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이구곡도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문헌정보 | |
− | |사진= | + | |사진=한글팀_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우.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6710000,11&flag=Y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무이구곡도가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武夷九曲櫂歌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이칭= | |이칭= | ||
− | |유형= | + | |유형=문학/고전시가 |
− | |저자= | + | |저자=주희(朱熹) |
|역자= | |역자= | ||
|편자= | |편자= | ||
− | |저술시기= | + | |저술시기=1184년 |
|간행시기= | |간행시기= | ||
|간행처= | |간행처=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지정번호= | |지정번호= | ||
|지정일= | |지정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의==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자(朱子)]가 [[무이산]](武夷山) 계곡의 아홉 구비[九曲] 경치를 읊은 시가(詩歌)이다. | |
− | |||
− | == | + | ==내용== |
+ | 중국 남송(南宋)의 성리학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朱熹, 1130-1200)]가 중국 푸젠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 계곡의 아홉 구비[九曲] 경치를 읊은 것이다. [[무이산]]은 푸젠성의 제일 명산으로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동굴이 있는 경치 좋은 곳이다. 약 8㎞의 계곡에 걸친 구곡은 승진동(升眞洞), 옥녀봉(玉女峯), 선기암(仙機巖), 금계암(金鷄巖), 철적정(鐵笛亭), 선장봉(仙掌峯), 석당사(石唐寺), 고루암(鼓樓巖), 신촌시(新村市)이다. 주희는 1183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1472&cid=50801&categoryId=50806 무이구곡]의 제5곡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을 썼고, 이듬해 「무이구곡도가」를 지었다. 「무이구곡도가」는 첫 수를 제외하고는 무이구곡의 산과 물의 경치를 묘사하고 있다. 자연 묘사를 주로 하면서 [[도학]](道學: 주자학·성리학)을 공부하는 단계적 과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208 무이구곡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무이구곡도가」는 줄여서 「무이도가」 또는 「무이구곡가」라고도 한다.<br/>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1472&cid=50801&categoryId=50806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구곡도가|「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이이 |율곡 이이(李珥, 1536-1584)]]는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고산구곡가」]]를 지었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황 |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를 흠모한 나머지 도산에 은거하면서 「도산십이곡」을 지었으며, 작품의 표현 방식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8 고산구곡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2/27)--></ref> | ||
− | * [http:// | + | ==지식 관계망== |
− | + | * '''[[무이구곡도가]]와 [[고산구곡가]] 및 [[도산십이곡]]에 관한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24/A12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html>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과 이이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7/A207.htm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3/A123.htm 도산십이곡 지식관계망]'''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무이구곡도가]]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무이구곡도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1472&cid=50801&categoryId=50806 무이구곡(武夷九曲)]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무이구곡도가]]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 |- | ||
+ | | [[고산구곡가]]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고산구곡]]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 |- | ||
+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 |- | ||
+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 [[무이구곡도가]] || [[도산십이곡]]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 |- | ||
− | | | + |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184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자(朱子)]가 [[무이구곡도가]]를 지었다. |
|- | |- | ||
− | |||
|} | |} | ||
− | ==갤러리== | + | ==시각자료== |
+ | ===갤러리=== | ||
<gallery> | <gallery> | ||
− | 파일:한글팀_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좌.jpg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좌) | + | 파일:한글팀_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좌.jpg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좌)<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6710000,11&flag=Y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한글팀_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우.jpg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우) | + | 파일:한글팀_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우.jpg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6710000,11&flag=Y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2017년 11월 24일 (금) 19:29 기준 최신판
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 | |
대표명칭 | 무이구곡도가 |
---|---|
한자표기 | 武夷九曲櫂歌 |
유형 | 문학/고전시가 |
저자 | 주희(朱熹) |
저술시기 | 1184년 |
정의
주자(朱子)가 무이산(武夷山) 계곡의 아홉 구비[九曲] 경치를 읊은 시가(詩歌)이다.
내용
중국 남송(南宋)의 성리학자 주희(朱熹, 1130-1200)가 중국 푸젠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 계곡의 아홉 구비[九曲] 경치를 읊은 것이다. 무이산은 푸젠성의 제일 명산으로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동굴이 있는 경치 좋은 곳이다. 약 8㎞의 계곡에 걸친 구곡은 승진동(升眞洞), 옥녀봉(玉女峯), 선기암(仙機巖), 금계암(金鷄巖), 철적정(鐵笛亭), 선장봉(仙掌峯), 석당사(石唐寺), 고루암(鼓樓巖), 신촌시(新村市)이다. 주희는 1183년 무이구곡의 제5곡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을 썼고, 이듬해 「무이구곡도가」를 지었다. 「무이구곡도가」는 첫 수를 제외하고는 무이구곡의 산과 물의 경치를 묘사하고 있다. 자연 묘사를 주로 하면서 도학(道學: 주자학·성리학)을 공부하는 단계적 과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1]
「무이구곡도가」는 줄여서 「무이도가」 또는 「무이구곡가」라고도 한다.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율곡 이이(李珥, 1536-1584)는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를 지었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은 주희를 흠모한 나머지 도산에 은거하면서 「도산십이곡」을 지었으며, 작품의 표현 방식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무이구곡도가 | 주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무이구곡도가 | 무이구곡(武夷九曲)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무이구곡도가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고산구곡가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산구곡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무이구곡도가 | 도산십이곡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184년 | 주자(朱子)가 무이구곡도가를 지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무이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산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