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무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1624년(인조2) 3월에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32인의 신하들에게 내린 공신호이다. 이괄은 인조방정 때 공이 많...)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624년([[조선 인조|인조]]2) 3월에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32인의 신하들에게 내린 공신호이다. 이괄은 인조방정 때 공이 많았음에도 반정모의에 뒤늦게 참가하였다는 이유로 2등에 녹훈되었으며, 당시 변방에 병란의 조짐이 있다고 하여 도원수 장만 휘하에 부원수 겸 평안병사로 삼아 영변에 머물게 되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이괄이 부하 이수백, 기익헌 등과 모의하여 1624년 1월 반란을 일으켜 서울을 점령하자 인조는 공주로 피난하였다. 저탄에서 한번 패배하였던 장만은 군사를 수습하여 안령에서 반란구능ㄹ 크게 패퇴시킴으로써 난을 평정하였다. 이 공훈으로 1등에 장만 등 3인, 2등에 이수일 등 9인, 3등에 남이웅 등 20인을 녹훈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168쪽.</ref>
+
{{개념정보
 +
|사진= jinmu.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 진무공신
 +
|한자표기= 振武功臣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관련개념= [[공신도상]]
 +
}}
 +
==정의==
 +
조선 인조 시기 [[이괄의 난]]을 평정할 때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이다.
  
 +
==내용==
 +
[[조선 인조]]는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평정한 후 27명의 [[진무공신]]을 책록하였다.
 +
1등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에는 [[장만]], [[정충신]], [[남이홍]] 등 3명, 2등 갈성분위효력진무공신에는 [[이수일]], [[김기종]], [[이희건]] 등 9명, 3등 갈성분위진무공신에는 [[남이웅]], [[신경원]], [[이휴복]], [[송덕영]], [[최응일]] 등 30명이 책록되었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680 진무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 관계망==
 +
*'''최덕지와 장만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4/E0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장만]]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장만 공신도상]]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인조]]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괄의 난]]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수일]]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종]]||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희건]]||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남이홍]]||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충신]]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특별전 도록
+
==주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680 진무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명호,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0225 진무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태훈,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E0030 이괄의 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개념]][[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개념]]
 +
[[분류:개념]]

2018년 1월 2일 (화) 20:02 기준 최신판

진무공신
(振武功臣)
Jinmu.png
대표명칭 진무공신
한자표기 振武功臣
관련개념 공신도상


정의

조선 인조 시기 이괄의 난을 평정할 때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이다.

내용

조선 인조는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평정한 후 27명의 진무공신을 책록하였다. 1등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에는 장만, 정충신, 남이홍 등 3명, 2등 갈성분위효력진무공신에는 이수일, 김기종, 이희건 등 9명, 3등 갈성분위진무공신에는 남이웅, 신경원, 이휴복, 송덕영, 최응일 등 30명이 책록되었다.[1]

지식 관계망

  • 최덕지와 장만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만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만 공신도상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인조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괄의 난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수일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종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희건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이홍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충신 진무공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이장희, "진무공신",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이장희, "진무공신",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명호, "진무공신",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태훈, "이괄의 난",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