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크롬 회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갤러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모노크롬 회화 | |대표명칭= 모노크롬 회화 | ||
|한자표기= Monochrome繪畫 | |한자표기= Monochrome繪畫 | ||
|영문명칭= Monochrome | |영문명칭= Monochrome | ||
− | |이칭=단색조회화,단색화 | + | |이칭=단색조회화, 단색화 |
|유형= | |유형= | ||
− | |관련개념= | + | |관련개념=[[폴리크롬]], [[모더니즘]] |
}} | }} | ||
=='''정의'''== | =='''정의'''==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다색인 폴리크롬(polychrome)에 반대되는 의미로 단일한 색조로 명도와 채도만 변화를 주어 그린 | + | 다색인 [[폴리크롬|폴리크롬(polychrome)]]에 반대되는 의미로 단일한 색조로 명도와 채도만 변화를 주어 그린 단색화를 말한다. 나아가 화면의 구성이나 질서와 같은 전통적인 미술개념을 거부하고 내용이나 주제, 형태 등을 제거한 미술을 포괄하기도 한다. 단색 사진이나 단색 영화도 모노크롬이라 부른다. 1950년대 이후 색채를 통한 감성표현을 배제하거나 색채와 형태를 최소화한 하드에지 페인팅(hard edge painting)이나 미니멀아트(minimal art) 등이 대표적이다.<br/> |
− | 우리나라에서는 1960~ | + | 우리나라에서는 1960~1970년대 들어 회화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회화의 화면이 삼차원의 공간을 재현한 허구의 공간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평면이라는 점을 확인하여 한국현대미술에 현대성(modernity)을 부여하면서 더불어 동양적이고 한국적인 정신성을 담아낸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정창섭]] || [[모노크롬 회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정창섭]] || [[모노크롬 회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모노크롬 회화]] || [[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30번째 줄: | 31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모노크롬 회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모노크롬 회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박서보_묘법no43.jpg | 묘법 No.43-78-79-81, 1981, 면천에 유채‧흑연, 193.5x259.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495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박서보_묘법no43.jpg |[[박서보]], 묘법 No.43-78-79-81, 1981, 면천에 유채‧흑연, 193.5x259.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495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박서보-묘법 No.355-86.jpg|묘법 No.355-86, 1986, 종이에 먹, 194×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092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박서보-묘법 No.355-86.jpg|[[박서보]], 묘법 No.355-86, 1986, 종이에 먹, 194×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092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박서보-묘법_시리즈4.jpg| | + | 파일:박서보-묘법_시리즈4.jpg|[[박서보]], 묘법시리즈 4, 1994, 종이에 한지,안료, 103.8×78.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DP-03515 묘법시리즈 4]",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정창섭-묵고.JPG |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소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7090&cid=46717&categoryId=46765 묵고 No.9606]", 미술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정창섭-묵고.JPG |[[정창섭]],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소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7090&cid=46717&categoryId=46765 묵고 No.9606]", 미술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닥.jpg|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624 닥 No. 85099]",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닥.jpg|[[정창섭]],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624 닥 No. 85099]",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묵고9680.jpg|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727 묵고 No.9608]",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묵고9680.jpg|[[정창섭]],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727 묵고 No.9608]",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49번째 줄: | 50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 | [[분류:민족/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15일 (수) 13:47 기준 최신판
모노크롬 회화 (Monochrome繪畫) |
|
대표명칭 | 모노크롬 회화 |
---|---|
한자표기 | Monochrome繪畫 |
영문명칭 | Monochrome |
이칭 | 단색조회화, 단색화 |
관련개념 | 폴리크롬, 모더니즘 |
정의
미술에서 한 가지 색이나 같은 계통의 색조로 그린 그림을 가리킨다.
내용
다색인 폴리크롬(polychrome)에 반대되는 의미로 단일한 색조로 명도와 채도만 변화를 주어 그린 단색화를 말한다. 나아가 화면의 구성이나 질서와 같은 전통적인 미술개념을 거부하고 내용이나 주제, 형태 등을 제거한 미술을 포괄하기도 한다. 단색 사진이나 단색 영화도 모노크롬이라 부른다. 1950년대 이후 색채를 통한 감성표현을 배제하거나 색채와 형태를 최소화한 하드에지 페인팅(hard edge painting)이나 미니멀아트(minimal art)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1970년대 들어 회화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회화의 화면이 삼차원의 공간을 재현한 허구의 공간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평면이라는 점을 확인하여 한국현대미술에 현대성(modernity)을 부여하면서 더불어 동양적이고 한국적인 정신성을 담아낸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서보 | 모노크롬 회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창섭 | 모노크롬 회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모노크롬 회화 | 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동영상
주석
- ↑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시리즈 4",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묵고 No.9606",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닥 No. 85099",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묵고 No.960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