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태백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김지선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6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정창섭]]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
|유형= 항일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소장처= 미상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
=='''정의'''==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800px|center]]
+
조선 말기 의병 [[신돌석]]이 [[태백산]]에서 왜군을 격멸하고 있는 장면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의병장 [[신돌석]]이 [[동대성]]에서 왜군을 격멸하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작품으로, 적과의 피비린내 나는 전투장면과 이로인한 피폐한 전경을 연극적인 연출을 통해 역동적으로 재현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2쪽.</ref>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right|450px]]
 +
평민 출신 의병대장인 [[신돌석|신돌석(申乭石, 1878~1908)]]은 특유의 용맹함과 민첩함으로 '태백산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그는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동생 [[신경우]]과 함께 농민군 300명을 모아 [[영릉의진|영릉의진(寧陵義陳)]]을 창건하였다.<br/>
 +
[[영릉의진|영릉의진(寧陵義陳)]]은 반침략·반봉건을 기본 이념으로 하며 천민·평민으로 구성되어 있는 의병부대로, 1906년 4월에서 1908년 12월 [[신돌석]]이 사망할 때까지 [[을사의병|을사의병(乙巳義兵]]과 [[정미의병|정미의병(丁未義兵)]]에 참여하여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br/>
 +
그 결과 [[신돌석]] 부대는 1905년 4월 [[울진군]]에서 일본군의 배 9척을 기습 파괴했으며, 경상도와 강원도가 접경하는 동해안의 영해(寧海)를 중심으로 강원 내륙 지방까지 세력을 확대하였다. 이때부터 [[신돌석]]은 '태백산 호랑이'로 불리게 되었다. 그는 한국군 진위대(鎭衛隊)나 일본군과의 정면 충돌을 피하면서, 교묘한 게릴라 전법으로 장기간 전투를 계속하였다.<br/>
  
=='''관련 민족기록화'''==
+
{{Blockquote|
계몽/항일 소재 작품
+
"효용(驍勇)이 나는 것과 같아 필마단창(匹馬單槍)으로 적을 무수히 죽이니 일본인은 백가지의 계책으로 이를 잡으려 하였으나 잡지 못하였다"
<gallery>
+
|출처="[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3&itemId=hdsr&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1&levelId=hdsr_001_0020_0050_0020 2) 을사·병오·정미 의병항전과 유생 의병장]", 한민족독립운동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3&itemId=hdsr&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1&levelId=hdsr_001_0020_0050_0020 2) 을사·병오·정미 의병항전과 유생 의병장]", 한민족독립운동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이 작품은 [[태백산]]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영릉의진]]이 일본군을 격퇴하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작품 중앙에 흰 옷을 입고 낫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 [[신돌석]]'''으로 추정된다.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그림 읽기===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31일부터 1992년 1월 30일까지 [[청와대]]에 대여되었습니다.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imagemap>Image: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center|900px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poly 250 87 237 98 240 107 242 105 245 130 248 142 246 143 257 158 257 163 261 170 268 185 272 187 272 194 261 190 252 193 244 191 240 205 245 213 256 229 260 237 248 245 256 250 264 241 273 241 278 241 270 225 264 211 277 217 289 215 292 222 304 233 309 229 322 229 309 209 305 189 297 187 294 183 297 183 301 173 297 165 296 158 290 153 289 138 284 133 282 129 281 129 277 133 268 139 268 143 258 135 249 114 248 106 253 101 256 93 256 93 [[신돌석]]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imagemap>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지식 관계망'''==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3/C043.htm "태백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gallery>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3/C04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 [[신돌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영릉의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태백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청와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영릉의진]] || [[신돌석]]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신돌석]]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익현]]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신돌석]]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영릉의진]]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정창섭]]  
+
| [[영릉의진]]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정기룡]]
+
| [[항일의병운동]] || [[을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조경]]
+
| [[항일의병운동]] || [[을사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를 소재로 삼다 ||[[추풍령 전투]]
+
| [[항일의병운동]] || [[정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을 배경으로 한다 ||[[추풍령]]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정창섭]]이 [[정창섭-태백산전투]]를 그렸다.
 +
|-
 +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 [[청와대]]가 [[정창섭-태백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 1895년 10월 ||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
|-
 +
| 1905년 11월 17일 ||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
 +
|-
 +
| 1905년 || [[을사의병]]이 일어났다
 +
|-
 +
| 1905년 || [[영릉의진]]이 [[신돌석]]에 의해 설립되었다
 +
|-
 +
| 1907년 8월 1일 || [[정미의병]]이 일어났다
 +
|-
 +
| 1906년 4월-1908년 12월 || [[신돌석]]과 [[영릉의진]]이 [[항일의병운동]]에 참여하였다
 
|-
 
|-
|{{PAGENAME}}||[[청와대]] 대여기간 || 1991.01.31 ~ 1992.01.30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항일의병운동 전자지도'''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PAGENAME}} ||소장처|| [[청와대]] || 37.586807 || 126.974811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06/C00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항일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
===갤러리===
  
=='''참고문헌'''==
+
===영상===
*민족정신선양회, 「민족기록화집 제1편 민족기록화(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4년.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8회 신돌석(게시일: 2016년 4월 7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H-oyIRKG3s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성대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784 신돌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3&itemId=hdsr&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5&levelId=hdsr_001_0020_0060_0020 2) 초기 및 재기 단계의 의병운동과 평민의병]", 한민족독립운동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B%8F%8C%EC%84%9D 신돌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3&itemId=hdsr&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1&levelId=hdsr_001_0020_0050_0020 2) 을사·병오·정미 의병항전과 유생 의병장]", 한민족독립운동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34 기준 최신판


태백산전투
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조선 말기 의병 신돌석태백산에서 왜군을 격멸하고 있는 장면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

평민 출신 의병대장인 신돌석(申乭石, 1878~1908)은 특유의 용맹함과 민첩함으로 '태백산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그는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동생 신경우과 함께 농민군 300명을 모아 영릉의진(寧陵義陳)을 창건하였다.
영릉의진(寧陵義陳)은 반침략·반봉건을 기본 이념으로 하며 천민·평민으로 구성되어 있는 의병부대로, 1906년 4월에서 1908년 12월 신돌석이 사망할 때까지 을사의병(乙巳義兵정미의병(丁未義兵)에 참여하여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그 결과 신돌석 부대는 1905년 4월 울진군에서 일본군의 배 9척을 기습 파괴했으며, 경상도와 강원도가 접경하는 동해안의 영해(寧海)를 중심으로 강원 내륙 지방까지 세력을 확대하였다. 이때부터 신돌석은 '태백산 호랑이'로 불리게 되었다. 그는 한국군 진위대(鎭衛隊)나 일본군과의 정면 충돌을 피하면서, 교묘한 게릴라 전법으로 장기간 전투를 계속하였다.


Quote-left.png

"효용(驍勇)이 나는 것과 같아 필마단창(匹馬單槍)으로 적을 무수히 죽이니 일본인은 백가지의 계책으로 이를 잡으려 하였으나 잡지 못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2) 을사·병오·정미 의병항전과 유생 의병장", 한민족독립운동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1]


이 작품은 태백산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영릉의진이 일본군을 격퇴하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작품 중앙에 흰 옷을 입고 낫을 들고있는 사람이 신돌석으로 추정된다.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31일부터 1992년 1월 30일까지 청와대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신돌석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태백산전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태백산전투 신돌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태백산전투 영릉의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태백산전투 태백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정창섭-태백산전투 청와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영릉의진 신돌석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신돌석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돌석 정미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릉의진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릉의진 정미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항일의병운동 을미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항일의병운동 을사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항일의병운동 정미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정창섭정창섭-태백산전투를 그렸다.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청와대정창섭-태백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895년 10월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
1905년 을사의병이 일어났다
1905년 영릉의진신돌석에 의해 설립되었다
1907년 8월 1일 정미의병이 일어났다
1906년 4월-1908년 12월 신돌석영릉의진항일의병운동에 참여하였다

공간정보

  • 항일의병운동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8회 신돌석(게시일: 2016년 4월 7일)

주석

  1. "2) 을사·병오·정미 의병항전과 유생 의병장", 한민족독립운동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