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학문)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 말기 | + | 조선 말기 문장가이다. |
=='''내용'''== | =='''내용'''== | ||
+ | ===가계=== | ||
+ |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아명(兒名)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 鳳藻), 호는 영재(寧齋)이다.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시원(李是遠)이고,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이상학(李象學)이다. | ||
+ | |||
+ | ===생애=== | ||
가학인 [[양명학]]을 계승하였으며, [[강위|강위(姜瑋)]]에게서 배우기도 하고, [[김택영|김택영(金澤榮)]] ·[[황현|황현(黃玹)]]과 가까웠다. 1866년([[조선 고종|고종]] 3)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15세의 어린 나이로 인해 등용이 연기되어 1870년에 홍문관에 들어갔다. 1874년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가학인 [[양명학]]을 계승하였으며, [[강위|강위(姜瑋)]]에게서 배우기도 하고, [[김택영|김택영(金澤榮)]] ·[[황현|황현(黃玹)]]과 가까웠다. 1866년([[조선 고종|고종]] 3)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15세의 어린 나이로 인해 등용이 연기되어 1870년에 홍문관에 들어갔다. 1874년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1875년 충청도 암행어사로 관찰사 [[조병식|조병식(趙秉式)]]을 탄핵했다가 벽동에서 유배생활을 한 후 벼슬을 포기하였다. [[조선 고종|고종]]의 간곡한 부름으로 1880년과 1893년에 어사로 나가 관인의 비리를 엄하게 조사하고 민폐를 해결하여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890년에 한성부 소윤(小尹)이 되었고 이듬해에 승지, 1893년에는 함흥안핵사(按覈使)가 되었으며, 1896년에는 해주관찰사가 되었으나 사양하고 고향 강화도에 은거하여 일생을 마쳤다. | 1875년 충청도 암행어사로 관찰사 [[조병식|조병식(趙秉式)]]을 탄핵했다가 벽동에서 유배생활을 한 후 벼슬을 포기하였다. [[조선 고종|고종]]의 간곡한 부름으로 1880년과 1893년에 어사로 나가 관인의 비리를 엄하게 조사하고 민폐를 해결하여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890년에 한성부 소윤(小尹)이 되었고 이듬해에 승지, 1893년에는 함흥안핵사(按覈使)가 되었으며, 1896년에는 해주관찰사가 되었으나 사양하고 고향 강화도에 은거하여 일생을 마쳤다. | ||
− | 이건창은 [[김택영|김택영(金澤榮)]]이 여한(麗韓) | + | ===학문=== |
+ | 이건창은 [[김택영|김택영(金澤榮)]]이 여한(麗韓) 9대가 중 한 사람으로 뽑았을 정도로 문장에 뛰어났지만, 병약하여 그의 호(號)답지 않게 46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성품이 매우 곧아 병인양요 때에 강화에서 자결한 할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개화를 뿌리치고 철저한 척양척왜주의자로 일관하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521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양명학자로서 심학(心學)의 의미를 강조하여 정치 ·경제도 그에 기반을 두고 허명(虛名)을 배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웃나라에서 부강을 구하는 비주체적 개화에도 극력 반대하였다. [[황현]]은 이건창을 「[[오애시|오애시(五哀詩)]]」에 언급하면서 그의 충절을 기리기도 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저서로 『[[명미당집|명미당집(明美堂集)]]』과 『[[당의통략]]』이 있다.<ref>신병주,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138&cid=41708&categoryId=41736 이건창]",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황현과 최익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3/E0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65번째 줄: | 7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인용 및 참조=== |
− | *신병주,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138&cid=41708&categoryId=41736 이건창]",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웹 자원 |
− |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521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824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신병주,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138&cid=41708&categoryId=41736 이건창]",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521 이건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더 읽을거리=== | ||
*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336&cid=41708&categoryId=44531 이건창]", 네이버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336&cid=41708&categoryId=44531 이건창]", 네이버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324&cid=59015&categoryId=59015 이건창]", 인물한국사, 발행일: 2013년 11월 11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324&cid=59015&categoryId=59015 이건창]", 인물한국사, 발행일: 2013년 11월 11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
+ | [[분류:인물]] |
2018년 1월 13일 (토) 21:32 기준 최신판
이건창(李建昌) | |
대표명칭 | 이건창 |
---|---|
한자표기 | 李建昌 |
생몰년 | 1872년-1898년 |
본관 | 전주(全州) |
이칭 | 이송열(李松悅) |
호 | 영재(寧齋) |
자 | 봉조(鳳朝, 鳳藻) |
출생지 | 인천 강화 |
시대 | 조선말기 |
부 | 이상학(李象學) |
모 | 서장순(徐長淳)의 딸 |
자녀 | 이범하(李範夏) |
정의
조선 말기 문장가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아명(兒名)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 鳳藻), 호는 영재(寧齋)이다.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시원(李是遠)이고,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이상학(李象學)이다.
생애
가학인 양명학을 계승하였으며, 강위(姜瑋)에게서 배우기도 하고, 김택영(金澤榮) ·황현(黃玹)과 가까웠다. 1866년(고종 3)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15세의 어린 나이로 인해 등용이 연기되어 1870년에 홍문관에 들어갔다. 1874년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1]
1875년 충청도 암행어사로 관찰사 조병식(趙秉式)을 탄핵했다가 벽동에서 유배생활을 한 후 벼슬을 포기하였다. 고종의 간곡한 부름으로 1880년과 1893년에 어사로 나가 관인의 비리를 엄하게 조사하고 민폐를 해결하여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2] 1890년에 한성부 소윤(小尹)이 되었고 이듬해에 승지, 1893년에는 함흥안핵사(按覈使)가 되었으며, 1896년에는 해주관찰사가 되었으나 사양하고 고향 강화도에 은거하여 일생을 마쳤다.
학문
이건창은 김택영(金澤榮)이 여한(麗韓) 9대가 중 한 사람으로 뽑았을 정도로 문장에 뛰어났지만, 병약하여 그의 호(號)답지 않게 46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성품이 매우 곧아 병인양요 때에 강화에서 자결한 할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개화를 뿌리치고 철저한 척양척왜주의자로 일관하였다.[3] 양명학자로서 심학(心學)의 의미를 강조하여 정치 ·경제도 그에 기반을 두고 허명(虛名)을 배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웃나라에서 부강을 구하는 비주체적 개화에도 극력 반대하였다. 황현은 이건창을 「오애시(五哀詩)」에 언급하면서 그의 충절을 기리기도 했다.[4] 저서로 『명미당집(明美堂集)』과 『당의통략』이 있다.[5]
지식 관계망
- 황현과 최익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위 | 이건창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건창 | 황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건창 | 김택영 | A는 B의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오애시 | 이건창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명미당집 | 이건창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ekc:writer B |
당의통략 | 이건창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ekc:writer B |
시각자료
주석
- ↑ "이건창",
『두산백과』online . - ↑ "이건창",
『두산백과』online . - ↑ 이장희, "이건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건창",
『두산백과』online . - ↑ 신병주,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참조: "이건창",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