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주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전체 높이 334㎝, 비몸 높이 200㎝, 너비 108㎝, 두께 21㎝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있다. [[귀부|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이수(螭首)]]가 모두 갖추어진 비이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전체 높이 334㎝, 비몸 높이 200㎝, 너비 108㎝, 두께 21㎝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있다. [[귀부|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이수(螭首)]]가 모두 갖추어진 비이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귀부]]의 머리는 용두화되었고 목이 짧으며, 입에는 여의주 없이 위 아래로 이빨을 맞대고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앞발과 뒷발의 발톱이 다섯 개씩 있으며, 거북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이 매우 두껍게 조각되어 있다. 비신 위에 놓인 [[이수]]에는 섬세하게 조각된 구름 위로 중간과 양 모서리에 뒤엉킨 두 마리의 용을 새겨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520000,36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비의 앞면 상단에 ‘月出山道岬寺王師妙覺和尙碑銘(월출산도갑사왕사묘각화상비명)’을 [[전서|전서(篆書)]]로 썼고, 비문은 19행의 [[해서|해서체]]이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의 앞면 상단에 ‘月出山道岬寺王師妙覺和尙碑銘(월출산도갑사왕사묘각화상비명)’을 [[전서|전서(篆書)]]로 썼고, 비문은 19행의 [[해서|해서체]]이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비문3= | |비문3= | ||
}} | }} |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묘각화상 수미의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su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56번째 줄: | 63번째 줄: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5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가상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12월 21일 (목) 14:27 기준 최신판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靈巖 道岬寺 守眉王師碑) |
|
대표명칭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
한자 | 靈巖 道岬寺 守眉王師碑 |
이칭 | 도갑사묘각화상비(道岬寺妙覺和尙碑) |
주소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52호 |
문화재 지정일 | 1987년 06월 01일 |
찬자 | 성총(性聰) |
서자 | 성총(性聰)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수미(守眉) |
건립연대 | 1633년 |
|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道岬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려 묘각화상 수미(妙覺和尙 守眉)의 탑비.
내용
개요
도갑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영암 출신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1]
전체 높이 334㎝, 비몸 높이 200㎝, 너비 108㎝, 두께 21㎝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있다. 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螭首)가 모두 갖추어진 비이다.[2]
귀부의 머리는 용두화되었고 목이 짧으며, 입에는 여의주 없이 위 아래로 이빨을 맞대고 있다.[3] 앞발과 뒷발의 발톱이 다섯 개씩 있으며, 거북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이 매우 두껍게 조각되어 있다. 비신 위에 놓인 이수에는 섬세하게 조각된 구름 위로 중간과 양 모서리에 뒤엉킨 두 마리의 용을 새겨놓았다.[4]
비의 앞면 상단에 ‘月出山道岬寺王師妙覺和尙碑銘(월출산도갑사왕사묘각화상비명)’을 전서(篆書)로 썼고, 비문은 19행의 해서체이다.[5]
비문의 끝에 ‘崇禎己巳二月日始癸酉六月日立(숭정기사2월일시계유6월일립)’이라 하여 이 비가 1629년(인조 7) 2월에 시작하여 4년 후인 1633년(인조 11) 6월에 세워졌음을 밝히고 있다. 비문은 백암 성총(栢庵 性聰)이 짓고 썼다. 비신 뒷면에는 비 건립에 참여하였던 지방인사와 승려 등의 시주자들이 새겨져 있다.[6]
비문
비문 보러가기 |
• "도갑사묘각화상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묘각화상 수미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성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성총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 ↑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도갑사묘각화상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