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황자총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물품정보
 
{{물품정보
|사진=한글팀 별황자총통 01 메인.jpg
+
|사진=chongtong.png
|사진출처=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대표명칭=별황자총통
 
|대표명칭=별황자총통
 
|한자표기=別黃字銃筒
 
|한자표기=別黃字銃筒
13번째 줄: 13번째 줄: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화포식언해]]
 
}}
 
}}
<!--
+
 
{{물품유물
 
|대표명칭=별황자총통
 
|사진=한글팀 별황자총통 01 메인.jpg
 
|사진출처=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한자명칭=別黃字銃筒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사용시기=17-19세기
 
|제작시기=17-19세기
 
|제작자=
 
|소장자=
 
|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성격= 무기
 
|문화재지정번호=
 
|문화재지정일=
 
|관련인물=
 
|관련사건=
 
|기획기사=
 
|기획기사2=
 
|기획기사3=
 
|기획기사4=
 
|기획기사5=
 
|중심기사= 화포식언해
 
|중심기사2=
 
|중심기사3=
 
|중심기사4=
 
|중심기사5=
 
|중심기사6=
 
|중심기사7=
 
|중심기사8=
 
|중심기사9=
 
|중심기사10=
 
}}
 
</noinclude>
 
-->
 
 
=='''정의'''==
 
=='''정의'''==
 
조선 후기에 사용된 화포이다.
 
조선 후기에 사용된 화포이다.
 
=='''내용'''==
 
=='''내용'''==
조선 후기에 사용된 청동제 화포이다. 천, 지, 현, 황 가운데 [[황자총통]]에 해당되는 화포이나, 본래의 [[황자총통]]보다 그 규모가 크고 제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별황자총통]] 명칭이 붙여졌다. [[별황자총통]]이 기존 [[황자총통]]하고 다른점은 포이와 포미의 병부를 첨부함으로써 발사각도의 높낮이를 조정 할 있다는 것이다.
+
조선 후기에 사용된 청동제 화포이다. 천, 지, 현, 황 가운데 [[황자총통]]에 해당되는 청동제 화포이다. 본래의 [[황자총통]]보다 그 규모가 크고 제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별황자총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별황자총통]]이 기존 [[황자총통]]하고 다른 점은 총통의 중간 부위에 달려 있는 포이(砲耳)를 삼각다리 형태의 받침대와 결합시켜 배의 갑판 등에 고정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량은 상하좌우로 발사각도를 쉽게 조정할 있게 하고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다.
<ref>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64쪽</ref>
+
<ref>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64쪽.</ref>
  
총 길이는 89.2cm 이고 통신(筒身) 길이가 40.7cm, 약실 길이가 30.6cm, 명부 길이가 12.3cm, 포구 지름이 59cm 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년 [[별황자총통]]을 제조하여 올렸는데 중량이 204근(약 120kg)이고 화약은 4량(약 148g)이 들어간다.)'라는 간기가 붙어있다.  
+
총 길이는 89.2cm이고 통신(筒身) 길이가 40.7cm, 약실 길이가 30.6cm, 명부 길이가 12.3cm, 포구 지름이 59cm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년 별황자총통을 제조하여 올렸는데 중량이 204근(약 120kg)이고 화약은 4량(약 148g)이 들어간다]’라는 간기가 붙어있다.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화포식언해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42/A04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화포식언해]]||[[별황자총통]]||A는 B를 언급했다||
+
|[[화포식언해]]||[[별황자총통]]||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별황자총통]]||[[황자총통]]||A는 B와 관련이 있다||
+
|[[별황자총통]]||[[황자총통]]||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국립중앙박물관]]||[[별황자총통]]||A는 B를 소장한다||
+
|[[국립중앙박물관]]||[[별황자총통]]||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86번째 줄: 56번째 줄:
 
|37.524089||126.980492||[[별황자총통]]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7.524089||126.980492||[[별황자총통]]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파일:한글팀 별황자총통 01 메인.jpg| 별황자총통 메인 이미지
 
파일: 한글팀 별황자총통 02 포이 포미와 함께.jpg| 포이 포미와 별황자총통
 
</gallery>
 
  
 
=='''주석'''==
 
=='''주석'''==
98번째 줄: 61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인용 및 참조===
*참고문헌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분류:물품]]
[[분류:이창섭]]
 

2017년 11월 22일 (수) 23:32 기준 최신판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
Chongtong.png
대표명칭 별황자총통
한자표기 別黃字銃筒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관련유물유적 화포식언해



정의

조선 후기에 사용된 화포이다.

내용

조선 후기에 사용된 청동제 화포이다. 천, 지, 현, 황 가운데 황자총통에 해당되는 청동제 화포이다. 본래의 황자총통보다 그 규모가 크고 제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별황자총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별황자총통이 기존 황자총통하고 다른 점은 총통의 중간 부위에 달려 있는 포이(砲耳)를 삼각다리 형태의 받침대와 결합시켜 배의 갑판 등에 고정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량은 상하좌우로 발사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다. [1]

총 길이는 89.2cm이고 통신(筒身) 길이가 40.7cm, 약실 길이가 30.6cm, 명부 길이가 12.3cm, 포구 지름이 59cm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년 별황자총통을 제조하여 올렸는데 중량이 204근(약 120kg)이고 화약은 4량(약 148g)이 들어간다]’라는 간기가 붙어있다. [2]

지식 관계망

  • 화포식언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포식언해 별황자총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별황자총통 황자총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국립중앙박물관 별황자총통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19세기 별황자총통이 사용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4089 126.980492 별황자총통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석

  1.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64쪽.
  2. 이강칠, "별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 이강칠, "별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