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갤러리)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사건정보
|사진=
+
|사진=민족_일러_항일결사.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3.1운동
 
|대표명칭=3.1운동
17번째 줄: 17번째 줄:
  
 
=='''정의'''==
 
=='''정의'''==
1919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647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647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내용'''==
 
=='''내용'''==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기회만을 찾고 있던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조선 고종|고종황제]]의 붕어 등이 한데 겹쳐 민족적 항일의식이 고조되자, 이 때가 한국 민족의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고, 거족적인 3·1독립만세운동을 본격적으로 계획하였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772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3.1운동은 수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도시 등 교통이 발달한 곳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농촌 등지로 전파되며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647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기회만을 찾고 있던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조선 고종|고종황제]]의 붕어 등이 한데 겹쳐 민족적 항일의식이 고조되자, 이 때가 한국 민족의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고, 거족적인 3·1독립만세운동을 본격적으로 계획하였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772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3.1운동은 수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도시 등 교통이 발달한 곳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농촌 등지로 전파되며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647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1919년 3월 1일===
 
===1919년 3월 1일===
3월 1일에 미리 계획했던 대로 서울과 평양, 의주, 선천, 안주, 원산, 진남포 등 6개 도시에서 동시에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의 거행장소를 군중들이 모여 있던 [[서울
+
미리 계획했던 대로 3월 1일에 서울과 평양, 의주, 선천, 안주, 원산, 진남포 등 6개 도시에서 동시에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의 거행장소를 군중들이 모여 있던 [[서울 탑골공원|탑골공원]]에서 서울 인사동의 [[태화관]](泰和館)으로 일방적으로 변경하였다.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 33명 가운데 29명은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 모여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서영환]](徐永煥)을 통해 독립통고서를 [[조선총독부]]에 전달했다. 그리고 오후 3시 [[한용운]](韓龍雲)이 [[3.1독립선언서|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에 일본 경찰에 통고하여 스스로 체포되었다. [[서울 탑골공원|탑골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은 장소 변경에 당황하여 [[강기덕]] 등을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들에게 보내 항의하기도 했으나, 2시 30분 무렵에 따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두 갈래로 나뉘어 [[종로]], [[서울역]], [[정동]], [[이화학당]], [[서대문]] 등을 행진하며 시위를 벌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647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탑골공원|탑골공원]]에서 서울 인사동의 [[태화관]](泰和館)으로 일방적으로 변경하였다.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 33명 가운데 29명은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 모여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서영환]](徐永煥)을 통해 독립통고서를 [[조선총독부]]에 전달했다. 그리고 오후 3시 [[한용운]](韓龍雲)이 [[3.1독립선언서|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에 일본 경찰에 통고하여 스스로 체포되었다. [[서울 탑골공원|탑골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은 장소 변경에 당황하여 [[강기덕]] 등을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들에게 보내 항의하기도 했으나, 2시 30분 무렵에 따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두 갈래로 나뉘어 [[종로]], [[서울역]], [[정동]], [[이화학당]], [[서대문]] 등을 행진하며 시위를 벌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6647 3·1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3/C053.htm "민족대표의 독립선언"(최대섭)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3/C053.htm "민족대표의 독립선언"(최대섭)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4/C054.htm "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문학진)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34번째 줄: 31번째 줄: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53/C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53/C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4/C054.htm "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문학진) 지식관계망]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5/C055.htm "8.15해방"(윤중식) 지식관계망]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54/C05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54번째 줄: 48번째 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3.1운동]] ||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3.1운동]] ||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 || [[유관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 [[유관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민족대표 33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 [[민족대표 33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98번째 줄: 92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파일:오화영 샘플.JPG|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1985년 作)
 +
파일:태화빌딩 삼일독립선언유적지 01.JPG|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
 +
파일:태화빌딩 삼일독립선언유적지 02.JPG|[[태화빌딩]] 전경
 +
파일:태화빌딩 삼일독립선언유적지 03.JPG|동판으로 제작한 [[3.1독립선언서]]
 +
</gallery>
  
 
===영상===
 
===영상===
116번째 줄: 116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누/수정요망]]
 

2017년 12월 26일 (화) 23:22 기준 최신판

3.1운동(三一運動)
민족 일러 항일결사.png
대표명칭 3.1운동
한자표기 三一運動
유형 독립운동
시대 근대
날짜 1919년 3월 1일
관련단체 민족대표 33인
관련장소 서울 탑골공원,태화관



정의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1]

내용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기회만을 찾고 있던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고종황제의 붕어 등이 한데 겹쳐 민족적 항일의식이 고조되자, 이 때가 한국 민족의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고, 거족적인 3·1독립만세운동을 본격적으로 계획하였다.[2] 3.1운동은 수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도시 등 교통이 발달한 곳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농촌 등지로 전파되며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되었다.[3]

1919년 3월 1일

미리 계획했던 대로 3월 1일에 서울과 평양, 의주, 선천, 안주, 원산, 진남포 등 6개 도시에서 동시에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의 거행장소를 군중들이 모여 있던 탑골공원에서 서울 인사동의 태화관(泰和館)으로 일방적으로 변경하였다. 민족대표 33명 가운데 29명은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 모여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서영환(徐永煥)을 통해 독립통고서를 조선총독부에 전달했다. 그리고 오후 3시 한용운(韓龍雲)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에 일본 경찰에 통고하여 스스로 체포되었다. 탑골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은 장소 변경에 당황하여 강기덕 등을 민족대표들에게 보내 항의하기도 했으나, 2시 30분 무렵에 따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두 갈래로 나뉘어 종로, 서울역, 정동, 이화학당, 서대문 등을 행진하며 시위를 벌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3.1운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탑골공원팔각정 서울 탑골공원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3.1운동 서울 탑골공원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3.1운동 민족대표 33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3.1운동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유관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독립선언식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erformed B
독립선언식 태화관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태화관 태화빌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한용운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민족대표 33인 최남선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3.1독립선언서 최남선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3.1독립선언서 한용운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3.1독립선언서 보성사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보성사 이종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이종일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19년 한용운3.1독립선언서를 썼다
1919년 최남선3.1독립선언서를 썼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3.1운동이 일어났다.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민족대표 33인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1919년 3월 28일 보성사에서 인쇄된 3.1독립선언서가 전국에 배포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3·1운동",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김진봉, "3·1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3·1운동",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3·1운동",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3·1운동",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김진봉, "3·1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1. 박찬승, 『한국독립운동사 : 해방과 건국을 향한 투쟁』, 역사비평사, 2014. 온라인 참조: "1919년, 독립만세의 함성이 메아리치다", 한국독립운동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3·1운동",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