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문헌의 대략적인 내용)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문헌정보 |
|사진= 한글팀 오복도 01.jpg | |사진= 한글팀 오복도 01.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6178&cid=51293&categoryId=51293 오복도]",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대표명칭= 오복도 | |대표명칭= 오복도 | ||
|한자표기= 五服圖 | |한자표기= 五服圖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 |
− | |유형= | + | |유형= |
− | | | + | |저자= |
+ | |역자= | ||
+ | |편자= | ||
+ | |저술시기= | ||
+ | |간행시기= | ||
+ | |간행처= | ||
+ | |간행지= | ||
+ | |간행인= | ||
+ | |시대= | ||
+ | |수량= | ||
+ | |크기= | ||
+ | |판본= | ||
+ | |판사항= | ||
+ | |형태사항= | ||
+ | |표기문자= | ||
+ | |소장처= | ||
+ | |청구기호= | ||
+ | |지정번호= | ||
+ | |지정일= | ||
}} | }} | ||
=='''정의'''== | =='''정의'''== | ||
14번째 줄: | 32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문헌의 보존상태=== | ===문헌의 보존상태=== | ||
− | 비교적 큰 | + | 비교적 큰 대형 고서로 벌집문양이 잘 남아 있는 표지의 좌측상단에 오복도(五服圖)라고 큰 글씨로 책명이 적혀 있다. 전체적인 책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6178&cid=51293&categoryId=51293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 |||
===문헌의 대략적인 내용=== | ===문헌의 대략적인 내용=== | ||
− | 첫 장을 넘기면 오복연혁도목록이라고 해서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군위신복도, 신위군복도, 신종군복도 | + | 첫 장을 넘기면 오복연혁도목록이라고 해서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군위신복도, 신위군복도, 신종군복도 등이 적혀 있으며, 그 뒤로는 가계도 같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6178&cid=51293&categoryId=51293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 <!-- | ||
===문제점=== | ===문제점=== | ||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에서 오복도의 소장처를 대전대학교 박물관으로 밝히고 있으나,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http://museum.dju.ac.kr/)는 2017년 08월 16일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에서 오복도의 소장처를 대전대학교 박물관으로 밝히고 있으나,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http://museum.dju.ac.kr/)는 2017년 08월 16일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상례초언해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20/A12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오복도]] || [[상례초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 | | [[오복도]] || [[상례초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오복도]] || [[대전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오복도]] || [[대전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오복도]] || [[오복연혁도목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 ||
41번째 줄: | 7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 + | ===더 읽을 거리=== |
*논문 | *논문 | ||
− | ** 장동우, 「한강(寒岡) | + | ** 장동우, 「한강(寒岡)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 『퇴계학과 유교문화』58,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75-126쪽. |
− | ** 김순미, | + | ** 김순미,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의 오복도(五服圖) 연구」, 『嶺南學』1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361-388쪽. |
− | ** 김시황, 「상례(喪禮) 오복제도(五服制度) 연구(硏究)」, 『퇴계학과 | + | ** 김시황, 「상례(喪禮) 오복제도(五服制度) 연구(硏究)」, 『퇴계학과 유교문화』2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994, 45-68쪽.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문헌]] |
2017년 11월 24일 (금) 19:34 기준 최신판
오복도(五服圖) | |
대표명칭 | 오복도 |
---|---|
한자표기 | 五服圖 |
정의
저자와 간행년이 모두 미상인 문헌으로 대전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1]
내용
문헌의 보존상태
비교적 큰 대형 고서로 벌집문양이 잘 남아 있는 표지의 좌측상단에 오복도(五服圖)라고 큰 글씨로 책명이 적혀 있다. 전체적인 책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2]
문헌의 대략적인 내용
첫 장을 넘기면 오복연혁도목록이라고 해서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군위신복도, 신위군복도, 신종군복도 등이 적혀 있으며, 그 뒤로는 가계도 같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3]
지식 관계망
- 상례초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복도 | 상례초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복도 | 대전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오복도 | 오복연혁도목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장동우, 「한강(寒岡)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 『퇴계학과 유교문화』58,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75-126쪽.
- 김순미,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의 오복도(五服圖) 연구」, 『嶺南學』1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361-388쪽.
- 김시황, 「상례(喪禮) 오복제도(五服制度) 연구(硏究)」, 『퇴계학과 유교문화』2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994, 45-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