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이엄 |영문명칭=Ieom |한자=利嚴 |생년=870(경문왕 11) |몰년=936(태조 19) |시호=진철(眞澈) |호= |휘= |법...)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8번째 줄: 28번째 줄:
 
=='''내용'''==
 
=='''내용'''==
 
===가계와 탄생===
 
===가계와 탄생===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870년([[신라 경문왕|경문왕]] 11) 지금의 서산군 태안 지역인 소태(蘇泰)에서 태어났다.<ref>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엄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그의 선조는 왕족이었으나 집안이 몰락하여 충남 공주로 내려왔다고 전해진다.<ref>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70쪽.</ref>
+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870년([[신라 경문왕|경문왕]] 11) 지금의 서산군 태안 지역인 소태(蘇泰)에서 태어났다.<ref>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엄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그의 선조는 왕족이었으나 집안이 몰락하여 충남 공주로 내려왔다고 전해진다.<ref>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70쪽.</ref>
  
===출가수행===
+
===수행 및 활동===
12세에 가야갑사(迦耶岬寺)에서 출가하여 덕량(德良)을 스승으로 득도하고, 삼장(三藏)을 두루 탐구하였으며, 886년(정강왕 1) 도견율사(道堅律師)에게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 민백
+
12세에 가야갑사(迦耶岬寺)에 출가하고, 17세가 되던 해인 886년([[신라 정강왕|정강왕]] 1)에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896년([[신라 진성여왕|진성여왕]] 10)에 당(唐)에 가서 [[양개|동산 양개(洞山 良价)]]의 제자인 [[도응|운거 도응(雲居道膺, ?-902)]]의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11년([[신라 효공왕|효공왕]] 15)에 귀국하였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3641&cid=50763&categoryId=50784 이엄]",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구법유학===
+
이엄은 김해의 호족인 [[소율희|김율희(金律熙)]]의 도움으로 승광산(勝光山)에 자리를 잡고 4년 동안 그곳에 머무르다가, 영동군 남쪽 영각산(靈覺山)으로 옮겼다. 이엄이 명성을 크게 떨치자 [[고려 태조]]는 이엄을 개경으로 초청하여 사나내원(舍那內院)에 맞아들이고 궁중으로 청하여 사자(師資:스승의 덕)의 예로 대우하였다.<ref>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896년(진성여왕 10) 입절사(入浙使) 최예희(崔藝熙)를 만나 서해항로로 중국에 갔다. 조동종(曹洞宗)의 개조인 양개(良价)의 제자 도응(道膺)의 선문(禪門)에서 수도한 지 6년 만에 도응의 인가를 받았다. 그 뒤 중국 여러 곳을 널리 찾아다니면서 고승들을 만나 보고 911년(효공왕 15) 귀국하였다. - 민백
 
  
===귀국 및 활동===
+
932년([[고려 태조|태조]] 15) [[고려 태조|태조]]는 해주(海州)의 수미산에 [[해주 광주사|광조사(廣照寺)]]를 짓고 머무르게 하였다. 이엄은 이곳에서 선풍을 일으켜 수많은 문도를 지도하여 [[수미산파|수미산파(須彌山派)]]를 형성하였다.<ref>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김해부지군 부사(金海府知軍府事) 소율희(蘇律熙)가 승광산(勝光山)에 당우를 짓고 청하였으므로 4년 동안 그곳에 머무르다가, 영동군 남쪽 영각산(靈覺山)으로 옮겼다. 그때 소문을 들은 승속(僧俗)들이 찾아와서 귀의하는 자가 매우 많았다.
 
명성을 크게 떨치자 고려 태조는 시중(侍中)을 지낸 권열(權說)과 태상(太相) 박수문(朴守文)을 보내어 개경으로 초청하여 사나내원(舍那內院)에 맞아들이고 궁중으로 청하여 사자(師資)의 예로 대우하였다.
 
  
===수미산파의 성립===
+
===입적===
신라 말에서 시작하여 고려 초에 형성된 선종구산 가운데 가장 늦게 성립된 수미산파의 개산조이다.  
+
936년([[고려 태조|태조]] 19) 이엄은 세상 인연이 다함을 알고 [[고려 태조|태조]]에게 이별하려고 개성에 들어왔다가 [[개성 오룡사|오룡사(五龍寺)]]에 이르러 입적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4159&cid=43671&categoryId=43671 이엄]",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시호는 진철(眞澈), 탑호는 보월승공(寶月乘空)이다. 이엄을 기리는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진철대사탑비(眞徹大師塔碑)]]는 937년 황해도 해주군에 있던 [[해주 광주사|광조사]]에 세워졌다.<ref>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932년(태조 15) 태조는 해주(海州)의 수미산에 광조사(廣照寺)를 짓고 머무르게 하였다. 이곳에서 선풍을 일으켜 수많은 문도를 지도하여 수미산파를 형성하였다. - 민백
 
  
 
===고려 태조의 스승===
 
===고려 태조의 스승===
또한, 성주산파(聖住山派)의 여엄(麗嚴), 사자산파(獅子山派)의 경유(慶猷), 가지산파(迦智山派)의 형미(逈微)와 더불어 고려태조의 스승이었고, 해동사무외대사(海東四無畏大師)의 1인으로 알려졌다.
+
이엄과 더불어 [[양평 보리사|지평 보리사(菩提寺)]][[여엄|여엄(麗嚴, 862-930)]], [[개성 오룡사|장단 오룡사(五龍寺)]][[경유|경유(慶猷, 871-921)]], [[강진 무위사|강진 무위사(無爲寺)]][[형미|형미(逈微, 864-917)]] 등은 [[고려 태조|태조 왕건]]스승으로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해안 세력 출신으로서 [[고려 태조|태조]]와 유대감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종교적, 정치적인 이상을 펴기 위하여 [[고려 태조|태조]]선택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조계종출판사, 2015, 93쪽.</ref>
 
 
===입적===
 
936년에 자신의 세상 인연이 얼마남지 않았음을 예견하고 제자들을 불러 부처의 엄계(嚴誡)를 지키며 정진할 것을 당부한 뒤 법당에서 입적하였다. 승랍(僧臘) 48세였다. - 민백
 
시호는 진철(眞澈), 탑호는 보월승공(寶月乘空)이다. 탑비는 937년 황해도 해주군에 있던 당시의 광조사에 세워졌다.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대경대사 여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3/monk_yeoeom.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81번째 줄: 78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간정보===
===갤러리===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영상===
+
|-
 +
| 870년 || [[이엄]]이 태어남
 +
|-
 +
| 886년 || [[이엄]]이 [[구족계]]를 받음.
 +
|-
 +
| 896년 || [[이엄]]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
 +
| 911년 || [[이엄]]이 귀국함.
 +
|-
 +
| 932년 || [[고려 태조]]가 [[해주 광조사]]를 창건하고 [[이엄]]이 [[수미산문]]을 개창함.
 +
|-
 +
| 936년 || [[이엄]]이 [[개성 오룡사]]에서 입적함.
 +
|-
 +
| 937년 || [[이엄]]의 탑비인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가 [[해주 광조사]]에 건립됨.
 +
|}
  
 
=='''주석'''==
 
=='''주석'''==
93번째 줄: 104번째 줄:
 
*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선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135 이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67-284쪽.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67-284쪽.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3641&cid=50763&categoryId=50784 이엄]",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4159&cid=43671&categoryId=43671 이엄]",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5126&cid=40942&categoryId=33380 이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려]]
 
[[분류:승려]]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16:47 기준 최신판

이엄(利嚴)
BHST Monk1.png
대표명칭 이엄
영문명칭 Ieom
한자 利嚴
생몰년 870(경문왕 11)-936(태조 19)
시호 진철(眞澈)
탑호 보월승공(寶月乘空)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소태(蘇泰: 지금의 서산군 태안)
승탑비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은 870년(경문왕 11) 지금의 서산군 태안 지역인 소태(蘇泰)에서 태어났다.[1] 이엄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그의 선조는 왕족이었으나 집안이 몰락하여 충남 공주로 내려왔다고 전해진다.[2]

수행 및 활동

12세에 가야갑사(迦耶岬寺)에 출가하고, 17세가 되던 해인 886년(정강왕 1)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896년(진성여왕 10)에 당(唐)에 가서 동산 양개(洞山 良价)의 제자인 운거 도응(雲居道膺, ?-902)의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11년(효공왕 15)에 귀국하였다.[3]

이엄은 김해의 호족인 김율희(金律熙)의 도움으로 승광산(勝光山)에 자리를 잡고 4년 동안 그곳에 머무르다가, 영동군 남쪽 영각산(靈覺山)으로 옮겼다. 이엄이 명성을 크게 떨치자 고려 태조는 이엄을 개경으로 초청하여 사나내원(舍那內院)에 맞아들이고 궁중으로 청하여 사자(師資:스승의 덕)의 예로 대우하였다.[4]

932년(태조 15) 태조는 해주(海州)의 수미산에 광조사(廣照寺)를 짓고 머무르게 하였다. 이엄은 이곳에서 선풍을 일으켜 수많은 문도를 지도하여 수미산파(須彌山派)를 형성하였다.[5]

입적

936년(태조 19) 이엄은 세상 인연이 다함을 알고 태조에게 이별하려고 개성에 들어왔다가 오룡사(五龍寺)에 이르러 입적하였다.[6] 시호는 진철(眞澈), 탑호는 보월승공(寶月乘空)이다. 이엄을 기리는 진철대사탑비(眞徹大師塔碑)는 937년 황해도 해주군에 있던 광조사에 세워졌다.[7]

고려 태조의 스승

이엄과 더불어 지평 보리사(菩提寺)여엄(麗嚴, 862-930), 장단 오룡사(五龍寺)경유(慶猷, 871-921), 강진 무위사(無爲寺)형미(逈微, 864-917) 등은 태조 왕건의 스승으로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해안 세력 출신으로서 태조와 유대감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종교적, 정치적인 이상을 펴기 위하여 태조를 선택하였다.[8]

지식 관계망

  • 대경대사 여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이엄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이환추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이엄 재령 묘음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엄 해주 광조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해주 광조사 고려 태조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수미산문 해주 광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kc:founder B
수미산문 이엄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사무외대사 이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도응 이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소율희 이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70년 이엄이 태어남
886년 이엄구족계를 받음.
896년 이엄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911년 이엄이 귀국함.
932년 고려 태조해주 광조사를 창건하고 이엄수미산문을 개창함.
936년 이엄개성 오룡사에서 입적함.
937년 이엄의 탑비인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해주 광조사에 건립됨.

주석

  1.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70쪽.
  3.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이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엄",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3쪽.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박선영, "이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67-284쪽.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이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엄",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