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천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한자표기= 朝天錄
 
|한자표기= 朝天錄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됴텬녹
+
|이칭=  
 
|유형=  
 
|유형=  
|저자=  
+
|저자= [[이항복|이항복(李恒福)]]
 
|역자=
 
|역자=
 
|편자=  
 
|편자=  
|저술시기=
+
|저술시기=  
|간행시기=  
+
|간행시기= 1629년
 
|간행처=
 
|간행처=
 
|간행지=
 
|간행지=
 
|간행인=
 
|간행인=
 
|시대= 조선시대
 
|시대= 조선시대
|수량= 1권
+
|수량=  
 
|크기=
 
|크기=
 
|판본=
 
|판본=
29번째 줄: 29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 전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작품집.
+
[[이항복]]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의 기록을 엮은 책이다.
  
 
=='''내용'''==
 
=='''내용'''==
「쇼통현뎐」·「교구련뎐」·「사시풍경녹」·「됴비연합덕의뎐」 등 6편이다.
+
[[이항복|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1556-1618)]]이 1598년([[조선 선조|선조]] 31)에 [[정응태 무고사건|정응태의 무고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되어 명()에 다녀오면서, 사행(使行)의 여정에서 지었던 한시 및 동행들과 수창(酬唱)한 한시 등을 모아서 기록한 것이다.<ref>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ref>
[내용 및 평가]
 
「됴텬녹」은 인조반정으로 새 임금이 된 인조의 등극을 중국 명나라 왕실에 알리기 위하여 조선에서 파견한 반정 사실 주청사행(奏請使行)의 일원으로 부사를 따라갔던 자가 지은 기행수필이다.
 
「한화희등황후」는 중국의 후한(後漢) 화제(和帝)의 후비인 등후(鄧后)의 전기소설이고, 「쇼통현뎐」은 『태평광기(太平廣記)』 권44에 실려 있는 「소통현(蕭洞玄)」을 국역한 소설이며, 「교구련뎐」은 노모를 모시며 가난하게 사는 교구련에게 분수대로 살기를 충고한 내용이다.
 
「사시풍경녹」은 조성신(趙星臣)의 「사시풍경가(四時風景歌)」의 이본인 국문가사이며, 「됴비연합덕의뎐」은 한(漢)나라 성제(成帝)의 총비(寵妃)였던 조비연(趙飛燕)과 그의 아우 소의(昭儀)의 못된 행실을 그린 전기이다.[민백]
 
  
편자 및 편찬연대 미상의 작품집. 한장(韓裝) 1책. 궁체국문 필사본. 원제는 ≪됴텬녹≫이다. 수록작품은 수필 · 가사 · 소설 등으로, <됴텬녹> · <한화희등황후> · <쇼통현뎐> · <교구련뎐> · <시풍경녹> · <됴비연합덕의뎐> 등 6편이다. <됴텬녹>은 인조반정으로 새 임금이 된 인조의 등극을 중국 명나라 왕실에 알리기 위하여 조선에서 파견한 반정사실 주청사행(奏請使行)의 일원으로 부사를 따라갔던 자가 지은 기행수필이다.
+
이와 같은 사행록(使行錄)은 공적인 사신의 임무를 수반한 여행기록이기 때문에, 일반 기행문과는 그 성격이 다른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사신을 선발할 때 뛰어난 문사가 사신의 일행으로 포함되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관례였다. 공자(孔子)도 이를 언급할 정도로 사신의 문학적 소양은 외교에서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작품의 수준은 그 국가의 문화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하였다. 사행록은 뒤에 사신으로 선발될 사람에게는 사행의 지침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ref>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ref>
  
<한화희등황후>는 중국의 후한(後漢) 화제(和帝)의 후비인 등후(鄧后)의 전기소설이고, <쇼통현뎐>은 ≪태평광기(太平廣記)≫ 권44에 실려 있는 <소통현(蕭洞玄)>을 국역한 소설이고, <교구련뎐>은 노모를 모시며 가난하게 사는 교구련에게 분수대로 살기를 충고한 내용이고, <시풍경녹>은 조성신(趙星臣)<사시풍경가(四時風景歌)>의 이본인 국문가사이며, <됴비연합덕의뎐>은 한성제(漢成帝)총비(寵妃)였던 조비연(趙飛燕)과 그의 아우 소의(昭儀)의 못된 행실을 그린 전기이다. 이 작품집은 17세기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 기록은 날짜별로 정리가 되어 있으며, 6개월 정도의 중국 사행기록이 실려 있다. 주로 보고 들은 것을 서술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일기(日記)의 형식으로 적었고, 시()로 대신한 부분도 있다.<ref>緣田, "[http://blog.daum.net/lrrock5050/330 조천록 상() 기문(記聞)]",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ref>
[네이버 지식백과] 조천록 [朝天錄]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
 
 +
『조천록』은 1629년 간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으며, [[이항복]]문집인 『[[백사집|백사집(白沙集)]]』 별집 제5-6권에 실려 있다.<ref>緣田, "[http://blog.daum.net/lrrock5050/330 조천록 상() 기문(記聞)]",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이항복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9/E00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조천록]] || [[이색]]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조천록]] || [[이항복]]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조천록]] || [[종선]]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조천록]] || [[정응태 무고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백사집]] || [[조천록]]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주석'''==
 
=='''주석'''==
59번째 줄: 6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논문
 +
**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
*웹자원
 +
** 緣田, "[http://blog.daum.net/lrrock5050/330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 [[분류:문헌]]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
[[분류:문헌]]

2018년 1월 14일 (일) 23:26 기준 최신판

조천록(朝天錄)
대표명칭 조천록
한자표기 朝天錄
저자 이항복(李恒福)
간행시기 1629년
시대 조선시대



정의

이항복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의 기록을 엮은 책이다.

내용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1556-1618)이 1598년(선조 31)에 정응태의 무고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되어 명(明)에 다녀오면서, 사행(使行)의 여정에서 지었던 한시 및 동행들과 수창(酬唱)한 한시 등을 모아서 기록한 것이다.[1]

이와 같은 사행록(使行錄)은 공적인 사신의 임무를 수반한 여행기록이기 때문에, 일반 기행문과는 그 성격이 다른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사신을 선발할 때 뛰어난 문사가 사신의 일행으로 포함되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관례였다. 공자(孔子)도 이를 언급할 정도로 사신의 문학적 소양은 외교에서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작품의 수준은 그 국가의 문화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하였다. 사행록은 뒤에 사신으로 선발될 사람에게는 사행의 지침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2]

이 기록은 날짜별로 정리가 되어 있으며, 6개월 정도의 중국 사행기록이 실려 있다. 주로 보고 들은 것을 서술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일기(日記)의 형식으로 적었고, 시(詩)로 대신한 부분도 있다.[3]

『조천록』은 1629년 간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으며, 이항복의 문집인 『백사집(白沙集)』 별집 제5-6권에 실려 있다.[4]

지식관계망

  • 이항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천록 이항복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조천록 정응태 무고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사집 조천록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2.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3. 緣田,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online,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
  4. 緣田,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online,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