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앙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중국 명나라 [[척계광|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의 하나.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ref>
+
중국 명나라 [[척계광|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 중 하나이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내용'''==
 
=='''내용'''==
[[척계광]]이 저술한 병서 [[『기효신서|기효신서(紀效新書)』]]에 수록되어 있는데, 진의 정면에 방패를 든 군사 2명을 앞세우고서 군사 10명이 2열 종대로 대오를 이룬 진형을 취하고 있어 마치 짝을 찾아 사는 새인 원앙과 그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척계광]]은 당시 중국의 가장 큰 근심의 하나였던 남방의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새로운 근접전 무기인 낭선(狼筅), 당파(鎲鈀), 장창(長槍), 등패(籐牌) 등을 채택하여 왜구의 장기인 큰 칼을 이용한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기를 장비한 12명으로 이루어진 최소 부대 단위인 대(隊)를 편성하였다. 한 대에는 지휘자인 대장 1명과 등패와 표창(鏢槍)을 가진 등패수 2명, 낭선을 가진 낭선수 2명, 장창을 든 장창수 4명, 당파와 화전(火箭)으로 무장한 당파수 2명, 그리고 취사 등 잡일을 담당하는 화병(火兵) 1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전투시에는 이 대의 군사 중에서 화병은 빠지고 대장을 선두로 하여 등패수-낭선수-장창수-당파수의 순으로 서서 적군을 향해 나아가 낭선, 장창, 당파 등을 이용하여 격투를 벌이게 된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ref>
+
[[척계광]]이 저술한 병서 [[『기효신서|기효신서(紀效新書)』]]에 수록되어 있다. 진의 정면에 방패를 든 군사 2명을 앞세우고서 군사 10명이 2열 종대로 대오를 이룬 진형을 취한다. 그 모양이 마치 짝을 찾아 사는 새인 원앙과 그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원앙진의 편성===
 +
[[척계광]]은 당시 중국의 가장 큰 근심의 하나였던 남방의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새로운 근접전 무기인 낭선(狼筅), 당파(鎲鈀), 장창(長槍), 등패(籐牌) 등을 채택하여 왜구의 장기인 큰 칼을 이용한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기를 장비한 12명으로 최소 부대 단위인 대(隊)를 편성하였다. 한 대에는 지휘자인 대장 1명과 등패와 표창(鏢槍)을 가진 등패수 2명, 낭선을 가진 낭선수 2명, 장창을 든 장창수 4명, 당파와 화전(火箭)으로 무장한 당파수 2명, 그리고 취사 등 잡일을 담당하는 화병(火兵) 1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전투시에는 이 대의 군사 중에서 화병은 빠지고 대장을 선두로 하여 등패수-낭선수-장창수-당파수의 순으로 서서 적군을 향해 나아가 낭선, 장창, 당파 등을 이용하여 격투를 벌이게 된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병학지남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44/A04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원앙진]] || [[기효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원앙진]] || [[척계광]]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원앙진]] || [[병학지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기효신서]] || [[원앙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병학지남]] || [[기효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원앙진]] || [[척계광]] || B는 A에 의해 창시되었다 ||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39번째 줄: 4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사료
 
*사료
 
** 기효신서(紀效新書), 1560년
 
** 기효신서(紀效新書), 1560년
 
** 병학지남(兵學指南), 1787년
 
** 병학지남(兵學指南), 1787년
 
+
-->
 +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 홍을표, 「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학위논문 (박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동양(명청)사 2013. 8
+
** 홍을표, 「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박금수,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통한 원앙진(驚鴦陣)의 운용형태 연구, 한국스포츠인류학회, Vol.5 No.- [2008], 45-59(15쪽)
+
<!--
** 최형국,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Vol.- No.78 [2011], 71-107(37쪽)
+
** 최형국,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Vol.- No.78 , 2011, 71-107쪽.
  
 +
** 박금수,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통한 원앙진(驚鴦陣)의 운용형태 연구」, 한국스포츠인류학회, Vol.5 No.- , 2008, 45-59쪽.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11월 22일 (수) 21:38 기준 최신판

원앙진
(鴛鴦陣)
대표명칭 원앙진
한자표기 鴛鴦陣
관련개념 병학지남



정의

중국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 중 하나이다. [1]

내용

척계광이 저술한 병서 기효신서(紀效新書)』에 수록되어 있다. 진의 정면에 방패를 든 군사 2명을 앞세우고서 군사 10명이 2열 종대로 대오를 이룬 진형을 취한다. 그 모양이 마치 짝을 찾아 사는 새인 원앙과 그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원앙진의 편성

척계광은 당시 중국의 가장 큰 근심의 하나였던 남방의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새로운 근접전 무기인 낭선(狼筅), 당파(鎲鈀), 장창(長槍), 등패(籐牌) 등을 채택하여 왜구의 장기인 큰 칼을 이용한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기를 장비한 12명으로 최소 부대 단위인 대(隊)를 편성하였다. 한 대에는 지휘자인 대장 1명과 등패와 표창(鏢槍)을 가진 등패수 2명, 낭선을 가진 낭선수 2명, 장창을 든 장창수 4명, 당파와 화전(火箭)으로 무장한 당파수 2명, 그리고 취사 등 잡일을 담당하는 화병(火兵) 1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전투시에는 이 대의 군사 중에서 화병은 빠지고 대장을 선두로 하여 등패수-낭선수-장창수-당파수의 순으로 서서 적군을 향해 나아가 낭선, 장창, 당파 등을 이용하여 격투를 벌이게 된다. [3]

지식 관계망

  • 병학지남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앙진 척계광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기효신서 원앙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병학지남 기효신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홍을표, 「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