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보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문서를 비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개념정보 |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지장보살 | ||
+ | |한자표기=地藏菩薩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 | ||
+ | |관련개념=[[명부전]], [[지장전]] | ||
+ | }} | ||
+ | =='''정의'''== | ||
+ | 육도(六道)의 중생을 구원하는 대비보살. | ||
+ | |||
+ | =='''내용'''== | ||
+ | 지장보살은 [[석가불]]의 입적후부터 [[미륵불]]이 나올때까지 무불의 기간이 있어 육도(六道)를 방황하며 고생하는 중생을 남김없이 교화 구제함을 원뜻으로 하는 보살이다.<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8402&cid=42636&categoryId=42636 지장]",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관음보살]]과 더불어 중생들의 현실의 삶에 가장 밀착되어 있는 보살이다. 그러나 [[관음보살]]이 일찍이 널리 신앙되어 삼국시대부터 많은 상들이 만들어진 데 비해, 지장보살은 고려시대부터 크게 유행하였다. | ||
+ | |||
+ | 지장보살은 현세의 인간세계에서뿐 아니라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중생까지 구원한다는 헌신적인 실천 사상으로 인하여 더욱 널리 신봉되었다.<ref>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391&cid=42649&categoryId=42649 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특히 악도(惡道)에 떨어져 헤매는 중생들이 성불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였으므로, 자신의 성불은 사실상 포기한 보살이다.<ref>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056&cid=42642&categoryId=42642 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이렇게 중생들과 늘 함께 하는 지장보살이기에 그 모습도, 당시 가장 화려한 왕족이나 귀족의 모습으로 표현한 일반적인 보살상과는 달리 평범한 비구의 모습]으로 등장한다.<ref>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391&cid=42649&categoryId=42649 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원래의 형상은 천관(天冠)을 쓰고 가사를 입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거나 보주(寶珠)를 들기도 한다. 또한 삭발한 머리에 석장을 짚고 여의주를 들고 있기도 하는데, 이는 『[[연명지장경|연명지장경(延命地藏經)]]』에 근거한 모습이다. 고려시대에는 두건을 쓴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였다.<ref>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056&cid=42642&categoryId=42642 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지장보살은 사찰에서 [[지장전]], [[명부전]]의 주존으로 신앙되었다.<ref>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056&cid=42642&categoryId=42642 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지장보살]] || [[명부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장보살]] || [[지장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장보살]] || [[석가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장보살]] || [[미륵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8402&cid=42636&categoryId=42636 지장]",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391&cid=42649&categoryId=42649 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056&cid=42642&categoryId=42642 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346 지장보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개념]] | ||
+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0월 3일 (화) 20:42 기준 최신판
지장보살 (地藏菩薩) |
|
대표명칭 | 지장보살 |
---|---|
한자표기 | 地藏菩薩 |
관련개념 | 명부전, 지장전 |
정의
육도(六道)의 중생을 구원하는 대비보살.
내용
지장보살은 석가불의 입적후부터 미륵불이 나올때까지 무불의 기간이 있어 육도(六道)를 방황하며 고생하는 중생을 남김없이 교화 구제함을 원뜻으로 하는 보살이다.[1] 관음보살과 더불어 중생들의 현실의 삶에 가장 밀착되어 있는 보살이다. 그러나 관음보살이 일찍이 널리 신앙되어 삼국시대부터 많은 상들이 만들어진 데 비해, 지장보살은 고려시대부터 크게 유행하였다.
지장보살은 현세의 인간세계에서뿐 아니라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중생까지 구원한다는 헌신적인 실천 사상으로 인하여 더욱 널리 신봉되었다.[2] 특히 악도(惡道)에 떨어져 헤매는 중생들이 성불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였으므로, 자신의 성불은 사실상 포기한 보살이다.[3]
이렇게 중생들과 늘 함께 하는 지장보살이기에 그 모습도, 당시 가장 화려한 왕족이나 귀족의 모습으로 표현한 일반적인 보살상과는 달리 평범한 비구의 모습]으로 등장한다.[4] 원래의 형상은 천관(天冠)을 쓰고 가사를 입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거나 보주(寶珠)를 들기도 한다. 또한 삭발한 머리에 석장을 짚고 여의주를 들고 있기도 하는데, 이는 『연명지장경(延命地藏經)』에 근거한 모습이다. 고려시대에는 두건을 쓴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였다.[5]
지장보살은 사찰에서 지장전, 명부전의 주존으로 신앙되었다.[6]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지장보살 | 명부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장보살 | 지장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장보살 | 석가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장보살 | 미륵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지장",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지장",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위석, "지장보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