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김홍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홍도의 작품세계)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8번째 줄: 38번째 줄: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을 따라 호를‘단원’이라 하였다. 1788년에는 [[김응환|김응환(金應煥)]]과 함께 왕명으로 금강산 등 영동 일대를 기행하며 그곳의 명승지를 그려 바쳤다. 1791년 [[조선 정조|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 참여하였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96년에 편찬된 『[[불설대보무모은중경 언해]]』 에 담긴 [[변상도]]를 그렸다. 1797년 편찬된 『[[오륜행실도]]』 언해의 그림에 김홍도의 화풍이 많이 남아있어 그가 직접 그렸거나, 당시 그의 화풍이 매우 유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을 따라 호를 ‘단원’이라 하였다. 1791년 [[조선 정조|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 참여하였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96년에 편찬된 『[[불설대보무모은중경 언해]]』 에 담긴 [[변상도]]를 그렸다. 1797년 편찬된 『[[오륜행실도]]』 언해의 그림에 김홍도의 화풍이 많이 남아있어 그가 직접 그렸거나, 당시 그의 화풍이 매우 유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홍도의 작품세계===
 
===김홍도의 작품세계===
51번째 줄: 51번째 줄: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대표작품들===
 
그의 대표작으로는 『[[단원풍속화첩]]』을 비롯해서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개인 소장)·「무이귀도도(武夷歸棹圖)」(간송미술관 소장)·「선인기려도(仙人騎驢圖)」·「단원도(檀園圖)」(개인 소장)와 「섭우도(涉牛圖)」·「기노세련계도(耆老世聯稧圖)」·『단원화첩』·「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등이 있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강세황과 김홍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7/E00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1/A021.htm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강세황]] || A는 B의 제자이다 ||  
+
| [[김홍도]] || [[강세황]]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
 +
| [[도화서]] || [[김홍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김홍도]] || [[김석무]]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PAGENAME}} || [[도화서]] || A는 B에 소속된다 ||  
+
| [[김홍도]] || [[한종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PAGENAME}} || [[김석무]]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김홍도]] || [[신한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PAGENAME}} || [[한종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동참화사]] || [[김홍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PAGENAME}} || [[신한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동참화사]] || [[신한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PAGENAME}} || [[동참화사]] || A는 B에 소속된다 || 1781년
+
| [[동참화사]] || [[한종유]]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신한평]] || [[동참화사]] || A는 B에 소속된다 || 1781년
+
| [[김홍도]]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한종유]] || [[동참화사]] || A는 B에 소속된다 || 1781년
+
| [[김홍도]] || [[영조 어진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81년
+
| [[김홍도]] || [[왕세자 정조 초상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영조 어진]]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73년
+
| [[신한평]]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왕세자 정조 초상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73년
+
| [[한종유]]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ㄴ
 
| [[신한평]]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81년
 
 
|-
 
|-
| [[한종유]]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81년
+
| [[김홍도]] ||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김응환]] || A는 B와 교유하였다 || 1788년
+
| [[김홍도]] || [[서원아집육곡병]]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91년
+
| [[김홍도]] || [[군선도병]]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서원아집육곡병]] || A는 B를 그렸다 || 1778년
+
| [[김홍도]] || [[변상도]]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군선도병]] || A는 B를 그렸다 || 1776년
+
| [[변상도]]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 {{PAGENAME}} || [[변상도]] || A는 B를 그렸다 || 1796년
+
| [[김홍도]] || [[오륜행실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변상도]]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A는 B에 포함된다 ||
+
| [[김홍도]] || [[반차도]]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오륜행실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797년
+
| [[반차도]]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106번째 줄: 112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773년 || {{PAGENAME}}가 [[영조 어진]]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73년 || [[김홍도]]가 [[영조 어진]] 제작에 참여하였다
 
|-
 
|-
| 1773년 || {{PAGENAME}}가 왕세자 정조 초상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73년 || [[김홍도]]가 왕세자 [[조선 정조]] 초상 제작에 참여하였다
 
|-
 
|-
| 1776년 || {{PAGENAME}}가 [[군선도병]]을 그렸다
+
| 1776년 || [[김홍도]]가 [[군선도병]]을 그렸다
 
|-
 
|-
| 1778년 || {{PAGENAME}}가 [[서원아집육곡병]]을 그렸다
+
| 1778년 || [[김홍도]]가 [[서원아집육곡병]]을 그렸다
 
|-
 
|-
| 1781년 || {{PAGENAME}}가 [[동참화사]]가 되어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81년 || [[김홍도]]가 [[동참화사]]가 되어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
 
|-
| 1788년 || {{PAGENAME}}가 [[김응환]]과 함께 산수화를 그렸다
+
| 1791년 || [[김홍도]]가 [[조선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
 
|-
| 1791년 || {{PAGENAME}}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96년 || [[김홍도]][[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의 [[변상도]]를 그렸다
 
|-
 
|-
| 1796년 || {{PAGENAME}}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의 [[변상도]]를 그렸다
+
| 1797년 || [[김홍도]][[오륜행실도]] 편찬에 참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 1797년 || {{PAGENAME}}는 [[오륜행실도]] 편찬에 참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178번째 줄: 182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단행본
 
*단행본
 
**오주석, 『단원 김홍도: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 한겨레출판사, 2001.
 
**오주석, 『단원 김홍도: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 한겨레출판사, 2001.
187번째 줄: 191번째 줄: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이영일,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5178&brdType=R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보물 제527호)]",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2014년 9월 11일.  
+
*이영일,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5178&brdType=R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보물 제527호)]",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4년 9월 11일.  
*이영일,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5181&brdType=R 김홍도의 일상 풍경, 빨래터와 무동(檀園 風俗圖帖, 보물 제527호)]",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2014년 9월 11일.  
+
*이영일,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5181&brdType=R 김홍도의 일상 풍경, 빨래터와 무동(檀園 風俗圖帖, 보물 제527호)]",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4년 9월 11일.  
[[분류:한글고문서]]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이혜영]]
+
[[분류:역사인물]]

2017년 11월 30일 (목) 15:35 기준 최신판

김홍도(金弘道)
대표명칭 김홍도
한자표기 金弘道
생몰년 1745년-미상
본관 김해(金海)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 고면거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畫士), 첩취옹(輒醉翁)
사능(士能)
시대 조선
대표저서 단원풍속화첩
대표직함 도화서화원
김석무(金錫武)


정의

1745년에 태어난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내용

김홍도의 생애

무반가의 서얼 집안에서 출생한 김홍도는 10~14살 무렵에, 강세황의 안산 집에 드나들며 그림을 배우게 된다. [1] 그 후 강세황의 천거로 도화서화원(圖畫署畫員)이 되었다. 1773년에는 영조의 어진(御眞)과 왕세자(정조)의 초상을 그렸다. 1781년(정조 5년)에는 정조의 어진 익선관본(翼善冠本)을 그릴 때 한종유(韓宗裕)·신한평(申漢枰) 등과 함께 동참화사(同參畫師)로 활약하였다.[2]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을 따라 호를 ‘단원’이라 하였다. 1791년 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 참여하였다. [3] 1796년에 편찬된 『불설대보무모은중경 언해』 에 담긴 변상도를 그렸다. 1797년 편찬된 『오륜행실도』 언해의 그림에 김홍도의 화풍이 많이 남아있어 그가 직접 그렸거나, 당시 그의 화풍이 매우 유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홍도의 작품세계

산수화

김홍도의 작품은 50세를 중심으로 전후 2기로 나누어지는 화풍상의 변화를 보인다. 산수화의 경우 50세 이전인 1778년 작인 「서원아집육곡병(西園雅集六曲屛)」이 말해 주듯이, 주로 중국의 화보(畫譜)에 의존하는 경향이 보인다. 50세 이후로는 진경산수(眞景山水)를 즐겨 그렸다. 그러면서 ‘단원법’이라 불리는 보다 세련되고 개성이 강한 독창적 화풍을 만들었다. 만년에는 풍속화로 관심이 바뀌었다. [4]

인물화

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였다. 특히, 「군선도병(群仙圖屛)」과 같이 도교(道敎)와 불교(佛敎)에 관계되는 신선들을 많이 그렸다. 후기가 되면 화폭의 규모도 작아지고, 단아하면서도 분방하며 생략된 필치로 바뀌게 된다. [5]

풍속화

후기에 그는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생활상을 해학적 감정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의 풍속화들은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더불어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을 잘 대변해 준다. [6]

지식 관계망

  • 강세황과 김홍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홍도 강세황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도화서 김홍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김홍도 김석무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김홍도 한종유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홍도 신한평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동참화사 김홍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동참화사 신한평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동참화사 한종유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김홍도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홍도 영조 어진 제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홍도 왕세자 정조 초상 제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한평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한종유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홍도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홍도 서원아집육곡병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홍도 군선도병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홍도 변상도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변상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김홍도 오륜행실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홍도 반차도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반차도 원행을묘정리의궤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73년 김홍도영조 어진 제작에 참여하였다
1773년 김홍도가 왕세자 조선 정조 초상 제작에 참여하였다
1776년 김홍도군선도병을 그렸다
1778년 김홍도서원아집육곡병을 그렸다
1781년 김홍도동참화사가 되어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1791년 김홍도조선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1796년 김홍도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변상도를 그렸다
1797년 김홍도오륜행실도 편찬에 참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홍준표, 「김홍도 생애의 재구성」, 『미술사논총』34, 2012, 107쪽.
  2. 홍준표,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홍준표,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홍준표,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홍준표,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홍준표,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오주석, 『단원 김홍도: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 한겨레출판사, 2001.
    • 이재원, 『김홍도 : 정조의 이상정치, 그림으로 실현하다』, 살림, 2016.
  • 논문
    • 이양재, 「김홍도 연구」, 『미술세계』128, 1995.
    • 변영섭, 「스승과 제자, 강세황(姜世晃)이 쓴 김홍도(金弘道) 전기- 〈檀園記〉·〈檀園記 又一本〉」, 『미술사학연구』275·276, 한국미술사학회, 2012.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