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쌍검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장서각강독문안내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2&idx=38 }} center ==원문과 해석...) |
(→주석)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2&idx=38 |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2&idx=38 | ||
}} | }} | ||
− | |||
==원문과 해석문== | ==원문과 해석문== | ||
{{옛한글해독 | {{옛한글해독 | ||
− | |원문1= | + | |원문1= 생략 |
− | |원문2= | + | |원문2= 생략 |
− | |원문3= | + | |원문3= 생략 |
− | |원문4= | + | |원문4= 생략 |
− | + | |해석문1= 마샹쌍검보(馬上雙劍譜)<ref>박청정, 『무예도보통지주해』, 동문선, 2007. 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f> | |
− | |해석문1= 마샹쌍검보(馬上雙劍譜) | ||
|해석문2= 처음에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 항우가 장강을 건너는 자세)를 하되 오른손[右手]로 고삐를 잡고 왼손[左手]에 두 칼을 아울러 잡되 하나는 세우고 하나는 끼고 말을 내어 손책정강동세(孫策定江東勢: 손책이 강동을 영지로 정하는 자세)를 하되 오른손으로 즉시 낀 칼을 가져 왼편을 향하여 펼쳐 열고 오른손은 앞으로 정(定)하고 왼손은 뒤로 정하고 인하여 한고환패상세(漢高還覇上勢: 한고조 유방이 패상으로 돌아가는 자세)를 하되 좌검(左劍)은 오른편에 껴서 지고 우검(右劍)은 향후격적(向後擊賊)을 하고 운장도패수세(雲長渡灞水勢: 관운장이 패수를 건너는 자세)를 하되 우검(右劍)은 왼편에 껴서 지고 좌검(左劍)은 향후격적을 하고 비전요두세(飛電繞斗勢: 빠른 전광이 두성(斗星)을 에두르는 자세)를 하되 좌검은 오른편으로 휘둘러서 방신(防身)하고 우검은 왼편으로 휘둘러서 방신(防身)하고 인하여 향전일격(向前一擊)을 하라. | |해석문2= 처음에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 항우가 장강을 건너는 자세)를 하되 오른손[右手]로 고삐를 잡고 왼손[左手]에 두 칼을 아울러 잡되 하나는 세우고 하나는 끼고 말을 내어 손책정강동세(孫策定江東勢: 손책이 강동을 영지로 정하는 자세)를 하되 오른손으로 즉시 낀 칼을 가져 왼편을 향하여 펼쳐 열고 오른손은 앞으로 정(定)하고 왼손은 뒤로 정하고 인하여 한고환패상세(漢高還覇上勢: 한고조 유방이 패상으로 돌아가는 자세)를 하되 좌검(左劍)은 오른편에 껴서 지고 우검(右劍)은 향후격적(向後擊賊)을 하고 운장도패수세(雲長渡灞水勢: 관운장이 패수를 건너는 자세)를 하되 우검(右劍)은 왼편에 껴서 지고 좌검(左劍)은 향후격적을 하고 비전요두세(飛電繞斗勢: 빠른 전광이 두성(斗星)을 에두르는 자세)를 하되 좌검은 오른편으로 휘둘러서 방신(防身)하고 우검은 왼편으로 휘둘러서 방신(防身)하고 인하여 향전일격(向前一擊)을 하라. | ||
− | | | + | |해석문3= 벽력휘부세(霹靂揮斧勢: 벼락처럼 도끼를 휘두르는 자세)를 하되 우검은 왼편으로 휘둘러서 방신하고 좌검은 오른편으로 휘둘러서 방신하고 인하여 향전일격을 하라. |
− | | | + | |해석문4= 좌고방신(左顧防身)하여 우검을 왼편으로 휘두르고 우고방신(右顧防身)하여 좌검을 오른편으로 휘두르기를 세 번하고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로써 마치되 만일 회마(回馬)를 하면 한고환패상세(漢高還覇上勢)를 하고 또 운장도패수세(雲長渡灞水勢)를 하되 정수 없이 하여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로써 마 |
쳐라. | 쳐라. | ||
}} | }} | ||
21번째 줄: | 19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references/></span> | <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references/></span> | ||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
2017년 11월 21일 (화) 21:49 기준 최신판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마상쌍검보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
원문과 해석문
원문 | 해석문 |
---|---|
생략 | 마샹쌍검보(馬上雙劍譜)[1] |
생략 | 처음에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 항우가 장강을 건너는 자세)를 하되 오른손[右手]로 고삐를 잡고 왼손[左手]에 두 칼을 아울러 잡되 하나는 세우고 하나는 끼고 말을 내어 손책정강동세(孫策定江東勢: 손책이 강동을 영지로 정하는 자세)를 하되 오른손으로 즉시 낀 칼을 가져 왼편을 향하여 펼쳐 열고 오른손은 앞으로 정(定)하고 왼손은 뒤로 정하고 인하여 한고환패상세(漢高還覇上勢: 한고조 유방이 패상으로 돌아가는 자세)를 하되 좌검(左劍)은 오른편에 껴서 지고 우검(右劍)은 향후격적(向後擊賊)을 하고 운장도패수세(雲長渡灞水勢: 관운장이 패수를 건너는 자세)를 하되 우검(右劍)은 왼편에 껴서 지고 좌검(左劍)은 향후격적을 하고 비전요두세(飛電繞斗勢: 빠른 전광이 두성(斗星)을 에두르는 자세)를 하되 좌검은 오른편으로 휘둘러서 방신(防身)하고 우검은 왼편으로 휘둘러서 방신(防身)하고 인하여 향전일격(向前一擊)을 하라. |
생략 | 벽력휘부세(霹靂揮斧勢: 벼락처럼 도끼를 휘두르는 자세)를 하되 우검은 왼편으로 휘둘러서 방신하고 좌검은 오른편으로 휘둘러서 방신하고 인하여 향전일격을 하라. |
생략 | 좌고방신(左顧防身)하여 우검을 왼편으로 휘두르고 우고방신(右顧防身)하여 좌검을 오른편으로 휘두르기를 세 번하고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로써 마치되 만일 회마(回馬)를 하면 한고환패상세(漢高還覇上勢)를 하고 또 운장도패수세(雲長渡灞水勢)를 하되 정수 없이 하여 항우도강세(項羽渡江勢)로써 마 쳐라. |
주석
- ↑ 박청정, 『무예도보통지주해』, 동문선, 2007. 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