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요) |
(→개몽편 내용) |
||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5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Gasajib | |로마자명칭= Gasajib | ||
|영문명칭= A compilation of prose | |영문명칭= A compilation of prose | ||
− | |작자= | + | |작자= 미상 |
|작성시기= | |작성시기= | ||
|간행시기= 19세기 | |간행시기= 19세기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수량= 1책 | |수량= 1책 | ||
|표기문자= 한글 | |표기문자= 한글 | ||
− | |필드수= | + | |필드수= 14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 조선 후기 교훈가사집인 [[초당문답가|'초당문답가']]를 위주로 다른 작품을 섞어 필사한 가사집이다. | ||
− | == | + | =='''내용'''== |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오륜편」, 「경신편」, 「치산편」, 「사군편」, 「부부편」, 「부인함」, 「총논장」, 「백발편」, 「개몽편」, 「우부편」, 「용부편」, 「낙지편」, 「가정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훈 가사 작품을 모아 체계를 갖추어 일종의 행실규범총람을 만들 의도로 편찬하였다. 훈계만 늘어놓은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생활의 실상을 흥미롭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의 편에서 마땅한 처신 방법을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백발편」에서는 서술자인 주인이 초당에서 졸다가 구걸하러 온 노인을 보고 삶을 헛되게 하지 않아야 한다고 깨닫는다. 「우부편」과 「용부편」에서는 그릇된 행실을 해서 생을 망친 사람들의 사례를 들어 교훈을 삼고 있다. | ||
+ | 노인 서술자가 작품을 이끌어 나가는데 작품의 문면에서 말하는 것을 살펴보면 상당한 학식과 교양을 갖춘 하층인물로 보인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51쪽.</REF> | ||
− | == | + | ===작품의 성격 및 구성=== |
− | + | 작자 미상의 조선 후기 가사집으로 1책이다. 18종의 이본이 있는데 이 중 일사본 [[초당문답|《초당문답(草堂問答)》]](규장각 소장)과 일석본《초당문답》(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이 가장 완비된 것이다. | |
+ | 『초당문답』(규장각, 일사본)은 「백발편(白髮篇)」․「역대편(歷代篇)」․「지기편(知己篇)」․「오륜편(五倫篇)」․「사군편(事君篇)」․「부부편(夫婦篇)」․「부인잠(婦人箴)」․「장유편(長幼篇)」․「총론장(摠論章)」․「개몽편(開夢篇)」․「우부편(愚夫篇)」․「용부편(傭婦篇)」․「경신편(敬身篇)」․「치산편(治産篇)」․「낙지편(樂志篇)」 등 총 15편의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4․4조이며 율조가 단조로와 구송(口誦)이 편하게 되어 있다. 전체가 유기적으로 짜여 있고, 백발노인과 초당주인(소년)의 대화로 되어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REF>권영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883&cid=41708&categoryId=44531 초당문답가]", 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백발편 등의 내용===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 | + | 주인(소년)이 초당에서 졸다가 백발거지를 만난다. 백발노인은 자신도 양반이었으나 청춘시절을 허랑하게 보내어 비참한 꼴이 되었다고 자탄한다. 초당주인은 「역대편」에서 중국과 우리의 역대 사적을 나열한 다음 입신양명의 포부를 말한다. 이어 백발노인은 「지기편」에서 공명은 부질없는 것이니 수신제가에 힘쓰라고 한 뒤 「오륜편」․「사군편」․「부부편」․「부인잠」․「장유편」․「총론장」에서 수신제가(修身齊家)의 방편을 조목조목 제시한다.<REF>권영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883&cid=41708&categoryId=44531 초당문답가]", 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개몽편 등의 내용=== | ||
+ | 「개몽편」에서는 노인의 말에 초당주인이 시속대로 살면 그만이라 항변하고 노인이 초당주인을 다시 설득하고 있다. 노인은 수신제가를 하지 못할 경우 일어나는 결과를 「우부편」․「용부편」을 통해 제시한다. 또「경신편」에서 수신(修身)에 삼가야 할 항목을, 「치산편」에서 제가(齊家)를 바탕으로 건전한 부의 축적을 각각 역설한다. 노인은 마지막으로 「낙지편」에서 자신의 뜻을 퉁소에 실어 노래하고 초당주인도 노인의 통소노래를 듣고 수긍하는 것으로 끝난다.<REF>권영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883&cid=41708&categoryId=44531 초당문답가]", 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2004. 2. 25.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가사집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30/A13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가사집]] || [[초당문답가]] || A은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초당문답가]] || [[초당문답 일석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가]] || [[초당문답 일사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가]] || [[경세설]]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가사집]]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초당문답 일석본]]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초당문답 일사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 | ||
+ | |- | ||
+ | | [[초당문답가]] || [[초당문답]]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 || [[초당문답가 일석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 || [[초당문답가 일사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 || [[경세설]]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가 일석본]] || [[초당문답가 일사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가 일석본]] || [[경세설]]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초당문답가 일사본]] || [[경세설]]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class="wikitable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19세기|| [[가사집]]이 간행되었다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37.39197||127.054387||[[가사집]]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 한글팀_가사집_02_오륜편.jpg| 가사집 오륜편 | ||
+ | 파일: 한글팀_가사집_03_용부편.jpg| 가사집 용부편 | ||
+ | </gallery>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저서 | ||
+ | ** 김동욱·임기중, 『악부(樂府)』, 태학사, 1982. | ||
+ | ** 김동욱·임기중, 『아악부가집(雅樂府歌集)』, 태학사, 1982. | ||
+ | |||
+ | ===유용한 정보=== | ||
+ | *송재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959 초당문답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2017년 12월 13일 (수) 00:34 기준 최신판
가사집 | |
한자명칭 | 歌辭集 |
---|---|
영문명칭 | A compilation of prose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9세기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D6B-110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4.6×16.7㎝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책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조선 후기 교훈가사집인 '초당문답가'를 위주로 다른 작품을 섞어 필사한 가사집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오륜편」, 「경신편」, 「치산편」, 「사군편」, 「부부편」, 「부인함」, 「총논장」, 「백발편」, 「개몽편」, 「우부편」, 「용부편」, 「낙지편」, 「가정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훈 가사 작품을 모아 체계를 갖추어 일종의 행실규범총람을 만들 의도로 편찬하였다. 훈계만 늘어놓은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생활의 실상을 흥미롭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의 편에서 마땅한 처신 방법을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백발편」에서는 서술자인 주인이 초당에서 졸다가 구걸하러 온 노인을 보고 삶을 헛되게 하지 않아야 한다고 깨닫는다. 「우부편」과 「용부편」에서는 그릇된 행실을 해서 생을 망친 사람들의 사례를 들어 교훈을 삼고 있다. 노인 서술자가 작품을 이끌어 나가는데 작품의 문면에서 말하는 것을 살펴보면 상당한 학식과 교양을 갖춘 하층인물로 보인다. [1]
작품의 성격 및 구성
작자 미상의 조선 후기 가사집으로 1책이다. 18종의 이본이 있는데 이 중 일사본 《초당문답(草堂問答)》(규장각 소장)과 일석본《초당문답》(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이 가장 완비된 것이다.
『초당문답』(규장각, 일사본)은 「백발편(白髮篇)」․「역대편(歷代篇)」․「지기편(知己篇)」․「오륜편(五倫篇)」․「사군편(事君篇)」․「부부편(夫婦篇)」․「부인잠(婦人箴)」․「장유편(長幼篇)」․「총론장(摠論章)」․「개몽편(開夢篇)」․「우부편(愚夫篇)」․「용부편(傭婦篇)」․「경신편(敬身篇)」․「치산편(治産篇)」․「낙지편(樂志篇)」 등 총 15편의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4․4조이며 율조가 단조로와 구송(口誦)이 편하게 되어 있다. 전체가 유기적으로 짜여 있고, 백발노인과 초당주인(소년)의 대화로 되어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2]
백발편 등의 내용
주인(소년)이 초당에서 졸다가 백발거지를 만난다. 백발노인은 자신도 양반이었으나 청춘시절을 허랑하게 보내어 비참한 꼴이 되었다고 자탄한다. 초당주인은 「역대편」에서 중국과 우리의 역대 사적을 나열한 다음 입신양명의 포부를 말한다. 이어 백발노인은 「지기편」에서 공명은 부질없는 것이니 수신제가에 힘쓰라고 한 뒤 「오륜편」․「사군편」․「부부편」․「부인잠」․「장유편」․「총론장」에서 수신제가(修身齊家)의 방편을 조목조목 제시한다.[3]
개몽편 등의 내용
「개몽편」에서는 노인의 말에 초당주인이 시속대로 살면 그만이라 항변하고 노인이 초당주인을 다시 설득하고 있다. 노인은 수신제가를 하지 못할 경우 일어나는 결과를 「우부편」․「용부편」을 통해 제시한다. 또「경신편」에서 수신(修身)에 삼가야 할 항목을, 「치산편」에서 제가(齊家)를 바탕으로 건전한 부의 축적을 각각 역설한다. 노인은 마지막으로 「낙지편」에서 자신의 뜻을 퉁소에 실어 노래하고 초당주인도 노인의 통소노래를 듣고 수긍하는 것으로 끝난다.[4]
지식 관계망
- 가사집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가사집 | 초당문답가 | A은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초당문답가 | 초당문답 일석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초당문답가 | 초당문답 일사본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초당문답가 | 경세설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가사집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초당문답 일석본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초당문답 일사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세기 | 가사집이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가사집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51쪽.
- ↑ 권영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온라인 참조: "초당문답가",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권영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온라인 참조: "초당문답가",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권영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온라인 참조: "초당문답가",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저서
- 김동욱·임기중, 『악부(樂府)』, 태학사, 1982.
- 김동욱·임기중, 『아악부가집(雅樂府歌集)』, 태학사, 1982.
유용한 정보
- 송재주, 초당문답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