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숭인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공간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역사인물초상화 | {{역사인물초상화 | ||
− | |사진= |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숭인 초상.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8%AD%EC%9D%B8 이숭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대표명칭= 이숭인 초상 | |대표명칭= 이숭인 초상 | ||
|한자명칭= 李崇仁 肖像 | |한자명칭= 李崇仁 肖像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작가= 미상 | |작가= 미상 | ||
|제작시기= 조선 후기 | |제작시기= 조선 후기 | ||
− | |소장처=[[고흥 성산사]]( | + | |소장처=[[고흥 성산사]](성주 이씨 문중) |
|문화재지정사항= | |문화재지정사항= | ||
|유형=[[초상]] | |유형=[[초상]]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고려 말의 학자인 [[이숭인|이숭인(1347∼1392)]]의 모습을 그린 | + | 고려 말의 학자인 [[이숭인|이숭인(1347∼1392)]]의 모습을 그린 초상. |
=='''내용'''== | =='''내용'''== | ||
===초상의 제작 및 보관=== | ===초상의 제작 및 보관=== | ||
− | <이숭인 초상>은 그의 부친과 조부의 초상화와 함께 [[고흥 성산사]]에 봉안되어왔다. 화폭 우측 상단에 ‘봉익대부 첨서밀직사 겸 도평의사 겸 판전교사사 우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이공 휘 숭인 진(奉翊大夫簽書密直司事兼都 評議使司使兼判典校寺事右 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李公 諱崇仁眞)”이라는 제기가 있으며 1655년, 1714년, 1744년에 개모와 중모를 했음을 밝히는 연기가 적혀 있다. 화면의 왼편 상단에는 | + | <이숭인 초상>은 그의 부친과 조부의 초상화와 함께 [[고흥 성산사]]에 봉안되어왔다. 화폭 우측 상단에 ‘봉익대부 첨서밀직사 겸 도평의사 겸 판전교사사 우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이공 휘 숭인 진(奉翊大夫簽書密直司事兼都 評議使司使兼判典校寺事右 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李公 諱崇仁眞)”이라는 제기가 있으며 1655년, 1714년, 1744년에 개모와 중모를 했음을 밝히는 연기가 적혀 있다. 화면의 왼편 상단에는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자찬문]]이 적혀 있는데 이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자찬문]]은 『[[동문선|동문선(東文選)]]』 권51에 「고향의 승려 [[지암]]이 나의 초라한 초상화를 그려주었기에 여기 찬한다(鄕僧止庵寫余陋眞因作贊)」라는 찬문과 내용이 동일하여 초상의 작가가 승려 [[지암]]일 가능성도 있지만 단정하기는 어렵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45~146쪽.</ref><br/> |
<이숭인 초상>은 [[고흥 성산사|성산사]]에 함께 봉안되어 왔던 고려 말 명문 [[성주 이씨]] 집안의 초상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고려 말 초상화의 형식이 잘 드러나 있다. | <이숭인 초상>은 [[고흥 성산사|성산사]]에 함께 봉안되어 왔던 고려 말 명문 [[성주 이씨]] 집안의 초상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고려 말 초상화의 형식이 잘 드러나 있다.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이숭인 초상]] || [[고흥 성산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이숭인 초상]] || [[고흥 성산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이숭인 초상]] || [[이숭인의 | + | | [[이숭인 초상]] ||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이숭인]] || [[이숭인의 | + | | [[이숭인]] ||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 ||A는 B를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이숭인의 | + | |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 || [[동문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좌안구분면]] || [[이숭인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좌안구분면]] || [[이숭인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단령|녹포단령]] || [[이숭인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 + | | [[각대]] || [[이숭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 | | [[흑립]] || [[이숭인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 |} | ||
70번째 줄: | 68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숭인 초상.jpg|[[이숭인 초상]]<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8%AD%EC%9D%B8 이숭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76번째 줄: | 7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 | + | # 김용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605 성주이씨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7일.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 | + | #논문 |
− | #* | + | #* 윤진영, 「성주이씨 가문의 초상화 연구」, 『장서각』 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 |||
− | |||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4일 (금) 03:15 기준 최신판
이숭인 초상 | |
한자명칭 | 李崇仁 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조선 후기 |
소장처 | 고흥 성산사(성주 이씨 문중)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40×80㎝ |
목차
정의
고려 말의 학자인 이숭인(1347∼1392)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숭인 초상>은 그의 부친과 조부의 초상화와 함께 고흥 성산사에 봉안되어왔다. 화폭 우측 상단에 ‘봉익대부 첨서밀직사 겸 도평의사 겸 판전교사사 우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이공 휘 숭인 진(奉翊大夫簽書密直司事兼都 評議使司使兼判典校寺事右 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李公 諱崇仁眞)”이라는 제기가 있으며 1655년, 1714년, 1744년에 개모와 중모를 했음을 밝히는 연기가 적혀 있다. 화면의 왼편 상단에는 자찬문이 적혀 있는데 이 자찬문은 『동문선(東文選)』 권51에 「고향의 승려 지암이 나의 초라한 초상화를 그려주었기에 여기 찬한다(鄕僧止庵寫余陋眞因作贊)」라는 찬문과 내용이 동일하여 초상의 작가가 승려 지암일 가능성도 있지만 단정하기는 어렵다.[1]
<이숭인 초상>은 성산사에 함께 봉안되어 왔던 고려 말 명문 성주 이씨 집안의 초상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고려 말 초상화의 형식이 잘 드러나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숭인 초상>은 녹포단령에 각대를 두르고 의자에 앉아있는 좌안구분면의 전신교의좌상이다. 고려 말 유행한 정자 장식을 한 흑립을 쓰고 있다. 얼굴의 전체 윤곽이나 이목구비는 선을 기조로 묘사했고 영조 연간의 이모를 거치면서 음영의 사용이 혼용되었다. 얼굴의 볼살이 통통한 느낌으로 그려졌으며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인상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숭인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숭인 초상 | 이숭인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숭인 초상 | 고흥 성산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이숭인 초상 |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이숭인 |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 | A는 B를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이숭인의 이숭인 초상 자찬문 | 동문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좌안구분면 | 이숭인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녹포단령 | 이숭인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각대 | 이숭인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흑립 | 이숭인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5760720 | 127.2318780 | 이숭인 초상은 고흥 성산사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이숭인 초상[2]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김용만, "성주이씨영정",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7일.
더 읽을거리
- 논문
- 윤진영, 「성주이씨 가문의 초상화 연구」, 『장서각』 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