무위키』online.
  3. "길재", 『나무위키』online.
  4. 박천규, "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박천규, "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박천규, "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길재", 『나무위키』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