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정보
 
{{문헌정보
 
|사진= 한글팀_고산구곡가_한역_01.jpg
 
|사진= 한글팀_고산구곡가_한역_01.jpg
|사진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이민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고산구곡가
 
|대표명칭= 고산구곡가
 
|한자표기= 高山九曲歌
 
|한자표기= 高山九曲歌
28번째 줄: 28번째 줄:
 
}}
 
}}
 
=='''정의'''==
 
=='''정의'''==
[[이이|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1578년(선조 11)에 [[이이|율곡 이이]]가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이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
 +
[[이이|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
-->
  
 
=='''내용'''==
 
=='''내용'''==
[[이이|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희|주자(朱子)]]의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의 [[도산십이곡|〈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이이|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희|주자(朱子)]]의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석담촌 계곡의 경치를 담아 시조로 읊었다. [[이황]]의 [[도산십이곡|〈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함께 조선 중기 성리학 대가들의 한글 시조작품으로 비견되는 작품이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
44번째 줄: 47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고산구곡도]]와 [[고산구곡가]]에 관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24/A12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과 이이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7/A207.htm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78번째 줄: 89번째 줄:
 
<gallery>
 
<gallery>
 
파일:한글팀_고산구곡가_언문_01.png | 고산구곡가 한글(언문)<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ref>
 
파일:한글팀_고산구곡가_언문_01.png | 고산구곡가 한글(언문)<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ref>
파일:한글팀_고산구곡가_한역_01.jpg |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곳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f>  
+
파일:한글팀_고산구곡가_한역_01.jpg |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gallery>
 
</gallery>
  

2017년 11월 24일 (금) 16:13 기준 최신판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이민홍,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고산구곡가
한자표기 高山九曲歌
영문명칭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저자 이이
역자 송시열
저술시기 1578년
시대 조선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578년(선조 11)에 율곡 이이가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이다.[1]

내용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석담촌 계곡의 경치를 담아 시조로 읊었다. 이황〈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함께 조선 중기 성리학 대가들의 한글 시조작품으로 비견되는 작품이다.[2]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고산구곡가 (해독)
고산구곡도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이구곡도가 고산구곡가 A는 B의 본보기이다 A dcterms:isReferencedBy B
고산구곡 고산구곡가 A는 B의 본보기이다 A dcterms:isReferencedBy B
고산구곡가 고산구곡도 A는 B의 본보기이다 A dcterms:isReferencedBy B
고산구곡가 고산구곡도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고산구곡가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78년 이이고산구곡가를 창작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4.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1.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2.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77.
  • 논문
    1. 고정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2. 권오성, 「율곡의 고산구곡가 율자보에 대한 소고」, 『제3회 국제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3.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 웹자원
    1. 전관수,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