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안시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이종상]]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800px|center]]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정의'''==
[[양만춘]]<ref>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ref>이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
645년(고구려 보장왕 4), [[양만춘]]<ref>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ref>이 [[안시성]]에서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박창돈]]이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ref>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ref>와 [[충거]]<ref>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f>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br/>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싸움|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
=='''설명'''==
고구려 전쟁 소재 작품
+
===작품 소재===
<gallery>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right|450px]]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당나라는 [[안시성]](安市城)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④⑦ [[포거]](抛車)<ref>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ref>와 [[충거]](衝車)'''<ref>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f>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④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을 덮쳐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부서졌다. 고구려군은 이 '''③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거꾸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과 백마를 탄 '''⑤⑥⑧⑨ [[양만춘]](梁萬春)'''을 볼 수 있다.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에 보이는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살수대첩]]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작품 배경===
</gallery>
+
작품의 배경인 [[안시성]]의 소재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금사(金史)』「지리지」 편을 들어 만주 개평(蓋平) 동북의 탕지보(湯池堡)라고도 하고, 『이계집(耳溪集)』이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서는 만주의 봉황성(鳳凰城)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현재는 만주 봉천성(奉天省) 해성(海城)의 동남쪽에 있는 영성자산성(英城子山城)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center|800px
 +
poly 582 244 567 253 576 283 548 270 511 265 491 251 481 261 481 273 505 282 559 307 573 339 547 355 559 417 599 409 635 349 621 302 609 275 608 246 611 222 631 231 635 223 607 213 603 223 599 243 583 245 [[양만춘]]
 +
poly 494 79 623 3 773 3 777 49 763 97 707 134 551 165 491 197 379 287 323 305 243 287 203 257 185 215 192 181 183 161 115 149 113 127 120 111 131 129 167 129 197 123 211 215 288 245 384 231 443 141 487 83 495 77 [[안시성]]
 +
</imagemap>
  
=='''추출정보'''==
+
=='''지식 관계망'''==
===작품정보 연결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안시성싸움"(박창돈) 지식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박창돈-안시성싸움]] || [[박창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박창돈-안시성싸움]]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박창돈-안시성싸움]] || [[독립기념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박창돈]]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안시성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독립기념관]]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양만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안시성싸움]]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안시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양만춘]]
+
|[[양만춘]] || [[안시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 배경으로 하다 || [[안시성]]
+
| [[안시성전투]] || [[안시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포거]]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충거]]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1975년 || [[박창돈]]이 [[박창돈-안시성싸움]]을 그렸다.
 
|-
 
|-
|{{PAGENAME}}||[[독립기념관]] 대여기간 || 1992.01.31~1992.01.30
+
|1992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 [[독립기념관]]이 [[박창돈-안시성싸움]]을 대여하였다.
 +
|-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독립기념관]]이 [[박창돈-안시성싸움]]을 소장하고 있다.
 +
|-
 +
|645년 || [[안시성]]에서 [[안시성전투]]가 발발하였다.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
|36.7835383 || 127.2210151 || [[박창돈-안시성싸움]]이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
  
=='''참고문헌'''==
+
===관련 민족기록화===
* "안시성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9836&cid=46620&categoryId=4662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14일 확인)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구려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402년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612년 [[박각순-살수대첩]]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645년 [[박창돈-안시성싸움]]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662년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영상===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20110900&mediadtl=36587&gbn=DK 대한뉴스_KC 제 1109호-양만춘 사극 공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05094&cid=51704&categoryId=51711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안시성 전투]'''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8 안시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구려]][[분류:전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19 기준 최신판


안시성싸움
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645년(고구려 보장왕 4), 양만춘[1]안시성에서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박창돈이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

당나라는 안시성(安市城)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④⑦ 포거(抛車)[2]충거(衝車)[3]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④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을 덮쳐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부서졌다. 고구려군은 이 ③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거꾸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과 백마를 탄 ⑤⑥⑧⑨ 양만춘(梁萬春)을 볼 수 있다.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에 보이는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안시성의 소재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금사(金史)』「지리지」 편을 들어 만주 개평(蓋平) 동북의 탕지보(湯池堡)라고도 하고, 『이계집(耳溪集)』이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서는 만주의 봉황성(鳳凰城)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현재는 만주 봉천성(奉天省) 해성(海城)의 동남쪽에 있는 영성자산성(英城子山城)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림 읽기

양만춘안시성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창돈-안시성싸움 박창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창돈-안시성싸움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창돈-안시성싸움 독립기념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박창돈-안시성싸움 안시성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창돈-안시성싸움 양만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창돈-안시성싸움 안시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양만춘 안시성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안시성전투 안시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포거 안시성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충거 안시성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박창돈박창돈-안시성싸움을 그렸다.
1992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독립기념관박창돈-안시성싸움을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독립기념관박창돈-안시성싸움을 소장하고 있다.
645년 안시성에서 안시성전투가 발발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35383 127.2210151 박창돈-안시성싸움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2. 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
  3. 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서영대, "안시성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