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관음보살 | + | [[관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사찰 당우. |
=='''내용'''== | =='''내용'''== | ||
관음전이 그 사찰의 주불전일 경우에는 원통전(圓通殿), 또는 원통보전(圓通寶殿)이라고 한다. 관음보살이 '주원융통(周圓融通)하게 중생의 고뇌를 씻어주시는 분'이라고 하기 때문이다.<ref>무구 김정희, "[http://jgs.or.kr/xe/baeoom/88593 관음전]", 사찰의 이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계사 청년회』<sup>online</sup></online></html>, 조계사.</ref> | 관음전이 그 사찰의 주불전일 경우에는 원통전(圓通殿), 또는 원통보전(圓通寶殿)이라고 한다. 관음보살이 '주원융통(周圓融通)하게 중생의 고뇌를 씻어주시는 분'이라고 하기 때문이다.<ref>무구 김정희, "[http://jgs.or.kr/xe/baeoom/88593 관음전]", 사찰의 이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계사 청년회』<sup>online</sup></online></html>, 조계사.</ref> | ||
− | 우리나라에서 보살을 모신 당우로 관음전이 많이 세워진 까닭은, [[관음보살 | + | 우리나라에서 보살을 모신 당우로 관음전이 많이 세워진 까닭은, [[관음보살]]이 모든 환란을 구제하는 보살일 뿐 아니라 그의 서원이 철두철미하게 중생의 안락과 이익에 있고, 불가사의한 인연과 신력(神力)으로 중생을 돕기 때문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4978 관음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관음보살]]은 대개 왼손에는 봉오리 상태의 연꽃을, 오른손에는 감로병을 들고 연화좌에 앉아 있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의미하며, 봉오리 상태로 표현한 것은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활짝 피어나리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 + | [[관음보살]]은 대개 왼손에는 봉오리 상태의 연꽃을, 오른손에는 감로병을 들고 연화좌에 앉아 있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의미하며, 봉오리 상태로 표현한 것은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활짝 피어나리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 꽃이 활짝 피면 성불하였음을 뜻한다. 그리고 감로병은 불사를 뜻한다. [[관음보살]]의 보관을 자세히 보면 부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아미타불]]이다. [[아미타불]]은 [[관음보살]]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ref>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불교』, 문예마당, 2000.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83105&cid=42962&categoryId=44336 관음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관음보살]]의 협시(脇侍)가 되고 있는 남순동자(南詢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은 조각상으로 봉안하기가 어려우므로 | + | [[관음보살]]의 협시(脇侍)가 되고 있는 남순동자(南詢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은 조각상으로 봉안하기가 어려우므로 거의 후불탱화에만 나타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4978 관음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46번째 줄: | 44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개념]] | [[분류:개념]] | ||
− |
2024년 4월 12일 (금) 00:06 기준 최신판
관음전 (觀音殿) |
|
대표명칭 | 관음전 |
---|---|
한자표기 | 觀音殿 |
이칭 | 원통전(圓通殿) |
관련개념 | 관음보살 |
정의
관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사찰 당우.
내용
관음전이 그 사찰의 주불전일 경우에는 원통전(圓通殿), 또는 원통보전(圓通寶殿)이라고 한다. 관음보살이 '주원융통(周圓融通)하게 중생의 고뇌를 씻어주시는 분'이라고 하기 때문이다.[1]
우리나라에서 보살을 모신 당우로 관음전이 많이 세워진 까닭은, 관음보살이 모든 환란을 구제하는 보살일 뿐 아니라 그의 서원이 철두철미하게 중생의 안락과 이익에 있고, 불가사의한 인연과 신력(神力)으로 중생을 돕기 때문이다.[2]
관음보살은 대개 왼손에는 봉오리 상태의 연꽃을, 오른손에는 감로병을 들고 연화좌에 앉아 있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의미하며, 봉오리 상태로 표현한 것은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활짝 피어나리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 꽃이 활짝 피면 성불하였음을 뜻한다. 그리고 감로병은 불사를 뜻한다. 관음보살의 보관을 자세히 보면 부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아미타불이다. 아미타불은 관음보살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3]
관음보살의 협시(脇侍)가 되고 있는 남순동자(南詢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은 조각상으로 봉안하기가 어려우므로 거의 후불탱화에만 나타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관음전 | 관음보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관음전 | 아미타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무구 김정희, "관음전", 사찰의 이해,
『조계사 청년회』online , 조계사. - ↑ "관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불교』, 문예마당, 2000. 온라인참조:"관음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관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무구 김정희, "관음전", 사찰의 이해,
『조계사 청년회』online , 조계사. - "관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불교』, 문예마당, 2000. 온라인참조:"관음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