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화상어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항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이칭= | |이칭= | ||
|유형= | |유형= | ||
− | |저자=[[보우|보우(普愚)]] | + | |저자=[[보우(고려)|보우(普愚)]] |
|역자= | |역자= | ||
|편자= [[설서|설서(雪栖)]] | |편자= [[설서|설서(雪栖)]]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고려 말기의 승려 [[보우|태고 보우(太古普愚, 1301-1382)]]의 법어록(法語錄). | + | 고려 말기의 승려 [[보우(고려)|태고 보우(太古普愚, 1301-1382)]]의 법어록(法語錄). |
=='''내용'''== | =='''내용'''== | ||
===구성=== | ===구성=== | ||
− | 2권 1책. 목판본. 제자 [[설서|설서(雪栖)]]가 편집하였다. 권상은 상당법어(上堂法語) 9편, 시중(示衆) 1편, 일반법어(一般法語) 22편, 저자의 역작인 가음명(歌吟銘) 6편, 권하는 가송(歌頌) 109편, 찬문(讚文) 12편, ≪백장청규 白丈淸規≫ 간행에 대한 발문(跋文) 1편, ≪치문경훈 緇門警訓≫을 중간(重刊)하는 서문(序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 + | 2권 1책. 목판본. 제자 [[설서|설서(雪栖)]]가 편집하였다. 권상은 상당법어(上堂法語) 9편, 시중(示衆) 1편, 일반법어(一般法語) 22편, 저자의 역작인 가음명(歌吟銘) 6편, 권하는 가송(歌頌) 109편, 찬문(讚文) 12편, ≪백장청규 白丈淸規≫ 간행에 대한 발문(跋文) 1편, ≪치문경훈 緇門警訓≫을 중간(重刊)하는 서문(序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81 태고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가음명은 <[[태고암가|태고암가 太古庵歌]]>·<잡화삼매가 雜華三昧歌>·<산중자락가 山中自樂歌>·<운산음 雲山吟>·<참선명 參禪銘> 등이다. 이 중 <태고암가>는 저자가 41세 되던 1341년(충혜왕 복위 2) [[고양 중흥사|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 [[고양 태고사|태고암]]을 짓고 5년을 안거(安居)하면서 그 본연(本然)의 소식(깨달음의 경지)을 노래로 읊은 것이다. | + | 가음명은 <[[태고암가|태고암가 太古庵歌]]>·<잡화삼매가 雜華三昧歌>·<산중자락가 山中自樂歌>·<운산음 雲山吟>·<참선명 參禪銘> 등이다. 이 중 <태고암가>는 저자가 41세 되던 1341년(충혜왕 복위 2) [[고양 중흥사|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 [[고양 태고사|태고암]]을 짓고 5년을 안거(安居)하면서 그 본연(本然)의 소식(깨달음의 경지)을 노래로 읊은 것이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81 태고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참선의 방법으로는 [[간화선|간화선(看話禪)]]에 의거하고 있고, 간화의 방법은 만법귀일(萬法歸一)로 큰 망상을 떨쳐버린 후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화두를 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불성 화두를 드는 때인 간화경계(看話境界)중에는 스승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 참선의 방법으로는 [[간화선|간화선(看話禪)]]에 의거하고 있고, 간화의 방법은 만법귀일(萬法歸一)로 큰 망상을 떨쳐버린 후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화두를 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불성 화두를 드는 때인 간화경계(看話境界)중에는 스승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 ||
또한, 구자무불성 화두는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삼세제불(三世諸佛)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저자는 다른 선가의 스승들과는 달리 특별히 염불에 관한 본의(本意)를 제시하고 수행방법 중 필수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 또한, 구자무불성 화두는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삼세제불(三世諸佛)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저자는 다른 선가의 스승들과는 달리 특별히 염불에 관한 본의(本意)를 제시하고 수행방법 중 필수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 ||
− | 마음 밖에 부처가 없고 부처 밖에 마음이 없으며, 마음과 부처와 중생의 세가지가 본래 차별이 없는 것이므로, 진심으로 염불하면 자성미타(自性彌陀)가 될 수 있고, 항상 아미타불을 염하여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결국 화두를 깨치는 것과 다름이 없는 대오(大悟)의 경지에 이른다고 하였다. 즉 염불을 방편적 화두로 본 것이다. | + | 마음 밖에 부처가 없고 부처 밖에 마음이 없으며, 마음과 부처와 중생의 세가지가 본래 차별이 없는 것이므로, 진심으로 염불하면 자성미타(自性彌陀)가 될 수 있고, 항상 아미타불을 염하여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결국 화두를 깨치는 것과 다름이 없는 대오(大悟)의 경지에 이른다고 하였다. 즉 염불을 방편적 화두로 본 것이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81 태고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평가=== | ===평가=== | ||
− | 이 책은 [[정몽주|정몽주(鄭夢周)]] 등으로부터 차원 높은 사상이 담긴 문헌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상적 연원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고간본(古刊本) 및 소장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판으로는 이종욱(李鐘郁)이 1940년 월정사(月精寺)에서 간행한 ≪태고집 太古集≫과 ≪한글대장경≫ 제153 등에 수록되어 있다. | + | 이 책은 [[정몽주|정몽주(鄭夢周)]] 등으로부터 차원 높은 사상이 담긴 문헌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상적 연원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고간본(古刊本) 및 소장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판으로는 이종욱(李鐘郁)이 1940년 월정사(月精寺)에서 간행한 ≪태고집 太古集≫과 ≪한글대장경≫ 제153 등에 수록되어 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81 태고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지식 관계망'''== | ||
+ |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1/monk_bou.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태고화상어록]]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태고화상어록]] || [[태고암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태고화상어록]] || [[설서]]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보우(고려)]] || [[고양 태고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태고화상어록]] || [[간화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태고화상어록]] || [[정몽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70번째 줄: | 74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81 태고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2364&cid=40942&categoryId=32892 태고화상어록],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2017년 11월 24일 (금) 19:02 기준 최신판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 |
대표명칭 | 태고화상어록 |
---|---|
한자표기 | 太古和尙語錄 |
저자 | 보우(普愚) |
편자 | 설서(雪栖) |
시대 | 고려 |
수량 | 2권 1책 |
소장처 | 동국대학교 도서관 |
정의
고려 말기의 승려 태고 보우(太古普愚, 1301-1382)의 법어록(法語錄).
내용
구성
2권 1책. 목판본. 제자 설서(雪栖)가 편집하였다. 권상은 상당법어(上堂法語) 9편, 시중(示衆) 1편, 일반법어(一般法語) 22편, 저자의 역작인 가음명(歌吟銘) 6편, 권하는 가송(歌頌) 109편, 찬문(讚文) 12편, ≪백장청규 白丈淸規≫ 간행에 대한 발문(跋文) 1편, ≪치문경훈 緇門警訓≫을 중간(重刊)하는 서문(序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1]
가음명은 <태고암가 太古庵歌>·<잡화삼매가 雜華三昧歌>·<산중자락가 山中自樂歌>·<운산음 雲山吟>·<참선명 參禪銘> 등이다. 이 중 <태고암가>는 저자가 41세 되던 1341년(충혜왕 복위 2)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 태고암을 짓고 5년을 안거(安居)하면서 그 본연(本然)의 소식(깨달음의 경지)을 노래로 읊은 것이다.[2]
내용
참선의 방법으로는 간화선(看話禪)에 의거하고 있고, 간화의 방법은 만법귀일(萬法歸一)로 큰 망상을 떨쳐버린 후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화두를 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불성 화두를 드는 때인 간화경계(看話境界)중에는 스승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구자무불성 화두는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삼세제불(三世諸佛)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저자는 다른 선가의 스승들과는 달리 특별히 염불에 관한 본의(本意)를 제시하고 수행방법 중 필수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마음 밖에 부처가 없고 부처 밖에 마음이 없으며, 마음과 부처와 중생의 세가지가 본래 차별이 없는 것이므로, 진심으로 염불하면 자성미타(自性彌陀)가 될 수 있고, 항상 아미타불을 염하여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결국 화두를 깨치는 것과 다름이 없는 대오(大悟)의 경지에 이른다고 하였다. 즉 염불을 방편적 화두로 본 것이다.[3]
평가
이 책은 정몽주(鄭夢周) 등으로부터 차원 높은 사상이 담긴 문헌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상적 연원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고간본(古刊本) 및 소장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판으로는 이종욱(李鐘郁)이 1940년 월정사(月精寺)에서 간행한 ≪태고집 太古集≫과 ≪한글대장경≫ 제153 등에 수록되어 있다.[4]
지식 관계망
-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태고화상어록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태고화상어록 | 태고암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태고화상어록 | 설서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보우(고려) | 고양 태고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태고화상어록 | 간화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태고화상어록 | 정몽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김위석, "태고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태고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태고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태고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