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개념정보
| + | *[[척사론(개념)]] : 조선 후기에 가톨릭교를 사교(邪敎)로 간주하며 이를 배척하려고 했던 주장이다. |
− | |사진=
| + | *'''[[척사론(김치진)]]''' : 19세기 유학자 묵암(默庵) 김치진(金致振)이 서학의 교리를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이다.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척사론
| |
− | |한자표기= 斥邪論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 문헌
| |
− | |관련개념=
| |
− | }}
| |
− | =='''정의'''==
| |
− | 19세기 경상북도 상주의 유학자 묵암(默庵) 김치진(金致振)이 서학의 교리를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816 척사론(斥邪論)]",<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내용'''==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척사론]] ||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 한글팀 오복도 01.jpg| 대전대학교 박물관 소장 - 오복도 앞 표지
| |
− | </gallery>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거리===
| |
− | *논문
| |
− | ** 이월명,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연구(硏究) -문학적 전략을 중심으로-』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Vol.24 No.-, 2012, 159-187쪽.
| |
− | ** 황혜경, 「허난설헌 한시를 통해서 본 여성의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8.
| |
| | | |
− | *저서
| + | [[분류:동음이의어]] |
− | ** 김용만, 『조선이 가지 않은 길 : 20가지 키워드로 살펴본 조선의 선택』, 창해, 2017.
| + | [[분류:프로젝트관리]] |
− | ** 이영화,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 신분으로 읽는 조선사람 이야기』, 가람기획, 1998.
| |
− | ** 김용덕, 『한국의 풍속사 . 1』, 밀알, 1994.
| |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