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동국18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묘 배향의 역사)
잔글 (=권력 투쟁 대상이 된 문묘 배향)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문묘에 배향된 한국의 유학자들.
+
문묘에 배향된 한국의 유학자들이다.
  
 
=='''내용'''==
 
=='''내용'''==
35번째 줄: 35번째 줄:
  
 
===문묘 배향의 역사===
 
===문묘 배향의 역사===
[[성균관]]과 향교에 모셔지는 학자들을 문묘배향공신이라고 부르며 최고의 영예와 권위를 부여했다. 문묘배향공신을 배출한 가문은 최고의 학자 가문으로 존경을 받았으며 국가에서도 그 후손들을 특채 특별히 대접했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
====최초의 배향자는 최치원====
 +
[[성균관]]과 향교에 모셔지는 학자들을 문묘배향공신이라고 부르며 유학자로서 최고의 영예와 권위를 부여하였다. 문묘배향공신을 배출한 집안은 최고의 학자 가문으로 존경을 받았으며 국가에서도 그 후손들을 특채하는 특별하게 대접하였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우리나라 사람을 처음으로 문묘에 배향한 것은 1020년([[고려 현종|현종]] 11)이었다. 대상은 [[최치원]]이었으며 신라인이 당나라에 유학을 가서 유교 실력으로 이름을 떨친 공로로 문묘에 올랐다. 2년 후인 1022년([[고려 현종|현종]] 13)에는 불교가 성행하던 신라에서 유교를 학습하고 실천한 공로로 [[설총]]을 향사(享祀)했다. 이어 1319년([[고려 충숙왕|충숙왕]] 6) [[안향]]이 주자학을 학습하고 국학을 진흥시킨 [[안향]]이 포함됐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
우리나라 사람을 처음으로 문묘에 배향한 것은 1020년(고려 [[고려 현종|현종]] 11)이었다. 대상은 [[최치원]]이었으며 신라인이 당나라에 유학을 가서 유교 실력으로 이름을 떨친 공로로 문묘에 올랐다. 2년 후인 1022년([[고려 현종|현종]] 13)에는 불교가 성행하던 신라에서 유교를 학습하고 실천한 공로로 [[설총]]을 향사(享祀)하였다. 이어 1319년(고려 [[고려 충숙왕|충숙왕]] 6) 주자학을 학습하고 국학을 진흥시킨 [[안향]]이 포함되었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조선시대에는 [[조선 중종|중종]] 당시 [[조광조]]로 대표되던 사림 세력은 조선 건국 주체 세력이었던 [[권근]]보다는 고려 왕조에 절개를 지키고 목숨을 바친 [[정몽주]]를 조선 성리학의 태두로 삼고 존경했다. [[정몽주]]가 문묘에 향사되면서 조선 유교는 [[권근]] 계열의 실용적 유교보다는 [[정몽주]] 계열의 도학과 의리를 중시하는 유교가 주류로 자리 잡게 됐으며 [[정몽주]]를 기원으로 하는 도학자들 위패가 문묘를 독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
====도학과 의리, 명예 회복====
 +
[[조선 중종|중종]] 시기, [[조광조]]로 대표되던 사림 세력은 조선 건국 주체 세력이었던 [[권근]]보다는 고려 왕조에 절개를 지키고 목숨을 바친 [[정몽주]]를 조선 성리학의 태두로 삼고 존경하였다. [[정몽주]]가 문묘에 향사되면서 조선 유교는 [[권근]] 계열의 실용적 유교보다는 [[정몽주]]를 위시한 계열의 도학과 의리를 중시하는 유교가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정몽주]]를 위시한 도학자들의 위패가 문묘를 독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이후 퇴계 [[이황]]은 [[조선 선조|선조]]가 즉위한 해인 1567년 사화에 휘말려 정치적으로 희생된 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며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등 4명에 대한 재평가 문제를 최초로 제기하면서 이들의 추봉(追封)을 주장하였고 1610년([[조선 광해군|광해군]] 2)[[이황]]의 학문적 권위에 힘입어 [[이황]]을 포함한 5현을 조선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국가에 의해 공인됐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
이후 퇴계 [[이황]]은 [[조선 선조|선조]]가 즉위한 해인 1567년 사화에 휘말려 정치적으로 희생된 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며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등 4명에 대한 재평가 문제를 최초로 제기하고 이들의 추봉(追封)을 주장하였다. 1610년([[조선 광해군|광해군]] 2) [[이황]]의 학문적 권위에 힘입어 [[이황]]을 포함한 5현이 조선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국가에 의해 공인되었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임진왜란]] 이후 당쟁이 격화되면서 서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 등 당파는 경쟁적으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인물을 문묘에 배향하려고 했다. [[인조반정]]으로 서인 세력이 집권하자 그들의 사상적 지주인 [[이이]]와 [[성혼]]을 문묘에 올리자는 논의가 제기됐다. [[조선 인조|인조]]는 서인의 독주를 막기위해 이를 거부했지만 이후 [[조선 숙종|숙종]]은 남인 집권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경신환국]]을 단행해 남인을 몰아내고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허용했다. [[송시열]]은 [[이이]]와 [[성혼]]의 추봉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을 뿐만 아니라 1681년([[조선 숙종|숙종]] 7)에는 자기 스승인 [[김장생]]의 종향을 청원해 1717년([[조선 숙종|숙종]] 43) 드디어 성사시켰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
====권력 투쟁 대상이 된 문묘 배향===
 +
[[임진왜란]] 이후 당쟁이 격화되면서 서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 등 당파는 경쟁적으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인물을 문묘에 배향하려고 하였다. [[인조반정]]으로 서인 세력이 집권하자 그들의 사상적 지주인 [[이이]]와 [[성혼]]을 문묘에 올리자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조선 인조|인조]]는 서인의 독주를 막기위해 이를 거부했지만 이후 [[조선 숙종|숙종]]은 남인 집권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경신환국]]을 단행해 남인을 몰아내고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허용했다. [[송시열]]은 [[이이]]와 [[성혼]]의 추봉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을 뿐만 아니라 1681년([[조선 숙종|숙종]] 7)에는 자기 스승인 [[김장생]]의 종향을 청원해 1717년([[조선 숙종|숙종]] 43) 드디어 성사시켰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결과적으로 [[조선 인조|인조]]대 이후 비집권층이 된 영남의 남인 계열에서 단 한 명의 배향 공신도 배출하지 못했다. 그나마 [[조선 영조|영조]]대부터는 1746년([[조선 영조|영조]] 40)에 종사된 [[박세채]]를 제외하면 전부 노론 계열이다. [[조선 선조|선조]]대 문인인 [[김인후]]는 1796년([[조선 정조|정조]] 20)에, [[임진왜란]] 때 전사한 [[조헌]]과 인조대 문인인 [[김집]]은 1883년([[조선 고종|고종]] 20)에 각각 향사됐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
결과적으로 [[조선 인조|인조]] 대 이후 권력에서 밀려난 영남의 남인 계열에서는 단 한 명의 배향 공신도 배출하지 못했다. [[조선 영조|영조]] 대인 1746년([[조선 영조|영조]] 40)에 종사된 [[박세채]]를 제외하면 이후로는 전부 노론 계열이다. [[조선 선조|선조]] 대 문인인 [[김인후]]는 1796년([[조선 정조|정조]] 20)에, [[임진왜란]] 때 전사한 [[조헌]]과 인조대 문인인 [[김집]]은 1883년([[조선 고종|고종]] 20)에 각각 향사되었다.<ref>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0/E0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104번째 줄: 115번째 줄:
 
*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0127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개념]]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개념]]
 +
[[분류:개념]]

2018년 1월 9일 (화) 22:42 기준 최신판

동국 18현
(東國 十八賢)
대표명칭 동국 18현
한자표기 東國 十八賢



정의

문묘에 배향된 한국의 유학자들이다.

내용

동국 18현 목록[1]

문묘 배향의 역사

최초의 배향자는 최치원

성균관과 향교에 모셔지는 학자들을 문묘배향공신이라고 부르며 유학자로서 최고의 영예와 권위를 부여하였다. 문묘배향공신을 배출한 집안은 최고의 학자 가문으로 존경을 받았으며 국가에서도 그 후손들을 특채하는 등 특별하게 대접하였다.[2]

우리나라 사람을 처음으로 문묘에 배향한 것은 1020년(고려 현종 11)이었다. 대상은 최치원이었으며 신라인이 당나라에 유학을 가서 유교 실력으로 이름을 떨친 공로로 문묘에 올랐다. 2년 후인 1022년(현종 13)에는 불교가 성행하던 신라에서 유교를 학습하고 실천한 공로로 설총을 향사(享祀)하였다. 이어 1319년(고려 충숙왕 6) 주자학을 학습하고 국학을 진흥시킨 안향이 포함되었다.[3]

도학과 의리, 명예 회복

중종 시기, 조광조로 대표되던 사림 세력은 조선 건국 주체 세력이었던 권근보다는 고려 왕조에 절개를 지키고 목숨을 바친 정몽주를 조선 성리학의 태두로 삼고 존경하였다. 정몽주가 문묘에 향사되면서 조선 유교는 권근 계열의 실용적 유교보다는 정몽주를 위시한 계열의 도학과 의리를 중시하는 유교가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정몽주를 위시한 도학자들의 위패가 문묘를 독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4]

이후 퇴계 이황선조가 즉위한 해인 1567년 사화에 휘말려 정치적으로 희생된 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며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등 4명에 대한 재평가 문제를 최초로 제기하고 이들의 추봉(追封)을 주장하였다. 1610년(광해군 2) 이황의 학문적 권위에 힘입어 이황을 포함한 5현이 조선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국가에 의해 공인되었다.[5]

=권력 투쟁 대상이 된 문묘 배향

임진왜란 이후 당쟁이 격화되면서 서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 등 당파는 경쟁적으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인물을 문묘에 배향하려고 하였다. 인조반정으로 서인 세력이 집권하자 그들의 사상적 지주인 이이성혼을 문묘에 올리자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인조는 서인의 독주를 막기위해 이를 거부했지만 이후 숙종은 남인 집권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경신환국을 단행해 남인을 몰아내고 이이성혼의 문묘 종사를 허용했다. 송시열이이성혼의 추봉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을 뿐만 아니라 1681년(숙종 7)에는 자기 스승인 김장생의 종향을 청원해 1717년(숙종 43) 드디어 성사시켰다.[6]

결과적으로 인조 대 이후 권력에서 밀려난 영남의 남인 계열에서는 단 한 명의 배향 공신도 배출하지 못했다. 영조 대인 1746년(영조 40)에 종사된 박세채를 제외하면 이후로는 전부 노론 계열이다. 선조 대 문인인 김인후는 1796년(정조 20)에, 임진왜란 때 전사한 조헌과 인조대 문인인 김집은 1883년(고종 20)에 각각 향사되었다.[7]

지식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동국18현 성균관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설총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최치원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정몽주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김굉필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정여창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조광조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이언적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이황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안유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김인후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이이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성혼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김장생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조헌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김집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송시열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송준길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박세채 동국18현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안향 동국18현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동방 18현", 『위키백과』online.
  2. 배한철,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3. 배한철,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4. 배한철,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5. 배한철,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6. 배한철,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7. 배한철, "동국 18현 그들은 누구인가",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5년 4월 14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