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동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그 이후의 활동)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 joseon_mugwan_mi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백동수
 
|대표명칭= 백동수
 
|한자표기= 白東脩
 
|한자표기= 白東脩
 
|영문명칭=
 
|영문명칭=
|본관=
+
|본관= 수원(水原)
 
|이칭= 야뇌(野餒)
 
|이칭= 야뇌(野餒)
 
|시호=  
 
|시호=  
 
|호= 인재(靭齋)
 
|호= 인재(靭齋)
|자=  
+
|자= 영숙(永叔)
 
|생년= 1743년  
 
|생년= 1743년  
 
|몰년= 1816년
 
|몰년= 1816년
16번째 줄: 16번째 줄:
 
|시대= 조선
 
|시대= 조선
 
|국적=
 
|국적=
|대표저서=
+
|대표저서= [[무예도보통지]]
 
|대표직함= 장용영 초관, 훈련원 주부, 훈련원 판관, 평안도 박천군수, 군기시 부정
 
|대표직함= 장용영 초관, 훈련원 주부, 훈련원 판관, 평안도 박천군수, 군기시 부정
 
|배우자=
 
|배우자=
29번째 줄: 29번째 줄:
 
|유형= 인물
 
|유형= 인물
 
}}
 
}}
 +
=='''정의'''==
 +
조선 후기의 무관이다.
  
=='''정의'''==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자(字)는 영숙(永叔)이다. 무예가 뛰어나 당대에 창검(槍劍)의 일인자로 꼽혔고, 마술(馬術)과 궁술(弓術)에도 뛰어났다.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박제가]](朴齊家) 등 북학파 실학자들과도 깊이 교유하여 학문에도 높은 성취를 이루었고, 서예에도 능해 전서(篆書)ㆍ예서(隸書)를 특히 잘 썼다고 전해진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내용'''==
 
=='''내용'''==
 +
무예가 뛰어나 당대에 창검(槍劍)의 일인자로 꼽혔고, 마술(馬術)과 궁술(弓術)에도 뛰어났다. [[박지원|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이덕무(李德懋)]]ㆍ[[박제가|박제가(朴齊家)]] 등 북학파 실학자들과도 깊이 교유하여 학문에도 높은 성취를 이루었고, 서예에도 능해 전서(篆書)ㆍ예서(隸書)를 특히 잘 썼다고 전해진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가족관계===
 
===가족관계===
1743년(영조 19년)한양에서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를 지낸 백사굉(白師宏)의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인 [[백시구]](白時耉)는 병마절도사를 지낸 무반(武班)이었지만 조부인 [[백상화]](白尙華)가 서자였기에 서얼의 신분이었다. 누이가 같은 서얼 신분인 실학자 [[이덕무]]에게 시집을 가서 그와는 매부와 처남 관계로 매우 가깝게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본관은 수원, 휘는 동수(東脩)이고 자는 영숙(永叔), 호는 야뇌(野餒) 또는 인재(靭齋)이다.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죽은 충장공 [[백시구|백시구(白時耉)]]의 증손이며, [[백상화|백상화(白尙華)]]의 손자다. 1743년에 한양에서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를 지낸 [[백사굉|백사굉(白師宏)]]의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인 백시구는 무반(武班)이었지만 조부인 백상화(白尙華)가 서자였기에 서얼의 신분이었다. 누이가 이덕무에게 시집을 가서 그와 매우 가깝게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생애 및 활동사항===
 
===생애 및 활동사항===
왜검(倭劍)을 조선에 전한 [[김체건]](金體乾)의 아들인 [[김광택]](金光澤)에게 무예를 배웠으며, 1771년(영조 47년)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오르지는 못했다. 1773년에 가족과 함께 강원도 기린협(麒麟峽, 지금의 강원도 인제)에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며 무예를 연마하였다. 정조가 즉위한 뒤 [[이가환]](李家煥)[[정약용]](丁若鏞) 등을 중용하고, 1779년 이덕무ㆍ유득공ㆍ박제가 등 서얼 출신의 인사를 규장각(奎章閣) 검서관(檢書官)으로 임명하자 1780년(정조 4년)에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다. 1785년(정조 9년) 정조가 친위군영인 장용영(壯勇營)을 창설하자 추천되어 집춘영(集春營)과 어영청(御營廳) 초관(哨官)을 역임하고 1788년부터 장용영 초관으로 근무했다. 1790년(정조 14년)에는 왕명으로 이덕무ㆍ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편찬했는데, 그는 직접 기예를 시험해 보면서 편찬 작업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4권 4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는 24종에 이르는 각종 무예를 그림을 덧붙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훈련용 병서이다. 1790년 병사들의 병서 강습과 무예 훈련을 담당하는 훈련원(訓鍊院) 주부(主簿)가 되었으며, 이듬해 종5품의 부사직(副司直) 직위에 올라 훈련원 판관(判官)이 되었다. 1792년에는 충청도 비인현감(庇仁縣監)이 되었다가 1795년에는 종4품의 훈련원 첨정(僉正)이 되었다.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평안도 박천군수(博川郡守)로 임명되었다가 뇌물을 받았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1806년(순조 6년)에는 영의정 [[이병모]](李秉模)의 주장으로 다시 유배되고 관직에 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금고형(禁錮刑)을 받았다. 1810년에는 서용되어 종3품의 군기시(軍器寺) 부정(副正)이 되었으나 1816년(순조 16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왜검(倭劍)을 조선에 전한 [[김체건|김체건(金體乾)]]의 아들인 [[김광택|김광택(金光澤)]]에게 무예를 배웠으며, 1771년(영조 47)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오르지는 못했다. 1773년에 가족과 함께 강원도 기린협(麒麟峽, 지금의 강원도 인제)에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며 무예를 연마하였다. 1785년(정조 9) 추천을 받아 [[집춘영|집춘영(集春營)]][[어영청|어영청(御營廳)]] 초관(哨官)을 역임하고 1788년부터 [[장용영]] 초관으로 근무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무예도보통지언해|무예도보통지]]』 편찬과 그 이후의 활동===
 +
1790년에는 왕명으로 [[이덕무]]ㆍ[[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언해|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편찬하였다. 박동수는 직접 기예를 시험해 보면서 편찬 작업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4권 4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는 24종에 이르는 각종 무예를 그림을 덧붙여 자세히 설명한 훈련용 병서이다. 1790년 병사들의 병서 강습과 무예 훈련을 담당하는 훈련원(訓鍊院) 주부(主簿)가 되었으며, 이듬해 종5품의 부사직(副司直) 직위에 올라 훈련원 판관(判官)이 되었다. 1792년에는 충청도 비인현감(庇仁縣監)이 되었다가 1795년에는 종4품의 훈련원 첨정(僉正)이 되었다.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평안도 박천군수(博川郡守)로 임명되었다가 뇌물을 받았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1806년에는 영의정 [[이병모|이병모(李秉模)]]의 주장으로 다시 유배되고 관직에 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금고형(禁錮刑)을 받았다. 1810년에는 서용되어 종3품의 군기시(軍器寺) 부정(副正)이 되었으나 1816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무예도보통지언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46/A04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정조]] || [[무예도보통지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백동수]] || [[무예도보통지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백동수]] || [[무예도보통지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덕무]] || [[무예도보통지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박제가]] || [[무예도보통지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박지원]] || [[백동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백사굉]] || [[백동수]]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백상화]] || [[백동수]]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백시구]] || [[백동수]]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김광택]] || [[백동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병모]] || [[백동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51번째 줄: 84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
  
58번째 줄: 90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사료
 +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正祖命撰, 1790.
 +
 +
*단행본
 +
** 김영호, 『조선의 협객 백동수 : 18세기 조선 남아들의 인생 역정』, 푸른역사, 2011.
 +
**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유영수, 안길원, 김학배, 『(역주)무예도보통지』, 장용영, 2003.
  
===사료===
+
*논문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 이근채, 『武藝圖譜通志의 編纂過程과 武藝史的 價値』,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 전영식, 『조선 정조시대의 武藝圖譜通志에 관한 연구 : 銳刀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레저스포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
** 곽낙현, 「백동수의 생애와 무예관」, 『溫知論叢』37, 온지학회, 2013, 189-213쪽.
 +
** 박기동, 김상구, 「武藝圖譜通志 頒布와 그 時代的 背景:  -관련인물들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17, 江原大學校附設 體育科學硏究所, 1992, 83-97쪽.
  
===웹사이트===
+
*웹자원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B%8F%99%EC%88%98 백동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7월 14일.
+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B%8F%99%EC%88%98 백동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07월 14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 [네이버 지식백과] 백동수 [白東脩]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0925&cid=40942&categoryId=3433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인물]]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인물]]

2017년 11월 22일 (수) 23:51 기준 최신판

백동수(白東脩)
Joseon mugwan mid.png
대표명칭 백동수
한자표기 白東脩
생몰년 1743년-1816년
본관 수원(水原)
이칭 야뇌(野餒)
인재(靭齋)
영숙(永叔)
시대 조선
대표저서 무예도보통지
대표직함 장용영 초관, 훈련원 주부, 훈련원 판관, 평안도 박천군수, 군기시 부정
성격 무신
유형 인물


정의

조선 후기의 무관이다.

내용

무예가 뛰어나 당대에 창검(槍劍)의 일인자로 꼽혔고, 마술(馬術)과 궁술(弓術)에도 뛰어났다. 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 등 북학파 실학자들과도 깊이 교유하여 학문에도 높은 성취를 이루었고, 서예에도 능해 전서(篆書)ㆍ예서(隸書)를 특히 잘 썼다고 전해진다.[1]

가족관계

본관은 수원, 휘는 동수(東脩)이고 자는 영숙(永叔), 호는 야뇌(野餒) 또는 인재(靭齋)이다.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죽은 충장공 백시구(白時耉)의 증손이며, 백상화(白尙華)의 손자다. 1743년에 한양에서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를 지낸 백사굉(白師宏)의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인 백시구는 무반(武班)이었지만 조부인 백상화(白尙華)가 서자였기에 서얼의 신분이었다. 누이가 이덕무에게 시집을 가서 그와 매우 가깝게 지냈다.[2]

생애 및 활동사항

왜검(倭劍)을 조선에 전한 김체건(金體乾)의 아들인 김광택(金光澤)에게 무예를 배웠으며, 1771년(영조 47)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오르지는 못했다. 1773년에 가족과 함께 강원도 기린협(麒麟峽, 지금의 강원도 인제)에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며 무예를 연마하였다. 1785년(정조 9) 추천을 받아 집춘영(集春營)어영청(御營廳) 초관(哨官)을 역임하고 1788년부터 장용영 초관으로 근무했다..[3]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그 이후의 활동

1790년에는 왕명으로 이덕무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편찬하였다. 박동수는 직접 기예를 시험해 보면서 편찬 작업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4권 4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는 24종에 이르는 각종 무예를 그림을 덧붙여 자세히 설명한 훈련용 병서이다. 1790년 병사들의 병서 강습과 무예 훈련을 담당하는 훈련원(訓鍊院) 주부(主簿)가 되었으며, 이듬해 종5품의 부사직(副司直) 직위에 올라 훈련원 판관(判官)이 되었다. 1792년에는 충청도 비인현감(庇仁縣監)이 되었다가 1795년에는 종4품의 훈련원 첨정(僉正)이 되었다.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평안도 박천군수(博川郡守)로 임명되었다가 뇌물을 받았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1806년에는 영의정 이병모(李秉模)의 주장으로 다시 유배되고 관직에 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금고형(禁錮刑)을 받았다. 1810년에는 서용되어 종3품의 군기시(軍器寺) 부정(副正)이 되었으나 1816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지식 관계망

  • 무예도보통지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조 무예도보통지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백동수 무예도보통지 편찬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백동수 무예도보통지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덕무 무예도보통지 편찬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제가 무예도보통지 편찬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지원 백동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사굉 백동수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백상화 백동수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백시구 백동수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김광택 백동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병모 백동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백동수(白東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사료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正祖命撰, 1790.
  • 단행본
    • 김영호, 『조선의 협객 백동수 : 18세기 조선 남아들의 인생 역정』, 푸른역사, 2011.
    •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유영수, 안길원, 김학배, 『(역주)무예도보통지』, 장용영, 2003.
  • 논문
    • 이근채, 『武藝圖譜通志의 編纂過程과 武藝史的 價値』,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전영식, 『조선 정조시대의 武藝圖譜通志에 관한 연구 : 銳刀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레저스포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 곽낙현, 「백동수의 생애와 무예관」, 『溫知論叢』37, 온지학회, 2013, 189-213쪽.
    • 박기동, 김상구, 「武藝圖譜通志 頒布와 그 時代的 背景: -관련인물들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17, 江原大學校附設 體育科學硏究所, 1992, 83-97쪽.
  •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