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행 및 활동)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이엄과 더불어 [[양평 보리사|지평 보리사(菩提寺)]]의 [[여엄|여엄(麗嚴, 862-930)]], [[개성 오룡사|장단 오룡사(五龍寺)]]의 [[경유|경유(慶猷, 871-921)]], [[강진 무위사|강진 무위사(無爲寺)]]의 [[형미|형미(逈微, 864-917)]] 등은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스승으로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해안 세력 출신으로서 [[고려 태조|태조]]와 유대감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종교적, 정치적인 이상을 펴기 위하여 [[고려 태조|태조]]를 선택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3쪽.</ref> | 이엄과 더불어 [[양평 보리사|지평 보리사(菩提寺)]]의 [[여엄|여엄(麗嚴, 862-930)]], [[개성 오룡사|장단 오룡사(五龍寺)]]의 [[경유|경유(慶猷, 871-921)]], [[강진 무위사|강진 무위사(無爲寺)]]의 [[형미|형미(逈微, 864-917)]] 등은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스승으로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해안 세력 출신으로서 [[고려 태조|태조]]와 유대감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종교적, 정치적인 이상을 펴기 위하여 [[고려 태조|태조]]를 선택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3쪽.</ref> |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대경대사 여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3/monk_yeoeom.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73번째 줄: | 78번째 줄: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870년 || [[이엄]]이 태어남 | ||
+ | |- | ||
+ | | 886년 || [[이엄]]이 [[구족계]]를 받음. | ||
+ | |- | ||
+ | | 896년 || [[이엄]]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
+ | |- | ||
+ | | 911년 || [[이엄]]이 귀국함. | ||
+ | |- | ||
+ | | 932년 || [[고려 태조]]가 [[해주 광조사]]를 창건하고 [[이엄]]이 [[수미산문]]을 개창함. | ||
+ | |- | ||
+ | | 936년 || [[이엄]]이 [[개성 오룡사]]에서 입적함. | ||
+ | |- | ||
+ | | 937년 || [[이엄]]의 탑비인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가 [[해주 광조사]]에 건립됨. | ||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11월 24일 (금) 16:47 기준 최신판
이엄(利嚴) | |
대표명칭 | 이엄 |
---|---|
영문명칭 | Ieom |
한자 | 利嚴 |
생몰년 | 870(경문왕 11)-936(태조 19) |
시호 | 진철(眞澈) |
탑호 | 보월승공(寶月乘空) |
성씨 | 김씨(金氏) |
출신지 | 소태(蘇泰: 지금의 서산군 태안) |
승탑비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은 870년(경문왕 11) 지금의 서산군 태안 지역인 소태(蘇泰)에서 태어났다.[1] 이엄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그의 선조는 왕족이었으나 집안이 몰락하여 충남 공주로 내려왔다고 전해진다.[2]
수행 및 활동
12세에 가야갑사(迦耶岬寺)에 출가하고, 17세가 되던 해인 886년(정강왕 1)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896년(진성여왕 10)에 당(唐)에 가서 동산 양개(洞山 良价)의 제자인 운거 도응(雲居道膺, ?-902)의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11년(효공왕 15)에 귀국하였다.[3]
이엄은 김해의 호족인 김율희(金律熙)의 도움으로 승광산(勝光山)에 자리를 잡고 4년 동안 그곳에 머무르다가, 영동군 남쪽 영각산(靈覺山)으로 옮겼다. 이엄이 명성을 크게 떨치자 고려 태조는 이엄을 개경으로 초청하여 사나내원(舍那內院)에 맞아들이고 궁중으로 청하여 사자(師資:스승의 덕)의 예로 대우하였다.[4]
932년(태조 15) 태조는 해주(海州)의 수미산에 광조사(廣照寺)를 짓고 머무르게 하였다. 이엄은 이곳에서 선풍을 일으켜 수많은 문도를 지도하여 수미산파(須彌山派)를 형성하였다.[5]
입적
936년(태조 19) 이엄은 세상 인연이 다함을 알고 태조에게 이별하려고 개성에 들어왔다가 오룡사(五龍寺)에 이르러 입적하였다.[6] 시호는 진철(眞澈), 탑호는 보월승공(寶月乘空)이다. 이엄을 기리는 진철대사탑비(眞徹大師塔碑)는 937년 황해도 해주군에 있던 광조사에 세워졌다.[7]
고려 태조의 스승
이엄과 더불어 지평 보리사(菩提寺)의 여엄(麗嚴, 862-930), 장단 오룡사(五龍寺)의 경유(慶猷, 871-921), 강진 무위사(無爲寺)의 형미(逈微, 864-917) 등은 태조 왕건의 스승으로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해안 세력 출신으로서 태조와 유대감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종교적, 정치적인 이상을 펴기 위하여 태조를 선택하였다.[8]
지식 관계망
- 대경대사 여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이엄 | 재령 묘음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엄 | 해주 광조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해주 광조사 | 고려 태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수미산문 | 해주 광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kc:founder B |
수미산문 | 이엄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사무외대사 | 이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도응 | 이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소율희 | 이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70년 | 이엄이 태어남 |
886년 | 이엄이 구족계를 받음. |
896년 | 이엄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911년 | 이엄이 귀국함. |
932년 | 고려 태조가 해주 광조사를 창건하고 이엄이 수미산문을 개창함. |
936년 | 이엄이 개성 오룡사에서 입적함. |
937년 | 이엄의 탑비인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가 해주 광조사에 건립됨. |
주석
- ↑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70쪽.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이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엄",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3쪽.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67-284쪽.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이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엄",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