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신한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 | + | 조선시대 [[숙명공주]]가 받은 한글편지를 하나로 묶은 첩(帖)이다 |
==내용== | ==내용== | ||
===[[숙명신한첩]]의 구성=== | ===[[숙명신한첩]]의 구성=== | ||
− | 『[[숙명신한첩]]』은 [[조선 효종|효종]]의 둘째 딸인 [[숙명공주]]가 출가한 후 40여 년간 왕과 왕비, 대비 등과 주고받은 한글로 쓴 친필 문안편지를 모은 총 68편의 서첩이다. 이 중에는 [[조선 효종|효종]]의 편지 9편・[[조선 현종|현종]]의 편지 2편・[[인선왕후]]의 편지 53편・[[명성왕후]]의 편지 1편・[[숙명공주]]의 편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사가였던 [[심익현]] | + | 『[[숙명신한첩]]』은 [[조선 효종|효종]]의 둘째 딸인 [[숙명공주]]가 출가한 후 40여 년간 왕과 왕비, 대비 등과 주고받은 한글로 쓴 친필 문안편지를 모은 총 68편의 서첩이다. 이 중에는 [[조선 효종|효종]]의 편지 9편・[[조선 현종|현종]]의 편지 2편・[[인선왕후]]의 편지 53편・[[명성왕후]]의 편지 1편・[[숙명공주]]의 편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사가였던 [[심익현]] 집안에 전해 내려오다가 [[김일근]]이 소장하던 것을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인수하였다.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쪽.</ref>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쪽.</ref> | ||
− | 『[[숙명신한첩]]』은 1962년 故김일근 선생이 발견할 당시에 표지가 | + | 『[[숙명신한첩]]』은 1962년 故김일근 선생이 발견할 당시에 표지가 소실되고, 부분적으로 서첩 뒤편 하단부가 훼손되어 있었다. 『[[숙휘신한첩]]』과 대조하여 볼 때 앞뒤가 빠졌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수록된 편지는 모두 68편이나 서첩 뒤편에 빠진 부분이 있다면 먼저 발견된 『[[숙휘신한첩]]』의 내용으로 보아 '명성왕후 어셔'로 분류된 편지가 몇 편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쪽.</ref> |
− | ===[[숙명신한첩]]의 서예사적 가치=== | + | ===[[숙명신한첩|『숙명신한첩』]]의 서예사적 가치=== |
조선시대에 쓰여진 한글 편지는 대부분 필사자와 편년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숙명신한첩]]』은 17세기 효종 대부터 현종 대까지 필사 시기가 분명하고 필적이 확실하다. 또한, 현전하는 왕후들의 언간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다. | 조선시대에 쓰여진 한글 편지는 대부분 필사자와 편년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숙명신한첩]]』은 17세기 효종 대부터 현종 대까지 필사 시기가 분명하고 필적이 확실하다. 또한, 현전하는 왕후들의 언간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다. | ||
이 편지들의 서체는 [[조선 효종|효종]]과 [[숙명공주]]의 정자체 2편, 반흘림체 1편, 흘림체 6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한글 궁체의 변천 시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궁체가 왕실에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한글서예사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 이 편지들의 서체는 [[조선 효종|효종]]과 [[숙명공주]]의 정자체 2편, 반흘림체 1편, 흘림체 6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한글 궁체의 변천 시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궁체가 왕실에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한글서예사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쪽.</REF>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쪽.</REF> | ||
− | ===[[숙명신한첩]]의 사회 배경과 역사사료적 가치=== | + | ===[[숙명신한첩|『숙명신한첩』]]의 사회 배경과 역사사료적 가치=== |
− | 『[[숙명신한첩]]』이 쓰인 시기는 학문과 사상을 매개로 한 일대의 정쟁의 시기였다. 17세기 [[이이|율곡]]학파로 대표되는 [[서인]]과 [[이이|퇴계]]학파로 대표되는 [[남인]]의 성리학 이념 논쟁이 | + | 『[[숙명신한첩]]』이 쓰인 시기는 학문과 사상을 매개로 한 일대의 정쟁의 시기였다. 17세기 [[이이|율곡]]학파로 대표되는 [[서인]]과 [[이이|퇴계]]학파로 대표되는 [[남인]]의 성리학 이념 논쟁이 성행하였다. 이 |
+ | 때 [[예송논쟁|1차 예송논쟁]]이 일어났는데, 이 논쟁의 주인공인 [[조선 효종|효종]]·[[장렬왕후]]·[[인선왕후]]의 글씨가 『[[숙명신한첩]]』에 실려 있다. 특히 [[숙명공주]]의 어머니인 [[인선왕후]]의 편지가 많은데 내용은 일상생활의 안부이지만 궁중풍속이나 앞서 말한 정치사건 및 상황 등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10쪽.</ref>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10쪽.</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47/A14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6/A146.htm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91번째 줄: | 100번째 줄: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한글팀 숙명신한첩.JPG|숙명신한첩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97번째 줄: | 112번째 줄: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단행본 | *단행본 | ||
− | * | + | **국립청주박물관,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 숙명신한첩』, 국립청주박물관, 2011. |
− | * | + |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역락, 2013. |
*논문 | *논문 | ||
− | * | + | **정복동, 「《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 《숙명신한첩》·《숙휘신한첩》을 중심으로」, 『서예학연구』23, 한국서예학회, 2013. |
− | * | + | **김연희, 「《숙휘공주신한첩》의 서체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 | + | ||
− | * | + | ===유용한 정보=== |
− | * | + | *"[http://archive.kostma.net/letter/letterList.aspx?dataUCI=%20G002+LET+KSM-XF.0000.0000-20140430.A0001_01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안순자,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281 조선 왕실의 한글편지]", 『충청일보』, 작성일: 2011년 7월 5일.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
− |
2017년 11월 30일 (목) 15:39 기준 최신판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 |
대표명칭 | 숙명신한첩 |
---|---|
한자표기 | 淑明宸翰帖 |
이칭 | 신한첩 |
저자 | 조선 효종, 조선 현종, 장렬왕후, 인선왕후 ,명성왕후 |
시대 | 조선 |
소장처 | 국립청주박물관 |
지정번호 | 보물 제1629호 |
지정일 | 2010년 01월 04일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숙명공주가 받은 한글편지를 하나로 묶은 첩(帖)이다
내용
숙명신한첩의 구성
『숙명신한첩』은 효종의 둘째 딸인 숙명공주가 출가한 후 40여 년간 왕과 왕비, 대비 등과 주고받은 한글로 쓴 친필 문안편지를 모은 총 68편의 서첩이다. 이 중에는 효종의 편지 9편・현종의 편지 2편・인선왕후의 편지 53편・명성왕후의 편지 1편・숙명공주의 편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사가였던 심익현 집안에 전해 내려오다가 김일근이 소장하던 것을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인수하였다. [1] 『숙명신한첩』은 1962년 故김일근 선생이 발견할 당시에 표지가 소실되고, 부분적으로 서첩 뒤편 하단부가 훼손되어 있었다. 『숙휘신한첩』과 대조하여 볼 때 앞뒤가 빠졌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수록된 편지는 모두 68편이나 서첩 뒤편에 빠진 부분이 있다면 먼저 발견된 『숙휘신한첩』의 내용으로 보아 '명성왕후 어셔'로 분류된 편지가 몇 편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숙명신한첩』의 서예사적 가치
조선시대에 쓰여진 한글 편지는 대부분 필사자와 편년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숙명신한첩』은 17세기 효종 대부터 현종 대까지 필사 시기가 분명하고 필적이 확실하다. 또한, 현전하는 왕후들의 언간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다. 이 편지들의 서체는 효종과 숙명공주의 정자체 2편, 반흘림체 1편, 흘림체 6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한글 궁체의 변천 시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궁체가 왕실에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한글서예사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3]
『숙명신한첩』의 사회 배경과 역사사료적 가치
『숙명신한첩』이 쓰인 시기는 학문과 사상을 매개로 한 일대의 정쟁의 시기였다. 17세기 율곡학파로 대표되는 서인과 퇴계학파로 대표되는 남인의 성리학 이념 논쟁이 성행하였다. 이
때 1차 예송논쟁이 일어났는데, 이 논쟁의 주인공인 효종·장렬왕후·인선왕후의 글씨가 『숙명신한첩』에 실려 있다. 특히 숙명공주의 어머니인 인선왕후의 편지가 많은데 내용은 일상생활의 안부이지만 궁중풍속이나 앞서 말한 정치사건 및 상황 등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지식 관계망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숙명신한첩 |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를 포함한다 | dcterms:hasPart |
숙명신한첩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를 포함한다 | dcterms:hasPart |
숙명신한첩 | 국립청주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edm:currentLocation |
김일근 | 숙명신한첩 | A는 B에게 있었다 | ekc:formerLocation |
숙명신한첩 | 명성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조선 현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조선 효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인선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장렬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공주 | 숙명신한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edm:isRelatedTo |
숙명공주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조선 현종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인선왕후 | 조선 효종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명성왕후 | 조선 현종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조선 인조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장렬왕후 | 조선 인조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6491666 | 127.5099996 | 국립청주박물관에 숙명신한첩이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쪽.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쪽.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쪽.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10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국립청주박물관,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 숙명신한첩』, 국립청주박물관, 2011.
-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역락, 2013.
- 논문
- 정복동, 「《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 《숙명신한첩》·《숙휘신한첩》을 중심으로」, 『서예학연구』23, 한국서예학회, 2013.
- 김연희, 「《숙휘공주신한첩》의 서체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유용한 정보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
『한국학자료센터』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순자, "조선 왕실의 한글편지", 『충청일보』, 작성일: 2011년 7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