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아카데미즘( | + | {{개념정보 |
− | 아카데미(academy)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
− | 근대 이후 미술의 역사는 새로운 양식이 기존의 아카데미즘을 대체해온 역사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사조는 당대의 아카데미즘에 반발하여 일어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매너리즘에 빠지고 보수화되어 스스로 아카데미즘으로 변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카데미즘은 전통과 역사를 후대에 전하여 예술의 새로운 창조에 바탕이 되는 역할을 하기도 | + | |사진출처= |
− | 우리나라에서는 | + | |대표명칭= 아카데미즘 |
− | + | |한자표기= 官展風 | |
+ | |영문명칭=academism | ||
+ | |이칭=관전풍(官展風),관학풍(官學風) | ||
+ | |유형= | ||
+ | |관련개념= [[향토적 소재주의]], [[인상주의]] | ||
+ | }} | ||
+ | =='''정의'''== | ||
+ | 프랑스에서 1667년부터 관(官)의 주도하에 시작된 [[르 살롱|르 살롱(Le Salon)전]]의 보수적인 화풍을 지칭한다. | ||
+ | |||
+ | =='''내용'''== | ||
+ | ===유래=== | ||
+ | 아카데미(academy)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이 아테네 근교에 청년들의 교육을 위해 열었던 [[아카데미아|아카데미아(Academeia)]]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후 과학, 문학, 예술 등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단체나 교육기관을 의미하게 되었다. 아카데미즘은 정부에 의해 설립, 운영되는 기관이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형식적인 경향으로 전락한 것을 비판하는 말로 쓰인다. 그들은 당대의 지배계층을 옹호하고 봉사하면서, 전통을 중시한다는 구실을 방패로 현실의 문제는 외면한다는 것이다. 미술에서는 특히 프랑스에서 1667년부터 관(官)이 주도하여 시작된 [[르 살롱|르 살롱(Le Salon)전]]의 보수적인 화풍을 지칭하며 관전풍(官展風), 관학풍(官學風)이라고도 한다.<br/> | ||
+ | 근대 이후 미술의 역사는 새로운 양식이 기존의 아카데미즘을 대체해온 역사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사조는 당대의 아카데미즘에 반발하여 일어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매너리즘에 빠지고 보수화되어 다시 스스로 아카데미즘으로 변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카데미즘은 전통과 역사를 후대에 전하여 예술의 새로운 창조에 바탕이 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
+ | |||
+ | ===한국의 아카데미즘=== | ||
+ | 우리나라에서는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와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로 이어진 주류 화풍을 일컫는다. 이러한 화풍은 대체로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고전주의]]적 경향에 [[향토적 소재주의|향토적이고 토속적인 미감]]을 담는 특징을 보인다. |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803/C803.htm "르 살롱"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803/C8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아카데미즘]] || [[르 살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아카데미즘]] ||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아카데미즘]] ||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국전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인상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향토적 소재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김창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박득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이인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아카데미즘]] || [[장리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아카데미즘"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창락 사양 01.png|[[김창락]], 사양(斜陽), 1962, 캔버스에 유채, 154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428 사양]",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창락 맥춘 01.png|[[김창락]], 맥춘, 1976, 캔버스에 유채, 97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78 맥춘]",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득순_자화상.jpg |[[박득순]], 자화상, 1964, 캔버스에 유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130 자화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박득순-서울풍경.jpg |[[박득순]], 서울 풍경(風景), 1949, 캔버스에 유채, 162x98cm<ref>재봉틀, "[http://blog.naver.com/kwank99/220071611747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ref> | ||
+ | 파일:박득순-나부좌상.jpg |[[박득순]], 나부좌상, 1964, 캔버스에 유채, 127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재봉틀, "[http://blog.naver.com/kwank99/220071611747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ref> | ||
+ | 파일:박득순-부인상.jpg |[[박득순]], 부인상, 1953, 캔버스에 유채, 117x9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432 부인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대표작품 02.jpg|[[이인영]], 만하(晩夏), 1967,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5303 만하]",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오후 01.jpg|[[이인영]], 오후, 1968, 캔버스에 유채, 162.2×130.3cm, 국회도서관 소장<ref>김구회, "[http://ccdaily.co.kr/news/view.html?section=9&category=222&no=23288 이인영 화백, 색채와 화음을 노래하다]", 『충청데일리』, 2017년 3월 3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장리석 오후 01.png|[[장리석]], 오후, 1956, 캔버스에 유채, 145x10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5256 오후]",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장리석 남해의 여인들 01.png|[[장리석]], 남해의 여인들, 1980, 캔버스에 유채, 64.7x100cm, 제주도립미술관 소장<ref>진선희, "[http://m.ihalla.com/Article/Read/1393858800456245036 피난지 제주에서 만난 '영혼의 고향']", 『한라일보』, 2014년 3월 4일.</ref> | ||
+ | </gallery> | ||
+ | |||
+ | ===동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유용한 정보=== | ||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4695&cid=42642&categoryId=42642 아카데미즘]",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김현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652 아카데미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2월 1일 (금) 02:54 기준 최신판
아카데미즘 (官展風) |
|
대표명칭 | 아카데미즘 |
---|---|
한자표기 | 官展風 |
영문명칭 | academism |
이칭 | 관전풍(官展風),관학풍(官學風) |
관련개념 | 향토적 소재주의, 인상주의 |
정의
프랑스에서 1667년부터 관(官)의 주도하에 시작된 르 살롱(Le Salon)전의 보수적인 화풍을 지칭한다.
내용
유래
아카데미(academy)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이 아테네 근교에 청년들의 교육을 위해 열었던 아카데미아(Academeia)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후 과학, 문학, 예술 등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단체나 교육기관을 의미하게 되었다. 아카데미즘은 정부에 의해 설립, 운영되는 기관이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형식적인 경향으로 전락한 것을 비판하는 말로 쓰인다. 그들은 당대의 지배계층을 옹호하고 봉사하면서, 전통을 중시한다는 구실을 방패로 현실의 문제는 외면한다는 것이다. 미술에서는 특히 프랑스에서 1667년부터 관(官)이 주도하여 시작된 르 살롱(Le Salon)전의 보수적인 화풍을 지칭하며 관전풍(官展風), 관학풍(官學風)이라고도 한다.
근대 이후 미술의 역사는 새로운 양식이 기존의 아카데미즘을 대체해온 역사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사조는 당대의 아카데미즘에 반발하여 일어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매너리즘에 빠지고 보수화되어 다시 스스로 아카데미즘으로 변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카데미즘은 전통과 역사를 후대에 전하여 예술의 새로운 창조에 바탕이 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국의 아카데미즘
우리나라에서는 조선미술전람회(선전)와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로 이어진 주류 화풍을 일컫는다. 이러한 화풍은 대체로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고전주의적 경향에 향토적이고 토속적인 미감을 담는 특징을 보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아카데미즘 | 르 살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국전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인상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향토적 소재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김창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박득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이인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카데미즘 | 장리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동영상
주석
- ↑ "사양",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맥춘",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부인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만하",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김구회, "이인영 화백, 색채와 화음을 노래하다", 『충청데일리』, 2017년 3월 3일.
- ↑ "오후",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진선희, "피난지 제주에서 만난 '영혼의 고향'", 『한라일보』, 2014년 3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